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글에서는 1970년대를 전후한 한국 전통 사상에 대한 인식 변화와 그것이 교육에 반영되는 과정을 고등학교 국민윤리 과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쿠데타 이후 박정희는 전통을 부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한일 국교 정상화 이후 민족주체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북한과의 체제 대결에 승리할 수 있는 전통에 주목하면서 전통 사상을 높이 평가하였다. 박종홍은 한국 사상사를 성실본위의 무실사상의 흐름으로 정리하였으며, 국민교육헌장에서 효도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 1970년대에는 3차 교육과정이 고시되면서 민족주체성과 전통이 부각되었다.
3차 교육과정의 핵심으로 부각된 전통은 민주주의와 반공의 근거로 규정되었다. 국민윤리에서 한국 전통사상 서술의 분량도 늘었으며, 공산주의와 서구문화는 민족 전통과 배치되는 것으로 비난받았다. 2차 교육과정에 따른 1971년의 국민윤리 교과서에서는 전통 사상이 갖는 한계를 지적한 반면 3차 교육과정의 국민윤리 교과서는 유교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 사상을 오늘날 되살려야 할 유산으로 평가하였다. 1975년에 출간된 국민윤리 교과서에서는 성실과 경애를 한국 전통 사상의 핵심으로 제시하였다. 이것은 박정희 정권의 이데올로그였던 박종홍의 생각이 반영된 것이었다. 1979년에 출간된 국민윤리 교과서에서는 성실과 경애 이외에 충효를 한국 전통 사상의 핵심으로 규정하였다.
3차 교육과정 국민윤리 교과서에 규정된 한국 전통 사상은 실제 한국 유교의 전통과는 거리가 있었다. 오히려 식민지 교육을 통해 주입된 일본 유교의 전통과 국체사상의 개념을 한국의 전통으로 소개하였다. 이것이 박정희 정권기 강조되던 민족주체성의 한 단면이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敎大道德科敎育硏究會, 『道德科敎育』, 學文社, 1971. | 미소장 |
2 | 具龍鉉, 「反共敎育 强化」 『현장교육연구』 제1권 1호, 1974.8. | 미소장 |
3 | 金仁洪, 「民族思想에 基礎한 國民敎育에로의 指向」 『교육평론』 1971.10. | 미소장 |
4 | 대통령비서실, 『박정희 연설문집 제5대편』, 1973. | 미소장 |
5 | 문교부, 『국민교육헌장 독본』, 1968. | 미소장 |
6 | 박정희, 『국가와 혁명과 나』, 고려신서 제1집, 1965. | 미소장 |
7 | 박정희, 『民族의 底力』, 光名出版社, 1971. | 미소장 |
8 | 박종홍, 「實存哲學과 東洋思想」 『思想界』 1958.8. | 미소장 |
9 | 박종홍, 「韓國에 있어서의 近代的인 思想의 推移」 『대동문화연구』 1, 1964. | 미소장 |
10 | 안귀덕, 「도덕과 교과서 개편」 『교과서 연구』 제34호, 2000.6. | 미소장 |
11 | 안종운, 「교육과정운영과 충효교육」 『敎育硏究』 104, 韓國敎育生産性硏究所, 1977. | 미소장 |
12 | 이병도, 「옛날 朝鮮의 合議制와 地方自治制」 『國會報』통권 1호, 1949. | 미소장 |
13 | 이선근, 『大韓民國建國理念』, 國民思想硏究院, 1952. | 미소장 |
14 | 이선근, 「韓國傳統思想과 忠孝의 再評價」 『자유교양』 1974.8. | 미소장 |
15 | 이이, 『栗谷先生全書』韓國敎育三十年編纂委員會, 『韓國敎育三十年』, 1980. | 미소장 |
16 | 한승조, 「국민윤리교육의 회고와 전망」 『윤리연구』 10, 1980. | 미소장 |
17 | 형진의, 임경화 편역, 『일본 신민족주의 전환기에 국체의 본의를 읽다』, 어문학사, 2017. | 미소장 |
18 | 「對談 朴鍾鴻 교수 李用熙 교수 亞細亞 속의 韓國의 장래」 『경향신문』, 1966.1.4. | 미소장 |
19 | 「황문교 국민도의교육 강화 위해 각급학교 교과서 개편」 『동아일보』 1977. 2.11, 7면. | 미소장 |
20 | 朝鮮總督府, 『高等普通學校修身敎科書 卷三』, 1919. | 미소장 |
21 | 朝鮮總督府, 『普通學校修身書 敎師用 卷五』, 1923. | 미소장 |
22 | 朝鮮總督府, 『中等敎育修身書 卷二』, 1940. | 미소장 |
23 | 朝鮮總督府, 『師範學校修身書 卷一』, 1925. | 미소장 |
24 | 朝鮮總督府, 『中等敎育修身書 卷一』, 1940. | 미소장 |
25 | 문교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문교부령 제121호」, 1963. | 미소장 |
26 | 문교부, 『고등학교 국민윤리』, 1971. | 미소장 |
27 | 문교부, 『고등학교 국민윤리』, 1974. | 미소장 |
28 | 문교부, 『별책 3-문교부령 제 350호 (74. 12. 31)-인문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1974. | 미소장 |
29 | 문교부, 『고등학교 국민윤리』, 1975. | 미소장 |
30 | 교학 도서 편집부, 『1974년 12월 31일 공포 문교부령 제350호 준거 인문계 고등학교 교육 과정 해설』, 교학 도서 출판 주식회사, 1975.9.1. | 미소장 |
31 | 문교부, 『고등학교 국민윤리』, 1979. | 미소장 |
32 | 곽민지, 『국민교육헌장의 정치사적 의의에 대한 비판적 연구: 1968년부터 1972년까지, 국민교육헌장의 생산과 매개 과정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박사학위논문, 2019. | 미소장 |
33 | 김성진, 「신일철의 철학하기와 한국철학」 『신일철, 그의 철학과 삶』,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 미소장 |
34 | 김순전, 「명치・대정기 교육과 교과서 제도」 『수신하는 제국 –명치 대정기 「심상소학서」 연구』, 2004, 제이앤씨. | 미소장 |
35 | 김원, 「한국적인 것’의 전유를 둘러싼 경쟁-민족중흥, 내재적 발전 그리고 대중문화의 흔적」 『사회와 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93, 2012. | 미소장 |
36 | 김원열, 문성원, 「유교윤리의 근대적 변형에 대한 비판적 고찰-박종홍(1903~1976)의 유교 윤리를 중심으로-」 『시대와 철학』 17권 1호, 2006. | 미소장 |
37 | 김지형, 「1960~1970년대 박정희 통치이념의 변용과 지속-민주주의와 반공주의 및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민주주의와 인권』 제13권 2호,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13. | 미소장 |
38 | 박균섭, 「전시동원체제와 퇴계학: 아베 요시오와 박종홍의 연속성」 『교육철학연구』 제36권 제4호, 2014. | 미소장 |
39 | 신주백, 「국민교육헌장 이념의 구현과 국사 및 도덕과 교육과정의 개편(1968~1994)」 『역사문제연구』 15, 2005. | 미소장 |
40 | 오성철. 「세속 종교로서의 학교: 학교 규율의 이데올로기」 『당대비평』 2001. | 미소장 |
41 | 윤건영,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 내용변화 분석연구」 『도덕윤리과교육연구』1, 1990. | 미소장 |
42 | 이문호, 「비사회인-충효가 남긴 근대적 한국인」 『한국사회학』 40, 2006. | 미소장 |
43 | 이병수, 『열암 박종홍의 철학 사상』, 한국학술정보, 2005. | 미소장 |
44 | 이상록 「조국과 민족에 너를 바치라: 국민교육헌장 다시 읽기」 『내일을 여는역사』 68, 2017. | 미소장 |
45 | 이상록, 「이선근의 국난극복사관과 제3차 교육과정기 국사 교육의 냉전사적 재해석」 『청람사학』 28, 2018. | 미소장 |
46 | 이하나, 「유신체제기 ‘민족문화’ 담론의 변화와 갈등」 『역사문제연구』 28, 2012. | 미소장 |
47 | 이하나, 「1970~1980년대 ‘민족문화’ 개념의 분화와 쟁투」 『개념과 소통』 18, 2016. | 미소장 |
48 | 장규식, 「1950~1970년대 ‘사상계’ 지식인의 분단인식과 민족주의론의 궤적」 『한국사연구』 167, 2014. | 미소장 |
49 | 최연식, 「박정희의 ‘민족’ 창조와 동원된 국민통합」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8-2, 2007. | 미소장 |
50 | 한국철학회, 『교육과 성리학』, 학지사, 2017. | 미소장 |
51 | 한만길, 「유신체제 반공교육의 실상과 영향」 『역사비평』 1997 봄호, 1997. | 미소장 |
52 | 한석정, 『만주모던-60년대 한국 개발체제의 기원』, 문학과지성사, 2016. | 미소장 |
53 | 홍석률, 「1960년대 한국 민족주의의 분화」 『1960년대 한국의 근대화와 지식인』, 선인, 2004. | 미소장 |
54 | 홍윤기, 「한국 도덕 윤리 교육의 이념적 혼돈과 정체성 위기」 『한국 도덕 윤리교육백서』, 한울, 2001. | 미소장 |
55 | 홍윤기, 「한국의 도덕교육과 시민사회」 『한일교육연구』 5, 2015. | 미소장 |
56 | 홍현길, 「일본 우익사상의 기저에 관한 연구」 『일본문화연구』 20, 2006. | 미소장 |
57 | 황병주, 「국민교육과 국가만들기」 『대한민국 교육 70년』,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2015. | 미소장 |
58 | 矢沢秀昭, 「中国古典に見る‘敬天愛人’」 『Keiai University staff papers』 76, 敬愛大学経済学会, 200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