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액션게임의 다각적 유저타입에 따른 난이도 복합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mplex difficulty factor according to multilateral user tendency of action game 이흔우, 조동민 p. 383-393
다면체를 활용한 제품의 융합디자인 교육 모델 연구 = A study on a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model using hedrons for products 조성근 p. 413-423
연령층에 따른 소셜미디어 플랫폼 선호도의 변화와 특징 융합 연구 = A convergenc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hange of social media platform preference by age group 신진선 p. 239-252
웹툰 콘텐츠를 이용한 모바일 기반의 패럴랙스 콘텐츠 연출 방법 연구 = A study on the method of producing mobile-based parallax content using webtoon content : the focus of parallax-based 'Spiky folk families' mobile contents : 기술 융합 콘텐츠 패럴랙스로 즐기는 뾰족뾰족 포크가족을 중심으로 이상욱, 김영호, 박진완 p. 329-342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식생활과 주방환경 변화에 관한 융합 연구 = A convergence study on the change of food lifestyle and kitchen environment affected by the lifestyle change : emphasis on the single-person households : 1인 가구 중심으로 신지연, 정미선 p. 225-237
청각장애인의 융합적인 신체적 감정표현에서 나타나는 과도한 동작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over-acting of persons with deaf during the demonstrations of integral physical expression for emotions 고성희 p. 1-15
전통 회화의 실감 미디어 기술 융합 차용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alistic media technology convergence appropriation of traditional painting 조유경, 김규정 p. 425-435
다학제간 접근방식의 UX 디자인방법론 재정의 및 모바일 앱 기획 교육사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X design methodology redefinition and mobile app planning education cases in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박만기 p. 115-129
J브랜드 후각아이덴티티 융합적 구축을 위한 프레그런스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ragrance for J brand olfactory identity convergence establishment 김진희, 정연자 p. 61-72
당대 둔황석굴 벽화에 묘사된 여자복식을 통해 본 글로컬 복합 문화 = Glocal complex culture through women's costumes depicted in Tunhuang cave paintings of the Tang Dynasty period 조현진 p. 437-450
지속가능한 패션을 위한 융합적 리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convergence re-design for sustainable fashion 두원원, 김미현 p. 103-113
성별에 따른 소비가치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융합적 관계 연구 = A study on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consumption value and behavior intention : focused on hair trend color : 헤어 트렌드 컬러를 중심으로 김주형, 김성남 p. 33-45
헬스케어 모빌리티 디자인 융합사례에 관한 연구 = Exploring the case studies of the convergence of healthcare and mobility design : focusing on accident & emergency (A&E) mobility solutions : 응급의료 이동 수단을 중심으로 김지은, 노재승 p. 47-59
모바일 커머스 앱 인터페이스 개선 방향에 관한 융합 연구 = The convergence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mobile commerce app interface : focused on the analysis of interface and user testing : 인터페이스 분석과 사용자 사례를 중심으로 손재환, 김규정 p. 211-224
빅데이터를 활용한 방송뉴스 제목의 다학제적 의미연결망 연구 = A study on the multidisciplinary semantic network of broadcasting news title utilizing big data : focusing on KTV DaeHanNews : KTV 대한뉴스를 중심으로 김문욱 p. 17-31
초음파 영상진단기기를 위한 제품-서비스 융합디자인 = A study on product-service convergence design for ultrasound diagnostic device 이장미 p. 343-353
모바일 게임 제작의 융합 관점에서 평가모형의 적합성 평가 =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the evaluation model from the convergence perspective of mobile game production 설종원 p. 197-209
마스크를 활용한 패션 액세서리 3D프린팅 융합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3D printing design of fashion accessories using masks 이종석 p. 355-367
바이오닉과 색채 디자인의 융합 연구 = Convergence study of bionic and color design 서건연, 이성원 p. 181-196
중국 시각장애인의 주거 공간과 감지개선 복합 설계 연구 = A study on the convergence design of living space and perception for the blind in China : centering of perceptual motion line : 감지(感知)동선을 중심으로 학춘우 p. 451-465
중국 시대별 술잔과 찻잔의 조형 특성 비교 융합연구 = Comparative fusion study on the modeling characteristics of drinking vessels and tea vessels in different Chinese Dynasties 동석, 정미선 p. 89-101
에코뮤지엄 연구동향에서 나타난 융·복합적 특성 = Convergence characteristics in the research trends of eco-museum 허보경, 이민 p. 467-478
(The) influence of complex evolution of Disney princess characters on body form preference of girl teenager = 디즈니 프린세스 캐릭터의 복합적 시대성 이미지가 여성 신체형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Wang, Xue, Cho, Dong Min p. 289-300
동네 기록을 활용한 지역문화콘텐츠 융합적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onvergent characteristics of local cultural contents using archiving locality 원다솔, 이민 p. 301-313
중국 성소수자 공동체 공간 융합 구성 개념 연구 = Research on the convergence concept of China's LGBT community spatial composition 안기, 정미선 p. 253-268
중국 시니어 원룸의 가구 융합디자인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urniture convergence design in senior studio in China 웨이쯔강, 정미선 p. 315-327
미디어 아트의 상업적 활용 사례와 가치에 관한 융복합 연구 = A convergence study on cases and values of commercial use of media art 노홍기, 김규정 p. 73-87
매체융합(媒介融合) 관점에서 본 회화의 존재 방식에 대한 논의 = Discussion on the existence mode of paintings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convergence : based on analysis of "Van Gogh Art Immersive Experience" : "반 고흐 예술의 몰입 체험"의 분석을 기반으로 사인애, 장성갑 p. 165-180
승용차 헤드라이트 기술융합 발전에 따른 디자인 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 of design according to the integrated development of headlight technology in passenger car : the German carmaker's three large sedans : 독일 자동차 메이커 3사의 대형세단을 중심으로 이진전, 구상 p. 369-381
코로나19가 소비자의 뷰티 분야 카타르시스 소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COVID-19 on the consumer's catharsis consumption in beauty industry 박현정, 남미우 p. 151-164
공무원 팀장의 코칭리더십,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융합형 의사소통 역량향상 코칭 프로그램 영향력 연구 = A study on effects of convergence coaching program for improving communication competency on civil servant team leader's coaching leadership,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박은희, 탁진국 p. 131-149
불교의 폭력론으로 본 영화 <사바하>(2019) 속 선악 스토리텔링 복합 연구 = A complex study on storytelling of good and evil in film <Svaha : The Sixth Finger>(2019) through Buddhism's violence theory 임대희 p. 395-411
뉴노멀 시대의 문화 접근성 취약계층을 위한 온라인 전시 감상 서비스의 효과적인 융합 다이내믹스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 convergence dynamics of online exhibition appreciation for the vulnerable to cultural access in new normal era 양연경 p. 269-288

참고문헌 (1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BladesM, “Research Paradigms and Methodologies for Investigating Children's Wayfinding”, A handbook of spatial research paradigms and methodologies, 1, pp.103-129, 1997. 미소장
2 Blades M., Lippa Y., Golledge R. G., “The Effect of Spatial Tasks on Visually Impaired Peoples'Wayfinding Abilities”,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96(6), 2002. 미소장
3 Bigelow, A. E., “Spatial mapping of familiar locations in blind children[J]”, Journa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85), pp.113-117, 1991. 미소장
4 Jingtian Ding, “Study on spatial perception behavior of the blind(Master's thesis)”, Beijing Institute of Technology, 2016. 미소장
5 Kong Soon-Ku., Kang, Min-Seo., Kim, Hyo-Jea, “A Study on interior plans for Spatial perception of Visually Impaired”,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ies & Environment, 13(5), 2014. 미소장
6 Lee, Yeun-Sook., An, So-Mi., Kim, Min-Ju., Hyun, Ji-won, “A Study on the Direction for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Through the Process for a case of Visually Impaired Person in Rur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7(2), 2018. 미소장
7 Lu Chen, “Design of Jingdezhen City the Blind Public Cultural Space(Master's thesis)”, Jingdezhen Ceramic Institute , 2014. 미소장
8 Min Jung Kim., Heesun Chung, “A Study on Differences and Improvement of Mobility and Spatial Cognition of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s”,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21(2), 2018. 미소장
9 Park, Name- Hee., Choi, Ryung., Lee, So Young., Yoo, Sung Eun, “A Case Study of the Housing Condition on the Blind People”, Design Convergence Study, 12(4), 2014. 미소장
10 Qian Dan, “The Study of Interior Barrier Free Design for Visually Impaired People(Master'sthesis)”, Nanjing Tech University, 2016. 미소장
11 Richard L. Welsh, “Foundations of orientation and mobility”, New York: Amercian foundation for the blind, pp.26-35, 1987. 미소장
12 Xiaomeng Chen, “A Study on Characteristic and Training of Representation of Large-scale Space in the Blind(doctoral dissertation)”, East China Normal University, 2014. 미소장
13 Yang, Sung-Ho., Song, Ji-Won, “Analysis on Way-finding Behaviors of Visually Impaired People -Design Research for Guide System Development”,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8(1), 200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