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변화된 영어외래어에 대한 한국어 어휘 교육 = Korean vocabulary education on changed English loanwords 문금현 p. 515-541
원론적 마르크스주의 비평의 가능성 = The possibility of principled Marxist criticism : 한설야 비평에 관한 일 고찰 이도연 p. 491-514
『묵재일기』, 16세기 양반의 감정 기록에 대한 문학/문화적 성찰 = A literary/cultural reflection on the elite literatus’ record (Mukjae’s Diary) about emotion during the 16th century-Joseon 최기숙 p. 321-364
조선 후기 청주 지역 관련 야담에 나타난 인물 형상과 서사적 특성 = Figures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Yadam(野譚) of Cheongju reg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정충권 p. 289-319

18세기 고소설에 나타난 '비-중국' 국가의 서사적 이미지 : The narrative image of a “non-Chinese” country in an 18th century novel : focusing on Geumguk and Annam in <Wanwŏl Hoemaengyŏn> / <완월회맹연>의 금국과 안남을 중심으로 김수연 p. 261-288
「華音方言字義解」에 담긴 頤齋의 음운론적 인식 = An 18th century Korean speaker was aware of phonological phenomena in his language : evidence from Hwaeumbangeonjaeuihae 김지은 p. 229-259
포스트휴먼, 바이러스, 취약성 = Posthuman, virus, vulnerability 노대원, 황임경 p. 93-120

포스트휴먼 담론과 '인간-이후' 한국시의 한 가능성 : Posthuman discourses and possibility of “post-human” poetry in South Korea : focusing on Blossom, Pig(2016) and Wing Phantom Pain(2019) by Kim Hye-soon / 김혜순의 『피어라 돼지』(2016)와 『날개 환상통』(2019)에 대한포스트-휴먼적 읽기 고봉준 p. 59-91
고전적 포스트휴먼으로서의 신선·이인 서사와 그 의미 = The narrative of Sinseon(神仙) and Yiin(異人) as a classic post-human and its meaning 신상필 p. 35-58
최근 북한 시에 나타난 '자력갱생'의 다의적 함의 고찰 : A study on the multiple implications of ‘self-renewal’ in North Korean poem recently : based on the issue of the 2018-19 Chosun Literature / 2018~19년 『조선문학』 1~12월호를 중심으로 오태호 p. 465-489
포스트 휴먼 시대 동아시아 인어 서사의 스토리텔링 방향 = The storytelling direction of the East Asian mermaid narrative in the post-human era 강민경 p. 5-34
헤테로토피아와 알레고리적 장소의 시학적 연관성에 대한 소론 : A study on the poetic connection between heterotopia and allegoric locality : an instance of Kim Myung-In's poetical collection Dongducheon / 김명인의 시집 『東豆川』의 경우 엄경희 p. 419-463

김유정 소설 <소낙비>의 검열과 복원 = Censorship and restoration of Kim Yoo-jeong’s novel Sanikbi 김정화, 문한별 p. 393-418
1950년대 후반 중국사회의 상황과 조선족 문학의 변화 : The situation of Chinese society and changes in Korean-Chinese literature in the late 1950s : focused on Hakchul Kim / 김학철을 중심으로 김미란, 리해연 p. 365-392
포스트휴먼 시대 시 교육의 역할과 방향 : The roles and directions of poetry education in the post-human era : an essay on the contents of poetry education that advocates the ethics of a new era / 새로운 시대의 윤리를 표방하는 시 교육 내용에 대한 시론(試論) 이경수 p. 197-228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과 문학교육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post-humanism and literary education :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becoming others 우신영 p. 157-196
기술편집예술의 매체미학 시론 : A study on the media aesthetics of <techedit art> : focusing on issues of subject and imitation / 주체와 모방의 문제를 중심으로 이용욱 p. 121-155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이문건, 『역주 묵재일기』 1~4권, 김인규 옮김, 민속원, 2018. 미소장
2 이문건, 『국역 묵재일기』 1~6권, 정긍식 외 옮김, 경인문화사, 2019. 미소장
3 http://waks.aks.ac.kr/rsh/?rshID=AKS-2014-KFR-1230007 미소장
4 민정희, 「16세기 이문건 가와 무녀 추월의 단골 관계」(『역사연구』 24, 역사학연구소, 2013: 55~79쪽. 미소장
5 염정섭, 「자료소개: 조선시대 일기류 료의 성격과 분류」, 『역사와현실』 24, 한국역사연구회, 1997: 220~263쪽. 미소장
6 이혜정, 「16세기 奴婢의 삶가 의식세계: 『默齋日記』를 중심으로」, 경희대 박사논문, 2012: 1~207쪽. 미소장
7 이성임, 「16세기 양반사회의 선물경제」, 『한국사연구』 130, 한국사연구회, 2005: 53~82쪽. 미소장
8 이성임, 「일기 자료를 통해 본 조선사회의 또 다른 모습」, 『장서각』 33,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306~311쪽. 미소장
9 이혜정, 「노비의 삶에 접근하는 몇 가지 방식」, 『역사연구』 24, 역사학연구소, 2013: 123~139쪽. 미소장
10 조은숙, 「『默齋日記』 연구」, 고려대 박사논문, 2018: 1~166쪽. 미소장
11 최기숙, 「언어의 육체성, 공간과 경험의 수사학: <남원고사>의 문체 미학」, 『고소설연구』 16, 한국고소설학회, 2003: 231~258쪽. 미소장
12 최기숙, 「‘감성적 인간 ’의 발견과 감정의 복합성ㆍ순수성ㆍ이념화: 19세기 국문소설 <남원고사>의 ‘사랑’의 표상화 맥락」, 『고소설연구』 34, 한국고소설학회, 2012: 217~249쪽. 미소장
13 최기숙, 「조선시대 감정론의 추이와 감정의 문화 규약: 사대부의 글쓰기를 중심으로」(동방학지』 159, 연세대 국학연구원, 2012: 3~52쪽. 미소장
14 Antonio Damasio, 『스피노자의 뇌』, 임지원 옮김, 사이언스북스, 2007: 1~424쪽. 미소장
15 Choe, Keysook, 「A Weeping Man and the Mourning Ritual: Literati Writing and the Rhetoric of Funeral Oration in Eighteen-Century Joseon」, Korea Journal 53-1, UNESCO 2013: pp. 143~171. 미소장
16 Didier Anzieu, 『피부자아』 권정석ㆍ안석 옮김, 인간희극, 2013: 1~432쪽. 미소장
17 Giorgio Agamben, What is an Aparatus? And Other Essays.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9: pp.1~57. 미소장
18 Martha C. Nussbaum, 『감정의 격동』 1권, 조형준 옮김, 새물결, 2015: 1~527쪽. 미소장
19 Miche Foucault, 『지식의 고고학』, 이정우 옮김, 민음사, 1992: 1~298쪽.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