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이문건, 『역주 묵재일기』 1~4권, 김인규 옮김, 민속원, 2018. | 미소장 |
2 | 이문건, 『국역 묵재일기』 1~6권, 정긍식 외 옮김, 경인문화사, 2019. | 미소장 |
3 | http://waks.aks.ac.kr/rsh/?rshID=AKS-2014-KFR-1230007 | 미소장 |
4 | 민정희, 「16세기 이문건 가와 무녀 추월의 단골 관계」(『역사연구』 24, 역사학연구소, 2013: 55~79쪽. | 미소장 |
5 | 염정섭, 「자료소개: 조선시대 일기류 료의 성격과 분류」, 『역사와현실』 24, 한국역사연구회, 1997: 220~263쪽. | 미소장 |
6 | 이혜정, 「16세기 奴婢의 삶가 의식세계: 『默齋日記』를 중심으로」, 경희대 박사논문, 2012: 1~207쪽. | 미소장 |
7 | 이성임, 「16세기 양반사회의 선물경제」, 『한국사연구』 130, 한국사연구회, 2005: 53~82쪽. | 미소장 |
8 | 이성임, 「일기 자료를 통해 본 조선사회의 또 다른 모습」, 『장서각』 33,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306~311쪽. | 미소장 |
9 | 이혜정, 「노비의 삶에 접근하는 몇 가지 방식」, 『역사연구』 24, 역사학연구소, 2013: 123~139쪽. | 미소장 |
10 | 조은숙, 「『默齋日記』 연구」, 고려대 박사논문, 2018: 1~166쪽. | 미소장 |
11 | 최기숙, 「언어의 육체성, 공간과 경험의 수사학: <남원고사>의 문체 미학」, 『고소설연구』 16, 한국고소설학회, 2003: 231~258쪽. | 미소장 |
12 | 최기숙, 「‘감성적 인간 ’의 발견과 감정의 복합성ㆍ순수성ㆍ이념화: 19세기 국문소설 <남원고사>의 ‘사랑’의 표상화 맥락」, 『고소설연구』 34, 한국고소설학회, 2012: 217~249쪽. | 미소장 |
13 | 최기숙, 「조선시대 감정론의 추이와 감정의 문화 규약: 사대부의 글쓰기를 중심으로」(동방학지』 159, 연세대 국학연구원, 2012: 3~52쪽. | 미소장 |
14 | Antonio Damasio, 『스피노자의 뇌』, 임지원 옮김, 사이언스북스, 2007: 1~424쪽. | 미소장 |
15 | Choe, Keysook, 「A Weeping Man and the Mourning Ritual: Literati Writing and the Rhetoric of Funeral Oration in Eighteen-Century Joseon」, Korea Journal 53-1, UNESCO 2013: pp. 143~171. | 미소장 |
16 | Didier Anzieu, 『피부자아』 권정석ㆍ안석 옮김, 인간희극, 2013: 1~432쪽. | 미소장 |
17 | Giorgio Agamben, What is an Aparatus? And Other Essays.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9: pp.1~57. | 미소장 |
18 | Martha C. Nussbaum, 『감정의 격동』 1권, 조형준 옮김, 새물결, 2015: 1~527쪽. | 미소장 |
19 | Miche Foucault, 『지식의 고고학』, 이정우 옮김, 민음사, 1992: 1~298쪽.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