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세계시민의식 관점에서 「다문화가정 대상국가와의 교육교류사업」의 의미 고찰 : 근거 이론을 활용한 국내 기참가 파견교사들의 후속활동 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aning of 「Asia-Pacific Teacher Exchange for Global Education」 in terms of global citizenship :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Korean teachers' follow-up activities using the grounded theory / 김주영 ; 최민영 ; 송여진 ; 이지민 ; 배현주 1

요약 1

I. 서론 2

II. 이론적 배경 5

1. 세계시민의식 5

2. 세계시민의식 구성요소 6

3. 세계시민의식 관점에서 바라본 다문화가정 대상국가와의 교육교류사업 9

III. 연구 방법 12

1. 연구 대상 12

2. 측정 도구 14

3. 분석 방법 16

4. 타당성 검증 20

IV. 연구 결과 21

1. 자료의 범주화 21

2. 패러다임 분석 21

3. 선택 코딩 29

V. 결론 41

참고문헌 45

Abstract 48

참고문헌 (3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향원(2016). 근거이론의 수행방법에 대한 이해: 실천적 가이드라인과 이론적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2), 181-216. 미소장
2 김옥순, 신인순(2013). 세계시민교육 참여 청소년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 연계형 창의적 체험활동의 일례를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36, 7-28. 미소장
3 김완일, 김옥란, 이호진, 권명훈(2018). 논문유형별 연구방법론. 수원: 도서출판 싸이앤북스. 미소장
4 김요완(2009). 근거이론을 적용한 이혼소송과정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21(2), 559-583. 미소장
5 김진희(2019).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이론과 쟁점. 서울:박영사. 미소장
6 박경희, 박환보, 김남순(2018). 세계시민교육 참여 청소년의 세계시민의식에미치는 영향 분석. 국제이해교육연구, 13(1), 41-70. 미소장
7 박근아, 오순영, 황재운(2018). 세계시민교육 주제선택의 촉진요인과 제약요인: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5(4), 313-340. 미소장
8 박순용(2020). 팬데믹 시대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성찰. APCEIU Insights. 1. 미소장
9 박순용, 이경한, 조대훈, 함영기(2015). 유네스코가 권장하는 세계시민교육 교수학습 길라잡이. 서울: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미소장
10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2016a). 교사역량강화 향상도 지표구축 및 성과 관리 방안 연구. 서울: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미소장
11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2016b). 2016 다문화가정 대상국가와의 교사교류사업 성과분석: 초청교사 배치학교 참가교사의 다문화수용성 개선도 측정을 중심으로. 서울: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미소장
12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2017a). 2017 다문화가정 대상국가와의 교사교류사업 성과분석. 서울: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미소장
13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2017b). 2017 다문화가정 대상국가 와의 교사교류사업 성과분석 - 초청교사 배치학교의 학생 및 교사의다문화 수용성 개선도 측정을 중심으로 -. 서울: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미소장
14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2018a). 다문화가정 대상국가와의교육교류사업 효과성 검증을 위한 글로벌 역량 설문 조사 연구. 서울: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미소장
15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2018b). 2018 다문화가정 대상국가와의 교사교류사업 성과분석: 초청교사 배치학교 참가교사의 다문화수용성 개선도 측정을 중심으로. 서울: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미소장
16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2019a). 2019 다문화가정 대상국가와의 교육교류사업 성과분석: 참가교사 및 참가교사 배치학교 교원․학생의 글로벌 역량 향상도 측정 연구. 서울: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국제이해교육원. 미소장
17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2019b). 2019 다문화가정 대상국가와의 교사교류 사업 성과분석: 초청교사 배치학교의 학생 및 교사의다문화 수용성 개선도 측정을 중심으로. 서울: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국제이해교육원. 미소장
18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2020). 멀티플 팬데믹: 세계 시민, 코로나와 부정의를 넘어 연대로 가는 길을 묻다. 서울: 이매진. 미소장
19 An Inquiry on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ed Theory 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소장
20 이영철(2014). 근거이론의 근거에 대한 음미: 방법론과 방법.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8(1), 187-214. 미소장
21 이인영, 김유연, 문정민, 이규빈, 유성상(2019).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국제교류협력 프로그램: 경기도교육청 사례연구. 국제이해교육연구, 14(2), 139-172. 미소장
22 조대훈, 김다원, 이정우, 이지향, 문무경(2018). 세계시민교육 국내 이행현황연구보고서 - 유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서울: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미소장
23 하란, 김진희(2020). 해외봉사활동 참여자의 다문화 학습에 관한 사례연구. 국제이해교육연구, 15(1), 61-90. 미소장
24 황세영, 최정원, 문지혜, 최윤(2017). 세계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청소년활동활성화 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376. 미소장
25 황세영(2018). 세계시민의식 개념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기여 가능성에 대한질적 사례연구. 환경교육, 31(1), 35-52. 미소장
26 Falk, R.(1994). The Making of Global Citizenship. In Steenbergen, B. van (Ed.). The Condition of Citizenship(pp. 132-139). London: Sage Publications. 미소장
27 Guba E. G, Lincoln, Y. S.(1981). The Jossey-Bass higher and adult education series and the Jossey-Bass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 series.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San Francisco: Jossey-Bass. 미소장
28 Heater, D.(1996). World Citizenship and Government: Cosmopolitan Ideans in the History of Western Political Thought. New York: St. Martin’s Press. 미소장
29 Global Citizenship: A Typology for Distinguishing its Multiple Conceptions 네이버 미소장
30 Strauss, A. L, Corbin, J.(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미소장
31 Strauss, A. L, Corbin, J.(김수지, 신경림 옮김)(1996). 근거이론의 이해. 서울: 한울 아카데미.〔Strauss, A. L. & Corbin, J.(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미소장
32 UNESCO(2014).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eparing learners for the challenges of the 21st century. Paris: UNESCO. 미소장
33 Vanessa de Oliveira Andreotti(2006). Soft versus Critic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Development Education in Policy and Practice. London: Palgrave Macmilla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