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초등학교 교장과 교감 간 갈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flict between elementary school principal and vice principal / 이정림 ; 조흥순 1
요약 1
I. 서론 2
II. 이론적 배경 3
1. 교장과 교감의 직무와 역할 3
2. 갈등 5
III. 연구방법 8
1. 심층면담에 의한 질적연구 8
2. 자료 분석 방법 및 과정 9
IV. 분석 및 논의 10
1. 갈등이 초래하는 현상 10
2. 갈등 유발 요인 13
3. 갈등 관리방식 20
V. 결론 및 제언 24
참고문헌 27
Abstract 30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재갑(1999). 초등학교장의 교육적 신념과 의사결정 행동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2 | 김지윤(2012). 초등교사의 갈등관리방식과 학교조직풍토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3 | 김창학(2019.1.29). 사라진 교장의 꿈... 교단 떠나는 교감이 늘고 있다.”. 에듀프레스기고문. | 미소장 |
4 | 김창현(1985). 중등교감 역할기대와 역할행동 수행상의 갈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공주사범대학교. | 미소장 |
5 | 김호정(2011). 갈등유형과 갈등관리방식의 관계: 교육행정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국조직학회보. 8(2). 한국조직학회. 111-140. | 미소장 |
6 | 남정걸(1999). 학교조직 문화와 학교조직 효과성의 관계 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 미소장 |
7 | 노봉근, 박고훈(2001). 교감의 지도성 유형과 직무성과의 관계. 교육연구. 14. 목포대학교 교육연구소. 1-21. | 미소장 |
8 | 매일경제(2019.8.23). “갑질 교장 물러나라” …아산 한 초교 학부모들, 자녀 수업거부. | 미소장 |
9 | 문덕심(2008). 초등학교 교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식.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10 | 박상완(2011). 교감의 역할과 교감직의 특성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8(2). 한국교원교육학회. 365-389. | 미소장 |
11 | 박호숙(2006). 심리적 갈등의 유형과 관리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보. 3(1). 한국조직학회. 27-62. | 미소장 |
12 | 백승관(2012). 교감의 직무와 역할에 관한 쟁점과 과제 고찰. 교육정치학연구. 19(2). 한국교육정치학회. 365-389. | 미소장 |
13 | 신원종(2010). 협상당사자들의 갈등해결유형조합과 협상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협상상대방의 성격에 대한 인상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 미소장 |
14 | 신현석(1995). 학교장 지도성 지각의 변량원 탐색을 위한 연구. 교육연구. 3.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47-90. | 미소장 |
15 | 양기래(1999). 교감의 갈등 조정 역할과 교사의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16 | 연합뉴스(2018.8.5). 교사 상대 '갑질'한 초등학교 교장, 교감으로 강등. | 미소장 |
17 | 유태식(2005). 학교조직내 교감의 직무스트레스 지각수준과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행정대학원. | 미소장 |
18 | Conflict Management in Human Service Organizations | 소장 |
19 | 이필운(2009).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사례 및 공무인식조사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 미소장 |
20 | 임경미(2018). 초등교사의 갈등극복과 성장 과정.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 미소장 |
21 | 조세윤(2002). 초임교감의 역할 갈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22 | 최지아(2016). 고등학교 교감이 역할수행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및 갈등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23 | 최혜숙(2015). 교감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탐색 및 상대적 강도 분석. 박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 미소장 |
24 | 최혜숙, 이윤식(2015). 교감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2(3). 한국교원교육학회. 187-212. | 미소장 |
25 | 허학도(2005). 학교공동체구성원의 역할에 관한 내용분석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3(5). 한국교육행정학회. 281-302. | 미소장 |
26 | Blake, R., & Mouton, J. (1964). The Managerial Grid: The Key to Leadership Excellence. Houston, TX: Gulf Publishing Company. | 미소장 |
27 | Exploring the Principal's Contribution to School Effectiveness: 1980‐1995* ![]() |
미소장 |
28 | Jehn, K. A., & Bendersky, C. (2003). Intragroup Conflict in Organizations: A Contingency Perspective on the Conflict- Outcome Relationship.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25, 187-242. | 미소장 |
29 | Joo, H. J. (2013). In-depth investigation of the dark side of school principals'leadership. Londo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 미소장 |
30 | THREE DIMENSIONS OF CONFLICT ISSUES AND THEIR EFFECTS ON RESOLUTION STRATEGIES IN ORGANIZATIONAL SETTINGS ![]() |
미소장 |
31 | Strauss, A. L.,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Thousand Oaks, CA: Sage.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