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정부는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새로운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직의 관리 과정과 제공하는 공공서비스에서 혁신을 추구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정부 혁신이 어떤 방향과 기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먼저 미래 정부가 추구하는 상(像)으로 지능적, 민첩한, 글로벌 대응 정부의 세 가지 혁신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UN의 정부기능분류를 활용하여 혁신의 기능적 범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행정안전부 정부혁신 1번가에 제시된 중앙 및 지방정부, 공사·공단 등 246개 기관의 514개 우수혁신사례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혁신 방향은 민첩한 정부와 관련한 사례가 가장 많았고, 기능은 일반 공공행정 및 사회 보호 분야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 향후 혁신 정책의 방향과 기능 설정에 기여할 수 있으며, 혁신의 내용이 정부의 조직과정 및 공공서비스의 질 개선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는지와 관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관계부처 합동(2018). 「2018 정부혁신 종합 추진계획」. | 미소장 |
2 | 관계부처 합동(2019). 「2019 정부혁신 종합 추진계획」. | 미소장 |
3 | 문명재(2017). 제4차 산업혁명과 초연결 지능형 미래정부. 「행정포커스」, 05/06: 16-22. | 미소장 |
4 | 첨단기술의 발전과 미래정부의 역할과 형태 | 소장 |
5 | 윤태범(2009). 정부혁신의 맥락과 관리혁신의 논리. 「GRI 연구논총」, 11(1): 51-73. | 미소장 |
6 | 이선우(2017). [CHAPTER 04] 미래 정부역할 변화와 중앙정부 기능의 재창조. 박재완・김성배・이주호 공편, 「국가 재창조를 위한 정부개혁」, 203-265. 서울: 한반도선진화재단. | 미소장 |
7 | 이창원(2016). 대한민국 정부의 미래.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19-152. | 미소장 |
8 | 정성호・김성자・문하은(2016). 정부기능별분류(COFOG)의 체계적 고찰 및 활용. 「국민계정리뷰」, 2016(3): 1-27. | 미소장 |
9 | 정성호・김완희(2015). 정부기능분류(COFOG)의 체계적 고찰. 「한국조세재정연구원」. | 미소장 |
10 | 허철행(2002). 신관리주의 지방정부혁신의 평가와 전망. 「한국정책학회보」, 11(3): 167-193. | 미소장 |
11 | Kim, K.(1995). A Comparative Study on the Politics of Public Personnel Reduction in Britain, Japan, and United States.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11-186. | 미소장 |
12 | The Organic Organization and Innovation ![]() |
미소장 |
13 | Archibugi, D., Evangelista, R., and Simonetti, R.(1994). On the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s. In Y. Shionoya, and M. Perlman (eds), Innovation in Technology, Industries and Institutions: Studies in Schumpeterian Perspectives (pp. 7–24). Ann Arbor, MI: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미소장 |
14 | Barzelay, M.(2001). The New Public Management: Improving Research and Policy Dialogue (Vol. 3).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미소장 |
15 | Bilbao-Osorio, B., Dutta, S., and Lanvin, B.(2013). The Global Information Technology Report 2013: Growth and Jobs in a Hyperconnected World. World Economic Forum Insight Report. http://www3.weforum.org/docs/WEF_GITR_Report_2013.pdf. | 미소장 |
16 | Explaining the adoption of innovation: an empirical analysis of public management reform ![]() |
미소장 |
17 | Transaction Costs and Institutional Explanations for Government Service Production Decisions ![]() |
미소장 |
18 | Buckley, W.(1967). Sociology and Modern Systems Theory. Englewood Cliffs, New Jersey:Prentice Hall. | 미소장 |
19 | Explaining Cross-Country Differences in Performance-Related Pay in the Public Sector ![]() |
미소장 |
20 |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Performance: The Problem of "Organizational Lag" ![]() |
미소장 |
21 | Innovation Craze Hits China ![]() |
미소장 |
22 | Dingsøyr, T., Nerur, S., Balijepally, V., and Moe, N. B.(2012). A Decade of Agile Methodologies:Towards Explaining Agile Software Development. The Journal of Systems and Software, 85: 1213-1221. | 미소장 |
23 | Evaluating the extent of inter-organizational learning and change in local authorities through the english beacon council scheme ![]() |
미소장 |
24 | Edquist, C., Hommen, L., and McKelvey, M. D.(2001). Innovation and Employment: Process versus Product Innovation. Edward Elgar Publishing. | 미소장 |
25 | Feller, I.(1982). Innovation Processes: A Comparison in Public Schools and Other Public Sector Organizations. Knowledge, 4(2): 271-291. | 미소장 |
26 | Gamble, A.(1994). Britain in Decline: Economic Policy, Political Strategy and the British State. Macmilla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 미소장 |
27 | Hood, C.(1994). Explaining Economic Policy Reversals.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8 | Organizational Innovation: The Influence of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Contextual Factors on Hospital Adoption of Technological and Administrative Innovations ![]() |
미소장 |
29 | Newman, J., Raine, J., and Skelcher, C.(2000). Innovation and Best Practice in Local Government:A Research Report.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Transport and the Regions. | 미소장 |
30 | From New Public Management to Public Value: Paradigmatic Change and Managerial Implications ![]() |
미소장 |
31 | Osborne, S. P.(2013). Voluntary Organizations and Innovation in Public Services. Routledge. | 미소장 |
32 | Implementing Public Innovations in Network Settings ![]() |
미소장 |
33 | Dilemmas in a General Theory of Planning ![]() |
미소장 |
34 | Rogers, E. M.(1995). Diffusion of Innovations: Modifications of a Model for Telecommunications. In M-W. Stoetzer, and A. Mahler (eds), Die Diffusion von Innovationen in der Telekommunikation (pp. 25-38). Berlin, Heidelberg: Springer. | 미소장 |
35 | The Performance Paradox in the Public Sector ![]() |
미소장 |
36 | INNOVATION TYPE AND DIFFUSION: AN EMPIRICAL ANALYSIS OF LOCAL GOVERNMENT ![]() |
미소장 |
37 | An Empirical Evaluation of Innovation Types and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owards a Configuration Framework ![]() |
미소장 |
38 | Walker, R. M., and Jeanes, E. L.(2001). Managing Public Services Innovation: The Experience of English Housing Associations. Policy Press. | 미소장 |
39 | Measuring Innovation – Applying the Literature‐Based Innovation Output Indicator to Public Services ![]() |
미소장 |
40 | WEF(2011). The Future of Government: Lessons Learned from around the World. Geneva: World Economic Forum. | 미소장 |
41 | WEF(2012). Future of Government – Fast and Curious. Geneva: World Economic Forum. | 미소장 |
42 | WEF(2018). Agile Governance – Reimagining Policy-making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Geneva: World Economic Forum. | 미소장 |
43 | 미래정부연구센터 홈페이지. 비전 및 목표. (n.d.) http://www.futuregov.re.kr/home/info/2028. (접속: 2020.08.19.) | 미소장 |
44 | 정부혁신 1번가. https://innogov.go.kr. (최종 접속: 2020.04.0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