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고는 일제시기 자은도 소작쟁의의 전개 과정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자은도 소작쟁의는 1925~26년이 중심이지만, 1933년에도 갈등이 재부상하였다. 자은도 소작쟁의에서 주목해야 할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은도민들이 소작쟁의에 나선 힘은 섬사람들의 네트워크에서 나왔다. 청년회와 소작인회를 주도한 인물들은 전남 항일운동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서 국내외 민족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하였다. 일반인들도 생활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시위에 참여하였다. 둘째, 소작인들이 저항한 상대는 지주와 식민권력의 연합체였다. 조선인 지주는 자신의 이해관계를 관철시키기 위해, 소작쟁의 주동자들을 사회주의자로 몰며 식민권력에 탄압을 요청했다. 1925년 등장한 가압류 제도와 공무집행방해죄는 지주가 어떻게 식민권력을 이용해 소작쟁의를 무력화시키려 했는지를 잘 보여준다. 따라서 일제시기 자은도 소작쟁의는 항일민족운동인 동시에 反지주 계급운동 성격을 겸비한 민족해방운동으로 기억할 필요가 있다.
In this paper, we looked at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Jaeun-do tenant disput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Jaeun-do tenant dispute was centered on 1925-26, but the conflict resurfaced in 1933.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should be noted in the Jaeun-do tenant dispute:First, the power of the people of Jaeun-do to engage in tenant dispute came from the network of the islanders. The leaders of the Youth Association and the Tenant Farmers’ Association were connected to the Jeonnam anti-Japanese network and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and socialistic movements at home and abroad. Ordinary people also participated in the dispute based on the sense of community. Second, the opponent the tenant resisted was a coalition of landlords and colonial powers. In order to carry out his interests, the Korean landlords of Shinan-gun called the leaders of the dispute as socialist and called on colonial powers to repress them. The provisional seizure system and the crime of obstruction of justice, which emerged in the tenant disputes of 1925, show how the landlords tried to use colonial power to neutralize the dispu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member that the Jaeun-do tenant disput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both an anti-Japanese national movement and an anti-landlord class movement. The term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is appropriate for this character.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조선일보 | 미소장 |
2 | 동아일보 | 미소장 |
3 | 시대일보 | 미소장 |
4 | 매일신보 | 미소장 |
5 | 木浦新報 | 미소장 |
6 | 京城日報 | 미소장 |
7 | (일본)관보 | 미소장 |
8 | 국사편찬위원회 편찬, 韓民族獨立運動史資料集 47, 2001. | 미소장 |
9 | 자은도 제적부 등초본(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 제공) | 미소장 |
10 | 강만길 외, 통일지향 우리민족해방운동사, 역사비평사, 2000 | 미소장 |
11 | 마츠다 도시히코 저, 김인덕 역, 일제시기 참정권 문제와 조선인, 국학자료원, 2004. | 미소장 |
12 | 역사비평 편집위원회 엮음, 역사용어 바로쓰기, 역사비평사, 2006. | 미소장 |
13 | 완도군항일운동기념사업회 편찬, 완도군 항일운동사, 2000. | 미소장 |
14 | 이기훈, 민주장정 100년, 광주․전남지역 사회운동 연구:민족독립운동, 전라남도․광주광역시 편찬, 2016. | 미소장 |
15 | 전라남도, 전남의 섬, 전남대학교출판부, 2002. | 미소장 |
16 | 조동걸, 일제하 한국농민운동사, 한길사, 1979. | 미소장 |
17 | 고석규, 「20세기 자은도의 시련과 화해」, 도서문화 21,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 2003, 43~76쪽. | 미소장 |
18 | 김경옥, 「18~19세기 전라도 나주목 자은도의 촌락편제와 인구변동」, 한국학연구 66,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2018, 5~38쪽. | 미소장 |
19 | 김상욱, 「자은도 소작쟁의」, 전남대 문화재학협동과정 석사학위논문, 2007. | 미소장 |
20 | 박상수, 「일제시기 전남 도서지역 농민운동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1993. | 미소장 |
21 | 박찬승, 「일제하 소안도의 항일민족운동」, 도서문화 11,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 1993, 1~43쪽. | 미소장 |
22 | 박찬식, 「구한말 전라도 지도 지방의 교안」, 국사관논총 58, 국사편찬위원회, 1994, 1~19쪽. | 미소장 |
23 | 장신, 「1920년대 민족해방운동과 치안유지법」, 학림 19, 연세대 사학연구회, 1998, 55~122쪽. | 미소장 |
24 | 정병준, 「암태도소작쟁의 주역의 세 가지 길:서태석, 박복영, 문재철」, 한국민족운동사연구 51,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7, 283~328쪽. | 미소장 |
25 | 大和和明, 「朝鮮農民運動の転換点」, 歷史評論 413, 歷史科學協議會, 1984, 2~27쪽. | 미소장 |
26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 미소장 |
27 | 국가기록원 독립운동 관련 판결문 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Main.do | 미소장 |
28 | 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 https://e-gonghun.mpva.go.kr | 미소장 |
2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