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만길, 1998, 『고쳐쓴 한국현대사』, 서울: 창비. | 미소장 |
2 | 김경희, 2018, 『근대국가 개념의 탄생』, 서울: 까치. | 미소장 |
3 | 김광재, 2017, 『대한민국 헌법의 탄생과 기원』, 서울: 윌비스. | 미소장 |
4 | 김기란, 2020, 『극장국가 대한제국』, 서울: 현실문화. | 미소장 |
5 | 김석준, 1996, 『미군정 시대의 국가와 행정』, 서울: 이화여대 출판문화원. | 미소장 |
6 | 김희곤, 2004, 『대한민국임시정부 연구』, 서울: 지식산업사. | 미소장 |
7 | 김희곤, 2015, 『임시정부 시기의 대한민국 연구』, 서울: 지식산업사. | 미소장 |
8 | 김준석, 2011, 『근대국가』, 서울: 책세상. | 미소장 |
9 | 도면회 외 공저, 2003, 『북한의 역사만들기 : 북한 역사학 50년』, 서울: 푸른역사. | 미소장 |
10 | 로버트 잭슨, 옥동석 역, 2016, 『주권이란 무엇인가』, 서울: 21세기북스. | 미소장 |
11 | 막스 베버, 박상훈 역, 2013, 『소명으로서의 정치』, 서울: 후마니타스. | 미소장 |
12 | 백낙청, 1998, 『흔들리는 분단체제』, 서울: 창비. | 미소장 |
13 | 사이먼 스위프트(Simon Swift), 이부순 역, 2010, 『스토리텔링 한나 아렌트』, 서울:앨피. | 미소장 |
14 | 서중석, 1997,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서울: 역사비평사. | 미소장 |
15 | 신규환, 2019, 『세브란스, 새로운 세상을 꿈꾸다』, 서울: 역사공간. | 미소장 |
16 | 신상준, 2006, 『개정 한국행정사』, 서울: 한국복지행정연구소. | 미소장 |
17 | 아쿠다가와 야스시(芥川也寸志), 김수희 역, 2019, 『음악의 기초』, 서울: AK. | 미소장 |
18 | 얀 지엘론카, 신해경 역, 2015, 『유럽연합의 종말』, 서울: 아마존의 나비. | 미소장 |
19 | 윤대원, 2006, 『상해시기 대한민국임시정부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20 | 윤해동, 2006, 『지배와 자치』, 서울: 역사비평사. | 미소장 |
21 | 이해영, 2019, 『임정, 거절당한 정부』, 서울: 글항아리. | 미소장 |
22 | 임현진ㆍ정영철, 2005, 『21세기 통일한국을 위한 모색』, 서울: 서울대출판부. | 미소장 |
23 | 조동걸, 1989, 『한국 근대사의 시련과 반성』, 서울: 지식산업사. | 미소장 |
24 | 조르조 아감벤, 박진우 역, 2008, 『호모 사케르』, 서울: 새물결. | 미소장 |
25 | 조슈아 키팅(Joshua Keating), 오수원 역, 2019, 『보이지 않는 국가들 – 누가 세계의 지도와 국경을 결정하는가』, 서울: 예문 아카이브. | 미소장 |
26 | 지그문트 바우만, 조형준 역, 2014, 『빌려온 시간을 살아가기』, 서울: 새물결. | 미소장 |
27 | 최장집, 1998, 『한국 민주주의의 조건과 전망』, 서울: 나남. | 미소장 |
28 | 한나 아렌트, 박미애역, 2013, 『전체주의의 기원 1』, 파주: 한길사. | 미소장 |
29 | 한영우 외, 2006, 『대한제국은 근대국가인가』, 서울: 푸른역사. | 미소장 |
30 | Ewout Frankema and Anne Booth eds., 2020 Colonial State in Asia and Africa, c. 1850-1960,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1 | James Hevia, 2012, The Imperial Security Sta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2 | Julian Go and Anne L. Foster eds., 2003, The American Colonial State in the Philippines, Duk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3 | Mikulas Fabry, 2010, Recognizing States – I nternational Society and the Establishment of New States Since 1776,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4 | Richard Joyce, 2013, Competing Sovereignty, Routledge. | 미소장 |
35 | Stephen D, Krasner, 1999, Sovereignty: Organized Hypocrisy, Princeto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6 | Thomas J. Biersteker and Cynthia Weber, 1996, State Sovereignty as Social Construct,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7 | 강선주, 2016, 「‘근대전환기’ 어떻게 탐구할 것인가? - 국민국가건설운동을 중심으로」, 『역사교육』 140집. | 미소장 |
38 | 김광식, 2011, 「한용운의 조선독립의 서 연구」, 『한용운 연구』, 동국대학교 출판부, 279-307쪽. | 미소장 |
39 | 김동택, 2010, 「대한제국기 근대국가 형성의 세 가지 구상」, 『21세기정치학회보』 제20집 1호. | 미소장 |
40 | 김성배, 2012, 「한국의 근대국가 개념 형성사 연구」, 『국제정치논총』 제52집 2호. | 미소장 |
41 | 김성주, 2006, 「주권개념의 역사적 변천과 국제사회로의 투영」,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27집 2호. | 미소장 |
42 | 김소영, 2011, 「재일조선유학생들의 ‘국민론’과 ‘애국론’」, 『한국민족운동사연구』 66호. | 미소장 |
43 | 김소영, 2015, 「한말 지식인들의 ‘애국론’과 민족주의」, 『개념과 소통』 16호. | 미소장 |
44 | 김영호, 2014, 「미국의 대한민국 정부 승인 정책에 관한 연구」, 『군사』 92호. | 미소장 |
45 | 김은지, 2019, 「대한민국임시정부 초기의 지방자치제 시행과 지방행정관청 운영」, 『역사와 담론』 91호. | 미소장 |
46 | 나용우, 2016, 「근대 주권의 진화와 유럽연합의 형성: 새로운 ‘공유주권’을 중심으로」, 『평화학연구』 제17권 5호. | 미소장 |
47 | 데이비드 헬드, 1991, 「민주주의, 민족국가, 그리고 지구촌」, 한상진 편저, 『마르크스와 민주주의』, 사회문화연구소, 352-361쪽. | 미소장 |
48 | 도진순, 2019, 「역사와 기억 – 건국연도와 연호, 그 정치적 함의」, 『역사비평』 126호, 2019, 393-422쪽. | 미소장 |
49 | 박명규, 2005, 「1910년대 식민통치기구의 형성과 성격」, 『한국 근대사회와 문화 Ⅱ』, 서울대출판부. | 미소장 |
50 | 아사노 토요미(淺野豊美), 최석환 역, 2002, 「일본제국의 통치원리 ‘내지연장주의’와제국법제의 구조적 전개」, 『법사학연구』 33호. | 미소장 |
51 |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연구, 1925-1945 | 소장 |
52 | 유병호, 2010,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안동교통국과 怡隆洋行」, 『한국민족운동사연구』62집. | 미소장 |
53 | 윤대원, 2009, 「임시정부법통론의 역사적 연원과 의미」, 『역사교육』 110호. | 미소장 |
54 | 윤덕영, 2010, 「일제하 해방직후 동아일보 계열의 민족운동과 국가건설노선」, 연세대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5 | 윤해동, 2014, 「뉴라이트운동과 역사인식」, 『탈식민주의 상상의 역사학으로』, 푸른역사, 110-143쪽. | 미소장 |
56 | 이기훈, 2019, 「건국절 논쟁의 역사적 함의」, 역사3단체 공동주최 학술대회 <국가정통론의 동원과 ‘역사전쟁’의 함정> 발표문. | 미소장 |
57 | 이승렬, 2005, 「일제하 중추원 개혁문제와 총독정치」, 『동방학지』 132집. | 미소장 |
58 | 정병준, 2009, 「1940년대 대한민국임시의정원의 건국 구상」, 『한국민족운동사연구』61집. | 미소장 |
59 | 정욱재, 2018, 「대한제국기 유림의 국가인식」, 『역사와 담론』 86집. | 미소장 |
60 | 조동걸, 1981,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조직」, 『한국사론』 10집. | 미소장 |
61 | 尹海東, 2015, 「韓国における植民地国家と植民地の「グレーゾーン」」, 『史潮』 78号. | 미소장 |
62 | 김태훈, 2019, 「김정은 만난 뒤, 대통령 입에서 ‘건국 100년’이 사라졌다」, 『조선일보』 2019. 4. 11. | 미소장 |
63 | 「대한민국건국강령」, 『대한민국임시정보공보』 72호,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1 - 헌법ㆍ공보』,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미소장 |
64 | 「대한민국 건국논쟁 이것이 궁금하다 5」, 『조선일보』 2017. 8. 30. | 미소장 |
65 | 「대한민국 임시관제」, 『大韓民國臨時政府公報號外』,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1 - 헌법ㆍ공보』,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미소장 |
66 | 「대한민국임시헌법」,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1 - 헌법ㆍ공보』,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미소장 |
67 | 「대한민국임시헌장」,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1 - 헌법ㆍ공보』,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미소장 |
68 | 문재인, 2017, 「제72주년 광복절 경축사」, 『위키문헌』(https://ko.wikisource. org/wiki). | 미소장 |
69 | 「임시정부의 대일선전성명서」,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16 - 외무부』,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미소장 |
70 | 「진영에 갇힌 건국논쟁 1-3」, 『중앙일보』 2017. 9. 13-15. | 미소장 |
71 | 賀其治, 「대한민국임시정부가 발표한 비망록 요점」,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25 –중국의 인식』,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미소장 |
72 | 한용운, 1919, 「조선독립의 서」(「朝鮮獨立에 對한 感想의 大要」, 『독립신문』 1919. 11. 4). | 미소장 |
73 | 한용운, 「독립은 민족의 자존심」, 『동아일보』 1920. 9. 2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