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노사학파, 호남 최초로 의병의 깃발을 세우다 : 기우만·박원영·김익중 선생 / 월간 순국 1

노사학파 대표 유학자, 기우만 단명한 형제 대신하여 조부의 학문 잇다 1

전라도 최초로 의병을 알으키다 2

장성의병과 나주의병, 선공후사 정신으로 협력 4

장성의병의 활동과 해산 5

호남의병 기록의 백미(白眉), 기우만의 「호남의사열전」 7

박원영과 김익중의 의로운 순국 '광주회맹'에 앞장선 박원영 10

호남창의회맹소 최초 순국자, 김익중 11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단체·인물 암기보다 현재 관점서 자신의 삶 성찰 과정과 연결해야 : 학교 현장에서 바라본 독립운동사 교육 실상과 과제 글: 이종관 p. 30-37

보기
잊혀진 역사를 기록하고 기억해야 할 의무 : 박병석 21대 전반기 국회의장 글: 월간 순국 편집부 p. 10-15

보기
이념적 편향성 지양 항일운동에 대한 객관적 연구 필요 : 역사교육(독립운동사) 현주소와 나아갈 길 글: 김학준 p. 18-23

보기
식민지배 저항만이 아닌 독립운동 속 내재된 가치와 의미 다뤄야 : 역사교육에 비친 한국근대사 글: 김한종 p. 24-29

보기
독립운동사 이해하는 안목 키우려면 공간 직접 경험해야 : 학교 밖 역사교육 활성화 방향 모색 글: 김대용 p. 38-43

보기
조국 독립이 가장 큰 가치 : 청산리대첩의 최고 주역, 김좌진(金佐鎭) 장군 글: 월간 순국 편집부 p. 44-46

보기
독립항쟁가 탄압의 상징, 종로경찰서를 태운 불꽃 : 김상옥(金相玉) 의사 글: 월간 순국 편집부 p. 47-49

보기
생지옥 속에서 샛별처럼 빛나던 눈들을 기억하길 : 박경목 서대문형무소역사관 관장 글·사진: 월간 순국 편집부 p. 50-55

보기
노사학파, 호남 최초로 의병의 깃발을 세우다 : 기우만·박원영·김익중 선생 월간 순국 p. 56-68

보기
탁월한 전투지휘로 748고지 탈환 성공 : 김갑태 대한민국 육군 중령 월간 순국 p. 69

보기
평생 바른 역사 옳게 지켜내고자 혼신 다한 의병장, 민족수호 위해 역사적 자살 감행 : 면암 최익현 의병장 글: 최진홍 p. 70-75

보기
국가는 후손들 삶 외면… 행방불명 · 백색테러 · 고아원 전전, 3대 이어지도록 고통스런 삶 계속되어 : 독립운동가와 가족 수난사 글: 김병기 p. 76-86

보기
독립운동의 새로운 빛, 제국주의 심장 향해 분노를 던지다 : 애국청년 이봉창의 투혼, 일왕을 향하다 글: 권용우 p. 87-90

보기
일본의 젊은 지성, 군국주의 기틀 마련하다 : 인맥 기반으로 서구 열강에 자국 중심 논리 전파 글: 신복룡 p. 91-95

보기
모든 계층 연속 시위, 23일간 21번 '독립만세' : 독립운동의 본 고장, 경북 3·1운동 시발지 : 경북 의성군의 만세시위 글: 이정은 p. 96-100

보기
"나는 죽을지라도 한민족을 구하라" : 한국 독립운동에 함께한 외국인 독립 영웅들 글: 월간 순국 편집부 p. 101-104

보기
비운의 헤이그 특사, 역사의 토네이도 속으로 사라지다 : 헤이그 특사 이위종 선생의 발자취를 찾아서 글: 강소이 p. 106-113

보기
솔아, 너는 어찌 눈서리를 모르느냐 : 처절한 독립투쟁에서 변치 않았던 그들 : 애국선열 혼이 잠든 곳, 서울 용산 여행 글: 월간 순국 편집부 p. 114-118

보기
세계에서 유례 찾기 힘든 '위대한 유산' : 우리 삶 속에서 전승되어온 한국의 정체성 : '문화민족'의 역사, 국가무형문화재 글: 월간 순국 편집부 p. 120-124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