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조음 음운 치료 원리를 접목한 화상 한국어 발음 교수 방안 : Suggestions of one-on-one tele-education for Korean pronunciation incorporating the principles of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therapy : focusing on the confrontation of the trigeminal contrast between the plosives and the affricates / 파열음·파찰음의 삼지적 대립을 중심으로 / 홍성미 ; 김지형 1
차례 1
국문초록 1
1. 서론 2
1.1. 연구 목적 2
1.2. 중국어와 베트남어 화자의 한국어 발음 특성 4
2. 실험 개요 6
2.1. 연구 대상자 7
2.2. 조음 음운 치료 원리에 접목한 한국어 발음 교육 8
2.3. 화상 한국어 발음 교육을 위한 평가 도구 10
2.4. 화상 교육을 활용한 한국어 발음 지도 12
3. 연구 결과 18
3.1. 화상 교육을 통한 한국어 발음 교육 평가 결과 18
3.2. 학습자 만족도 설문 결과 22
4. 결론 23
참고문헌 28
Abstract 30
[부록] 32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미성·이상직, 「언어치료 관점에서 본 한국어 발음 교육」, 『인문학연구』 87호,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181-203쪽. | 미소장 |
2 | 김소야, 「한국어 평음/경음/기음에 대한 중국인의 지각적 범주 연구」, 『이중언어학』 제32호, 이중언어학회, 2006, 57-79쪽. | 미소장 |
3 | 김소현·김영주, 「베트남인 화자의 한국어 파찰음 발음 연구」, 『한국어학』 59, 한국어학회, 2013, 145-168쪽. | 미소장 |
4 | 김수진·신지영, 『조음음운장애』, 시그마프레스, 2009. | 미소장 |
5 | 김영태·김수진·이희란, 「주기를 이용한 기능적 조음치료법의 치료 및 일반화 효과에 관한 연구」, 『말언어장애연구』 제2권, 한국언어병리학회, 1997, 65-88쪽. | 미소장 |
6 | 김영태·신문자, 『우리말 조음·음운평가(U-TAP)』,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 2004. | 미소장 |
7 | 김유신·김유·안성우, 「음운인식 프로그램이 조음음운장애유아의 음운인식능력과 조음오류개선에 미치는 효과」, 『언어치료연구』 제18권 제1호, 한국언어치료학회, 2009, 99-116쪽. | 미소장 |
8 | 김지숙, 「베트남어권 학습자의 오류 연구」, 『한국어 교육』 제18권 1호, 국제한 국어교육학회, 2007, 49-71쪽. | 미소장 |
9 | 김지형,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를 활용한 한국어 자모 및 발음 교육 방안」, 『국어국문학』 147, 국어국문학회, 2007, 221-258쪽. | 미소장 |
10 | 김지형,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에 대한 한국인 모어 화자의 청각 인지 반응: 중국인 학습자의 자음 발음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 제28권 2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7, 37-60쪽. | 미소장 |
11 | 김훈태, 「루마니아어 모어 화자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일반인과 초급단계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주어문』, 제38권, 영주어문학회, 2018, 211-246쪽. | 미소장 |
12 | 김효숙, 「모음사이의 예사소리와 된소리의 구분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말소리』 33-34호, 대한음성학회, 1997, 1-10쪽. | 미소장 |
13 | 민광준, 「일본어 어두 유성파열음의 +VOT화와 음성교육」, 『일본어학연구』 제62집, 한국일본어학회, 2019, 63-78쪽. | 미소장 |
14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한국어 교육학 사전』, 하우, 2014. | 미소장 |
15 | 석동일, 「하이브리드 접근법에 의한 조음음운장애 치료 효과」, 『언어치료연구』 제18권 1호. 한국언어치료학회, 2009a, 73-87쪽. | 미소장 |
16 | 석동일,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조음음운치료에서 음성적 치료와 음운적 치료의 효과 비교」, 『언어치료연구』 제18권 4호, 한국언어치료학회, 2009b, 55-73쪽. | 미소장 |
17 | 오재혁, 「중국인 학습자의 발성 유형에 따른 한국어 폐쇄음의 변별 지각 양상」, 『한국언어문화학』, 제10권 제1호,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3, 57-73쪽. | 미소장 |
18 | 이경희·정명숙, 「한국어 파열음의 음향적 특성과 지각 단서」, 『말소리와 음성과학』 제7권 제2호, 한국음성과학회, 2000, 139-155쪽. | 미소장 |
19 | 이석재·김정아·장재웅,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음성 코퍼스 구축 방안 연구: 중국어권 화자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제33호, 중국어문학연구회, 2005, 35-53쪽. | 미소장 |
20 | 이정호, 『訓民正音의 構造原理: 그 易學的 方法』, 亞細亞文化社, 1975/1990. | 미소장 |
21 | 장향실,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음운 규칙 항목 선정 연구」, 『한국언어문학』 제65집, 한국언어문학회, 2008, 137-158쪽. | 미소장 |
22 | 전나영,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문제와 교수 방법」, 『문법교육』 제8집, 한국문법교육학회, 2008, 249-278쪽. | 미소장 |
23 | 한성우,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맞춤형 한국어 발음 교재 연구」,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제9집 2호,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8, 103-128쪽. | 미소장 |
24 | 허용·김선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교육론』, 박이정, 201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