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수집 유전자원의 작물학적 특성과 다변량분석을 통한 품종군을 분석하여 고품질 마늘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마늘 수집 유전자원 160종에 대한 엽 특성 중에서 출현일수의 변이계수가 84.8%로 가장 높았고, 초장과 엽수의 변이계수는 10.1 ~ 10.2%로 다른 형질에 비해 변이가 적었다. 중국 유전자원은 출현일수가 다른 국가의 유전자원 보다 빠른 경향을 보였고, 엽 특성이 다른 국가보다 가장 양호하였다. 구의 특성 중에서 구중과 인편수가 각각 24.3%, 25.7%로 수집종간에 높은 변이를 보였고, 구고와 구경은 각각 7.5%, 11.1%로 수집종 간에서 변이차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엽의 양적 형질 중에서 가장 양호한 생육을 보였던 중국 유전자원이 구 특성에서도 가장 우수하였다. 마늘의 12개 양적형질의 상관 분석에서 수량과 밀접히 관계하는 구중과 구경은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r = 9.0)를 보였다. 지상부의 초장, 엽초장 및 엽수가 구중과 정의 상관을 나타내어 지상부의 생육이 양호할수록 지하부의 생육도 양호하였다. 양적형질에 대하여 주성분 분석한 결과, 고유값1이상을 기준으로 상위 제 5주성분까지의 5개의 주성분으로 전체변이의 77.11%를 설명할 수 있었고, 제 1 ~ 5주성분까지의 주성분 점수를 이용하여 6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Ⅱ군집이 가장 많은 유전자원이 포함되었으며, 특히 국내 수집종 39자원 중에서 36자원이 포함되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Baghalian, K., M.R. Naghavi, S.A. Ziai and H.N. Badi. 2006. Post-planting evaluation of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allicin content in Iranian garlic (Allium sativum L.) ecotypes. Sci. Hortic. 107(4):405-410. | 미소장 |
2 | Baghalian, K., S.A. Ziai, M.R. Naghavi, H.N. Badi and A. Khalichi. 2005. Evaluation of allicin content and botanical traits in Iranian garlic (Allium sativum L.) ecotypes. Sci. Hortic. 103(2):155-166. | 미소장 |
3 | Camargo, A., R. Masuelli and J. Burba. 2005. Characterization of Argentine garlic cultivars for their allicin content. Acta Hort. 688:309-312. | 미소장 |
4 | Cheshmedhiev, I. 1973. A cytotaxonomic investigation of the cultivated Allium species in Bulgaria. Genetikai Selektsiya 6:283-294. | 미소장 |
5 | Figliuolo, G., V. Candido, G. Logozzo, V. Miccoli and P.L. Spagnoletti-Zeuli. 2001. Genetic evaluation of cultivated garlic germplasm (Allium sativum L. and A. ampeloprasum L.). Euphytica 121:325-334. | 미소장 |
6 | Hwang, J.M. 1993. Genetic divergence and classification of garlic cultivars by multivariate analysis. J. Korean Soc. Hortic. Sci. 34(4):257-264 (in Korean). | 미소장 |
7 | Hwang, J.M. 1994. Effects of seed garlic storage before seeding and soil temperature during winter on the growth and bulb development in garlic (Allium sativum L.). Bulletin of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1:45-54(in Korean). | 미소장 |
8 | Hwang, J.M. and B.Y. Lee. 1990. Effect of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on rooting and sprouting of garlic. J. Korean Soc. Hortic. Sci. 31:15-21 (in Korean). | 미소장 |
9 | Jabbes, N., I. Arnault, J. Auger, B. Al Mohandes Dridi and C. Hannachi. 2012. Agro-morphological markers and organosulphur compounds to assess diversity in Tunisian garlic landraces. Sci. Hortic. 148:47-54. | 미소장 |
10 | Janmohammadi, M., Z. Movahedi, and N. Sabaghnia. 2014.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of some traits of bread wheat for breeding under rainfed conditions.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s Belgrade 59(1):1-14. | 미소장 |
11 | Kamenetsky, R., I.L. Shafir, M. Baizerman, F. Khassanov, C. Kik and H.D. Rabinowitch. 2004. Garlic (Allium sativum L.)and its wild relatives from Central Asia: evaluation for fertility potential. Acta Hort. 637:83-91. | 미소장 |
12 | Keim, P., W. Beavis, J. Schupp and R. Freetstone. 1992. Evaluation of soybean RFLP marker diversity in adapted germplasm. Theor. Appl. Genet. 85:205-212. | 미소장 |
13 | Lee, W.S. 1974. Studies on dormancy of Korean local garlics. J. Korean. Soc. Hort. Sci. 15:119-141 (in Korean). | 미소장 |
14 | Mirzaei, R., H. Liaghati and A.M. Damghani. 2007. Evaluating yield quality and quantity of garlic as affected by different farming systems and garlic clones. Pak. J. Biol. Sci. 10(13):2219-2224. | 미소장 |
15 | Ogawa, T., N. Mori and N. Matsubara. 1975. The studies on the ecological distribution and bulbing habit of garlic plant. Bull. of Nagasaki Agri. and For. Exp. Stat. 3:9-15. | 미소장 |
16 | Panse, R., P.K. Jain, A. Gupta and D.S. Sasode. 2013. Morphological variability and character association in diverse collection of garlic germplasm. Africa. J. Agric. Res. 8(23):2861-2869. | 미소장 |
17 | Panthee, D.R., H.N. Regmi, P.P. Subedi, S. Bhattarai and J. Dhakal. 2006. Diversity analysis of garlic (Allium sativum L.) germplasms available in Nepal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Genetic Resources and Crop Evolution 53:205-212. | 미소장 |
18 | Pooler, M.R. and P.W. Simon. 1993. Character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isozyme and morphological variation in a diverse collection of garlic clones. Euphytica 68:121-130. | 미소장 |
19 | Raju, P., P.K. Jain, G. Avneesh and D.S. Sasode. 2013. Morphological variability and character association in diverse collection of garlic germplasm. Africa. J. Agric. Res. 8(23):2861-2869. | 미소장 |
20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4. Manual for agricultural investigation. RDA, Jeonju, Korea. p. 86 (in Korean). | 미소장 |
21 | Wang, H., X. Li, D. Shen, Y. Oiu and J. Song. 2014. Diversity evaluation of morphological traits and allicin content in garlic (Allium sativum L.) from China. Euphytica 198:243-25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