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예원, 안지현, 유수연, 이혜영 (2018).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파주: 한국학술정보. |
미소장 |
2 |
박병준, 김세서리아, 신승환, 이진오, 정현석 (2020). 코로나 블루, 철학의 위안. 서울: 지식공작소. |
미소장 |
3 |
신승환 (2002). 예술이란 무엇인가. 우리사상연구소 (편). 우리말 철학사전 2(pp. 201-226). 파주: 지식산업사. |
미소장 |
4 |
신승환 (2008). 문화 예술 교육의 철학적 지평. 파주: 한길아트. |
미소장 |
5 |
신승환 (2020). 포스트휴머니즘의 유래와 도래. 서강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6 |
홍성욱 (2019). 포스트휴먼 오디세이. 서울: 휴머니스트 |
미소장 |
7 |
Aristoteles (2006). Ethica nicomacheia. (강상진, 김재홍, 이창우 역). 니코마코스 윤리학. 서울: 이제이북스. |
미소장 |
8 |
Beiser, F. (2011). The Romantic imperative. (김주휘 역). 낭만주의의 명령, 세계를 낭만화하라. 서울: 그린비. (원저출판, 2003) |
미소장 |
9 |
Bookchin, M.(2002). Re-enchanting humanity. (구승회 역). 휴머니즘의 옹호. 서울: 민음사. (원저출판, 1995) |
미소장 |
10 |
Bostrom, N. (2014). Superintelligence: Paths, dangers, strategies. Oxford: Oxford Univ. Press. |
미소장 |
11 |
Braidotti. R. (2015). The posthuman. (이경란 역). 포스트휴먼. 서울: 아카넷. (원저출판, 2013) |
미소장 |
12 |
Deleuze, G. (1994a). Différence et répétition. (P. Patton, Trans.). Difference and repetition. Columbia Univ.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68) |
미소장 |
13 |
Deleuze, G., & Guatttari, F. (1994b). Qu'est-ce que la philosophie? (H. Tomlinson & G. Burchill, Trans.). What is philosophy? Verso. (Original work published 1991) |
미소장 |
14 |
Frank, M. (1989). Einführung in die frühromantische Ästhetik, Frankfurt/M. |
미소장 |
15 |
Fukuyama, F. (2002). Our posthuman future: Consequenses of the biotechnology revolution. London: Profile Books. |
미소장 |
16 |
Hadot, P.(1980). Leben. In Ritter, J. (Eds.), Historisches wörterbuch der philosophie (pp. 52-56). Basel: Stuttgart. |
미소장 |
17 |
Hayles, N. K. (2013). How we became posthuman. (허진 역).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는가. 서울: 플래닛. (원저출판, 1999) |
미소장 |
18 |
Heidegger, M. (2008). 숲길. (신상희 역). 나남출판사. (원저출판, 1950) |
미소장 |
19 |
Heidegger, M. (1954). Die Frage nach der Technik. In Vorträge und Aufsätze, Pfullingen, pp. 13-44. |
미소장 |
20 |
Heidegger, M. (1959). Unterwegs zur Sprache. Pfullingen. |
미소장 |
21 |
Herbrechter, S. (2009). Posthumanismus, eine kritische Einführung. Darmstadt. |
미소장 |
22 |
Kandel, E. (2020). The disordered mind. (이한음 역). 마음의 오류들. 서울: RHK. (원저출판, 2018) |
미소장 |
23 |
Kurzweil, R. (2007). The singularity is near: When humans transcend biology. (장시형ㆍ김명나 역). 특이점이 온다: 기술이 인간을 초월하는 순간. 파주: 김영사. (원저출판, 2005) |
미소장 |
24 |
Latour, B. (1993). Nous n'avons jamais été modernes: Essai d' anthropologie symétrique. (C. Porter, Trans.). We aave never been modern. Cambridge, MA: Harvard Univ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91) |
미소장 |
25 |
Loh, J. (2018). Trans- und Posthumanismus, zur Einführung. Junius: Hamburg. |
미소장 |
26 |
Louth, A. (2001). The origins of the Christian mystical tradition: From Plato to Denys. (배성옥 역). 서양 신비사상의 기원: 플라톤에서 디오니시우스까지. 서울: 분도출판사. (원저출판, 1981) |
미소장 |
27 |
Sartre, J. P. (2008). L'existentialisme est un humanisme. (박정태 역).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서울: 이학사. (원저출판, 1946) |
미소장 |
28 |
Shiner, L. (2007). The invention of art. (김정란 역). 예술의 탄생. 파주: 들녘. (원저출판, 2001) |
미소장 |
29 |
Sloterdijk, P. (2004). Regeln fuer den Menschenpark. (박미애ㆍ이진우 역). 인간농장을 위한 규칙. 파주: 한길사. (원저출판, 1999) |
미소장 |
30 |
Sloterdijk, P. (2013). You must change your life. (W. Hoban, Trans.). You must change your life. Malden. MA/Cambridge: Polity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2009)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