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장기간의 목표에 대한 관심과 노력을 나타내는 그릿은 연령변화 등 시간 경과에 따라 향상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국내에서 구명된 사례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생도들의 삶의 목표인 첨단 전투기 조종사에게 요구되는 9Gz+ 검사 시점에서 통과 여부에 따른 그릿을 비교하고, 생도 시절의 그릿을 추적하여 검사 시점까지의 변화 여부와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9Gz+ 검사 진입과 통과 여부에 따라 생도 시절의 그릿을 동기생들과 비교하고, 검사 진입자들의 생도 시절 대비 9Gz+ 검사 시점까지의 그릿 변화와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9Gz+ 내성 검사까지 진입한 자원은 참여자 총 110명중 17명이었으며, 생도 시절 동기생 대비 노력 수준에서 약 4% 높은 경향을 보였고, 검사시점에서는 통과자 8명의 그릿과 관심이 미통과자들에 비해 2∼3%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둘째, 9Gz+ 검사 진입자들은 생도 시절 대비 그릿, 관심, 노력 수준이 공통적으로 향상되었으며, 특히, 통과자들은 그릿 8%, 관심 13% 이상 향상되어 미통과자들에 비해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생도시절 노력 수준이 높은 경향을 보일 때 임관 후 9Gz+ 검사에 진입하고, 통과에는 그릿과 관심 수준이 생도 시절 대비 크게 향상될수록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향후, 모집단을 확대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의 유학생 만족도와 향후 개선 방안 :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s in university on-line classes : based on P university case study / P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안한나, 김주연, 김훈, 박명수, 이수정 p. 1-23
관계기반 근로자지원교육프로그램(R-EAP)의 구현을 위한 학습자중심 활동방법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 Hermeneutical understanding of the learner-centered activity methods for materializing relations-based employee assistance education program(R-EAP) 김현경, 유영만 p. 235-265
예비음악교사의 교직 선택 동기에 관한 탐색 = A study on pre-service music teachers’ motivations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김현미 p. 1509-1530
국제학업성취도를 통해 살펴본 수학과 과학 교수·학습 환경 탐색 = Exploring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of mathematics and science of Korean students through international achievement test 김현정, 최인선 p. 209-234
플립드러닝 기반 대학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 효과,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 및 인식 연구 = Effects of flipped learning in college English instruction on students'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perception 김혜경, 한수미 p. 101-127
농어촌 고등학생의 MSCI 진로 집단상담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내용분석 =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rural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s in the MSCI career group counseling 김혜영, 임은미 p. 183-207
초등 도덕과 정보윤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 변천 = An analysis on changes of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curricular and textbooks in elementary education level 남미주, 김정효, 황은경, Jin Chunlan p. 661-690
중학생의 친구 및 교사관계와 학업열의 간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er relationship,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nd academic engag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남지영, 정혜원 p. 1279-1298
COVID-19로 인한 기술교과 원격수업 현황과 기술교사의 인식 = Current status of online instruction in technology education and recognition of technology teachers due to COVID 19 모주순, 함형인 p. 931-950
관계상실경험 대학생의 인지적 유연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with a relational loss : a mediation effect of meaning reconstruction / 의미 재구성의 매개효과 박인영, 조한익 p. 1163-1185
중년후기의 고독감, 자기자비, 사회적자본과 사회적자기효능감 및 심리적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self-compassion, social capital, social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late-middle age 박해임, 김아영, 천성문, 박은아, 전혜정 p. 1455-1479
중등영어교사의 수업 전문성 계발 실태 및 인식조사 = Secondary English teachers’ practices and perception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박혜영, 민찬규 p. 951-971
어머니의 일-가정 역할갈등이 학령초기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Dual earner mother’s work-family conflict, and its associations with early school-aged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 dual mediating effect of mother’s warm parenting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실행기능 곤란의 이중매개효과 배소라 p. 1411-1431
초등학생의 대처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oping efficacy scale(C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Korea 선곡유화, 서우석 p. 1257-1277
가정과 연계한 회복탄력성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 및 자아효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resilience activities in home-linked young children’s on self-regulation and self-efficacy 소영란, 김민영 p. 165-182
청소년 체험활동이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youth activities on academic enthusiasm : focusing on the mediated effect of grit and self-esteem / 자아존중감과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진수, 정혜원 p. 1299-1318
대학생의 진로미결정 예측요인 = The prediction factors of career indecision in university students 최현지, 이은희 p. 1013-1030
음악과 표현 영역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과정 중심 평가 설계 방안 : Designing process-based evaluation for the expression area in the music curriculum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 focused on Korean music for grade 5 and 6 in elementary schools / 초등학교 5~6학년 국악을 중심으로 한윤이 p. 549-579
초등학생의 낙관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 Elementary school students’ optimism and post-traumatic growth :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희정, 김유미 p. 641-660
초등학생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한희진, 양정호 p. 1213-1231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직경력의 조절효과 =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professional commitment of preschool teachers : the moderating role of working years 허혜경 p. 787-812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체육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수업 실천 사례연구 : A case study about developing physical exercise activity programs and practicing class ready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focusing on physical exercise activity programs based on future ecological education / 미래형 생태주의 교육에 입각한 체육활동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박지영 p. 1559-1587
L2 읽기에서의 L1 읽기 이해력과 L2 언어 능숙도의 상호보상효과 = The interactive compensation effects of L1 reading comprehension and L2 language proficiency on L2 reading ability 정소영, 엄철주 p. 1319-1339
사이버대학 교양체육 학습자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affecting learning outcomes of cultural physical education students in cyber university 정유미 p. 81-99
<오늘이>에 나타난 순수기억의 시간과 생명적 공간 = A study on vital space and the time of pure memory in <Oneuri> : focused on picture books and animation <Oneuri> 정은주 p. 855-879
메이커 활동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창의성 및 정서지능 비교 = Comparative study of adolescent’s creative trait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experience of maker 정진경, 박인영, 최인수 p. 339-352
과학 과목 정의적 영역에서 우리나라 중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Exploring factors affecting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affective domain of science subjects 조명근 p. 1233-1255
고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 외적 연결성 = An analysis of mathematics textbooks for tenth graders based on external mathematical connections 조수미, 신인선 p. 1433-1453
상담자교육 평가모형 : An evaluation model for counselor education : on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CCS-R in South Korea / CCS-R의 국내 적용가능성 및 도입과제 조항, 김나영 p. 581-604
박정희 시대 국가주의 교육이념의 형성과 비판적 고찰 : Formation and critical consideration of the nationalist education of the Park Chung-hee era : focusing on three ideology / 세 가지 교육이념을 중심으로 최성광 p. 143-163
팀빌딩을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프로그램이 임상실습 입문 전 간호대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program using team building among nursing students before intro to clinical practice 최윤숙, 배주희 p. 25-48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습 읽기 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Factors influencing primary school teachers’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in social studies classes :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 계획된 행동 이론을 중심으로 최정순, 임수연 p. 1031-1049
전문대 여학생의 직업목표불일치와 학업지속의향의 관계 :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goal discrepancy and learning persistence of female college students :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locus of control / 진로통제소재의 조절효과 임수연, 문성미, 이수정 p. 813-832
은퇴를 앞둔 중등여교사의 자아정체성 재탐색에 관한 연구 = Renegotiation of identity in women pre-retirees : the case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임숙희, 윤초희 p. 759-786
초등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읽기 양상 비교 분석 : Analysis of the reading pattern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Korean language lesson plan based on using eye tracker /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하여 장동민 p. 373-401
학교운동부지도자 리더십 행동유형과 학생선수의 마인드셋, 운동몰입, 운동지속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alationship among school athletic coach’s leadership types, mindset of student athletes, exercise flow and exercise adherence 장지현, 정구인 p. 1069-1094
넬 나딩스의 행복교육론이 한국 교육에 주는 시사 = Implications of Nel Noddings' happiness education theory for Korean education 전성수, 박한숙 p. 1341-1362
Covid-19 시대 초등학교 체육 수업에 대한 반성과 미래를 위한 준비 = Reflection on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during the COVID-19 era and preparation for the future 전영한 p. 721-742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한 '유치원 3법' 정책형성과정 분석 = An analysis of the 'Kindergarten 3 laws' policy based on Kingdon's multiple streams framework model 정성수, 이현수 p. 497-521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과 자기위로능력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role of self esteem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mpathy and soothing ability among college students 오미경, 정남운 p. 403-425
이북 창작 동화에 나타난 언어문화 양상 읽어내기 : Reading the language and culture aspects of North Korean creative fairy tales : focusing on General Axe and Geumgang nymph / 『도끼장군』과 『금강선녀』를 중심으로 오현아 p. 449-465
교사의 교육과정 분석 현상 탐구 = Exploring the phenomenon of teacher's curriculum analysis 유성열, 이찬희, 남승종, 김상헌, 정광순 p. 1095-1118
아동 정신건강 지원 중재 프로그램 고찰 : A study on the intervention program to support the children's mental healthy of children : focused on the domestic degree paper / 국내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유희정 p. 881-905
예비유아교사의 프로젝트 접근법 활용 : Application of project approach 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experiences of child and play centered / 유아중심, 놀이중심 교육과정 경험 이근영 p. 833-854
대학 모델과(科) 학생이 인지하는 자기결정성과 정서조절, 전공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 in self-determination, emotional regulation and major satisfaction of model department students : substantiation of parallel mediation in emotional regulation / 정서조절의 병렬매개효과 검증 이민주, 이한성 p. 993-1012
2019개정 누리과정 현장 적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 2019 revised Nuri course on-site application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이성희, 이미영 p. 467-496
'놀이 중심 교육과정 전환' 에 따른 예비유아교사교육에서의 세 가지 쟁점 연구 = A study on three important ideas abou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after the ‘play-based curriculum change’ 이연선, 연희정 p. 1481-1507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직무환경 및 정서지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relationship among resilience, job environm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s 이채호, 박은지, 임명하 p. 427-447
대학 혁신수업 평가방법 및 수업혁신 포트폴리오 평가준거 개발 = Developing the evaluation method and teaching portfolio criteria for the innovational instruction in university 이한샘, 서은희 p. 353-372
유아 놀이성이 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또래유능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and playfulness in young children students 박지영, 서의정, 한상길 p. 743-758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직업계고 교육 운영 방안 = Operation plan for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through community-based 강경균, 윤지아, 홍영지, 백민정 p. 523-547
서사교육 제재로서 웹툰의 활용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value of webtoons as material text for narrative education : focused on the irony in <Misaeng> / <미생>에 나타난 아이러니를 중심으로 강서희 p. 605-624
대학 수업계획서의 설계 실태 및 개선방안 탐색 = Exploring the design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university's syllabus 강정찬, 박한숙 p. 1119-1143
기업 내 교육훈련 전이의 영향요인 및 성과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on the influential factors and performance of the transfer of training in the enterprise 고귀영, 서예린, 유현주 p. 281-311
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 변화 과정 연구 : A study on processes of change in gender sensitivity : college students’ group counseling experiences /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신나라, 신지영, 한상미 p. 1363-1384
9Gz+ 검사 진입 조종사의 현재와 생도 시절 그릿 관계 분석 = Senior cadets' grit and improvement effect in 9Gz+ test 신승환, 이동호 p. 625-640
초등교사의 원격수업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of distance learning 안서헌, 김준, 이정표 p. 1385-1410
초등학교 체육교과서에 반영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양상 = Media literacy content aspects reflected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권정아, 박재정 p. 973-991
한국과 미국 중학교 교과서의 기하영역 수학과제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mathematical tasks in middle-school geometry of Korea and the US 권하나, 김구연 p. 1531-1557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adult attachmen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expressiveness 김미정 p. 1051-1068
진로역량 중심의 교과통합형 초등학교 진로 교육과정 및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curriculum and design method of curriculum and class for the integrated elementary school based on career competence 김선영 p. 313-338
영·유아교사의 도덕적 가르침에 대한 소고 = A discussion on moral teach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ontexts 김성환 p. 129-142
신분과 성별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 응시생의 시험치기 전략 사용의 차이 = Differences in the use of test-taking strategies in English part of the CSAT according to their status and gender 김신애, 이제영 p. 1145-1161
발달장애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문제행동 대처경험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problem-coping experiences of mothers with developmental disabled adolescents 김웅기, 조민아 p. 49-80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학부모위원의 활동경험과 지원방안에 대한 질적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activity experience and support of the parent members of the autonomous committee for school violence countermeasures 김정숙, 유금란 p. 691-720
우울과 지연행동(학업, 일반)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rocrastination(academic, general) 김종건, 홍지영 p. 1187-1211
Q방법론을 활용한 심리상담사의 소진에 대한 주관성 연구 = Subjectivity of psychological counselor toward burnout using Q methodology 김좌겸, 이상희 p. 907-929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중학생의 뇌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regular physical activity on brain activ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김태훈 p. 267-279

참고문헌 (4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공군사관학교 (2017). 공군사관생도의 Grit과 성취도, G-test 결과 간 관계 연구(연구보고 KAFA 국고-17-A-3). 충북: 공군사관학교. 미소장
2 공군사관학교 (2020). 교육계획서. 충북: 공군사관학교. 미소장
3 구명수 (2002). 공중근무자의 G내성 강화를 위한 체력단련 프로그램. 운동과학, 11(1), 211-220. 미소장
4 권정희, 정미예 (2019). 대학생의 행복추구경향과 학업지속의향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6(9), 345-369. 미소장
5 김동원, 이소의, 이상, 안해철, 구승룡, 김찬 (2004). 일부 대한민국 공군 조종사의 항공생리 신체검사 및 가속도 내성훈련에 대한 보고. 항공우주의학회지, 14(1), 1-11. 미소장
6 김윤섭, 허찬영 (2018). 비인지적 특질이 공군 비행훈련성과에 미치는 영향: 신중한 연습의 조절효과. 기업경영리뷰, 9(3), 43-59. 미소장
7 박승언, 한승용 (2019). 태권도선수들의 자율성이 그릿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8(4), 441-449. 미소장
8 서미옥 (2019). 그릿과 관련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학연구, 57(1), 105-130. 미소장
9 소연희 (2019). 중등교사의 그릿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회복탄력성과 지각된 학교조직문화의 매개효과. 교원교육, 35(3), 183-201. 미소장
10 신승환 (2017a). 예비조종사의 G-test 결과에 따른 신체조성, 체력, Grit 연구. 한국웰니스학회지, 12(2), 329-338. 미소장
11 신승환 (2017b). 공사 신입생도의 연간 체력향상도와 투지(Grit) 간 상관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6(3), 1237-1248. 미소장
12 신승환 (2018a). F-15/16 조종사의 ACTN-3, G-내성, 신체조성 간 관계 예비조사. 운동과학, 27(1), 80-88. 미소장
13 신승환 (2018b). 국내 최초 자체 우주인 양성 기반구축을 위한 조종사의 ACTN-3 유전자 표현형 별 G-내성과 신체조성 특성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 결과보고서. 충북: 공군사관학교 항공우주연구소. 미소장
14 신승환, 박미혜, 이동호 (2019). G 내성 함양을 위한 공군사관학교 항공체력육성 관련 교과 개선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8), 593-612. 미소장
15 신승환, 안효연 (2018). 여생도의 체력, 종합성적과 그릿 간 관계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2(1), 53-67. 미소장
16 신승환, 윤찬수 (2019). 신입 공군사관생도의 체력, 성적, 투지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8(1), 873-888. 미소장
17 신승환, 이온 (2017). 15주간의 운동 프로그램으로 인한 사관생도의 체력 향상도와 투지(Grit) 수준 간 상관관계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6(2), 591-603. 미소장
18 오아량, 손영우, 이수란 (2019). 장기목표를 달성하는 힘: 그릿이 높은 사람들이 보이는 미래시간조망에서의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3(3), 43-63. 미소장
19 이수란, 손영우 (2013). 무엇이 뛰어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0(3), 349-366. 미소장
20 이지현, 김윤진, 임규연 (2019). 대학 플립러닝 환경에서 그릿, 협력지향성, 참여도,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7), 1047-1071. 미소장
21 임효진 (2017). 그릿의 요인구조와 타당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8(2), 169-192. 미소장
22 임효진 (2019). 그릿 개념의 재정립: 목적, 열정, 인내의 재검토. 교육심리연구, 33(3), 317-339. 미소장
23 장유리, 허진영 (2019). 체육계열 대학생의 그릿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8(4), 819-834. 미소장
24 정은이 (2019). 그릿과 일상적 창의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대학생과 성인학습자의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6), 163-192. 미소장
25 최진, 전상윤, 김근수, 이동호, 신승환 (2017). 공군사관학교 체육교과과정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4), 75-94. 미소장
26 하혜숙, 임효진, 황매향 (2015). 끈기와 자기통제 집단수준에 따른 성격요인의 예측력 및 학교 부적응과 학업성취의 관계. 평생학습사회, 11(3), 145-166. 미소장
27 홍민성, 이수란 (2019). 그릿과 성실성이 학업 수행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10), 143-151. 미소장
28 Buller, E. F.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military and physical performance at the United States Military Academy. Doctoral dissertation, Education leadership and policy studies and the graduate faculty of the Univ. of Kansas. 미소장
29 Culin, V. K. R., Tsukayama, E., & Duckworth, A. L. (2014). Unpacking grit: Motivational correlates of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9(4), 306-312. 미소장
30 Duckworth, A. L. (2016) Grit. New York: SCRIBNER INTERNATIONAL. 미소장
31 Duckworth, A. L., & Eskreis-Winkler. (2013). True Grit. The Observer, 26, 1-3. 미소장
32 Duckworth, A. L., & Quinn, P. D.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 (GRI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1(2), 166-174. 미소장
33 Duckworth, A. L., Kirby, T. A., Tsukayama, E., Berstein, H., & Ericsson, K. A. (2011). Deliberate practice spells succcess: Why grittier competitors triumph at the National Spelling Bee?.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2(2), 174-181. 미소장
34 Duckworth, A. L., Peterson, C., Matthews, M. D., & Kelly, D. R.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 1087-1101. 미소장
35 Epperson, W. I., Burton, R. R., & Bernauer, E. M. (1985). The effectiveness of specific weight training required on stimulated aerial combat maneuvering G-tolerance. Aviation Space Environmental Medicine, 56, 534-539. 미소장
36 Eskreis-Winkler, L., Duckworth, A. L., Shulman, E. P., & Beal, S. (2014). The grit effect: Predicting retention in the military, the workplace, school and marriage. Frontiers in Psychology, 5(36), 1-12. 미소장
37 Lucas, B., Claxton, G., & Spencer, E. (2013). Progression in student creativity in school: First steps towards new forms of formative assessment. OECD Education Working Paper No. 86. Paris: OECD. 미소장
38 Park, M., Yoo, S., Seol, H., Kim, C., & Hong, Y. (2015). Unpredictability of fighter pilots’ g duration tolerance by anthropometric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erospace Medcine & Human Performance, 86(4), 397-401. 미소장
39 Rimfeld, K., Kovas, Y., Dale, P. S., & Plomin, R. (2016). True grit and genetics: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from personal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11(5), 780-789. 미소장
40 Tesch, P. A., Hjort, H., & Balldin, U. I. (1983). Effects of strength training on G-tolerance. Aviation Space and Environmental Medicine, 54, 691-69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