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참고문헌 (5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공정현, 김세루, 오은진 (2015). 초등학생의 부모애착. SNS 중독경향성과 정신건강의 관계. 인문사회 21, 6(4), 99-115. 미소장
2 권비송 (2017). 대학생의 SNS 사용시간과 열등감의 관계에서 사회비교경험의 매개효과.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 김기숙, 김영근 (2020). 고등학생의 초기부적응도식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거부민감성과 외로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2(2), 949-969. 미소장
4 김나현 (2018). 성별과 학교급에 따라 기본심리요구 및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 김소영 (2015). 청소년의 또래애착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 김소희, 서경현 (2016). 성장기 도박에 대한 노출, BAS/BIS 및 비합리적 도박신념과 대학생의 도박중독 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3(3), 439-460. 미소장
7 김수진 (2020).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의이중매개효과.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 김수진, 김수미, 박하은, 윤향미 (2020). 부정적부모양육태도, SNS 중독경향성이 초등학생의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5(2), 89-101. 미소장
9 김유영 (2014). 고등학생의 자기개념 명확성이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와대인관계의 매개효과.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0 김제이 (2018). 아동과 청소년의 거부민감성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숙명여자대학교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 문화림 (2019). 자기개념명확성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사회비교경향성과 상태소외에대한 두려움의 이중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 민병남, 김완일 (2016). 청소년의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3(10), 431-450. 미소장
13 박소현 (2015).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관계욕구 불만족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 박정희 (2018). 성격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개념 명확성과 자기결성성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5 박지윤, 정영숙 (2008). 아동의 거절상황 구성을 위한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1(2), 15-37. 미소장
16 박지수, 서영석 (2018). 대학생의 성인애착과SNS중독경향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4), 1239-1269. 미소장
17 박우림 (2019). 한국판 아동청소년용 자기개념명확성 척도의 타당화.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8 박은경, 선혜연 (2018). 거부민감성 관련 국내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4), 735-754. 미소장
19 심보현 (2013). 청소년의 거절민감성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0 신민주 (2020).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간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매개효과. 청소년상담학회지, 1(2), 57-78. 미소장
21 신성만, 김재영, 라영안 (2016). 한국판 대학생용 Bergan 페이스북 중독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4), 773-790. 미소장
22 안선경, 정여주 (2016).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2(3), 719-741. 미소장
23 안채희 (2019). 초등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 질: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4 안소영 (2018). 청소년의 중독에 관한 문헌분석:게임중독, 스마트폰 중독, SNS 중독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5 연정화 (2012). 초․중학생의 SNS에서의 사이버행동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6 오원정. (1999). 친구관계의 질 및 친구관계망과아동의 자아지각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7 오은진, 노지영, 안성아, 공정현 (2016). 초등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구조모형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3), 1703-1715. 미소장
28 유명옥 (2009). 고등학생의 휴대폰 중독과 정신건강, 충동성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9 이가현 (2016). 자기자비가 강점활용에 미치는영향: 자기개념 명확성과 강점인식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0 이규동, 이재은 (2014). 자아 개념 명확성과 자기 개방이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 대한애착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27(11), 1845-1861. 미소장
31 이선경, 김정규 (2019). 불안정성인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35(3), 317-334. 미소장
32 이아름 (2018). 청소년의 오프라인 친구관계가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국내석사학위논문 건양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3 이영은, 박현주, 허창구 (2016). 내현적․외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0(1), 63-80. 미소장
34 이은규 (2018). 거부민감성의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에 미치는 영향: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자기개념명확성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5 이은지 (2019). 청소년기 대인간 외상경험과 초기 성인기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6 이현정 (2019). 대학생의 성인애착 유형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거부민감성의 조절 효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7 유고은, 방희정 (2011). 지각된 모의 양육행동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관계: 애착 안정성과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발달, 24(2), 103-122. 미소장
38 정소영, 김종남 (2014). 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1), 147-166. 미소장
39 우종필 (2015).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 미소장
40 조다현 (2014). SNS중독경향성과 병리적 자기애, 정서 표현성, 친구 지향성,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1 조소연, 정주원 (2017). 중학생의 SNS중독경향성에 있어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 자아존중감의 관계.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9(3), 125-140. 미소장
42 한국정보화진흥원 (2020). 2019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미소장
43 황덕미 (2016). 스마트폰 SNS에서의 초등학생사이버 언어 폭력 실태. 부산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4 황예나 (2019).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5 Andreassen, C. S. (2015). Online social network site addiction: A comprehensive review. Current Addiction Reports, 2(2), 175-184. 미소장
46 Ayduk, O., Mendoza-Denton, R., Mischel, W., Downey, G., Peake, P. K., Rodriguez, M. (2000). Regulating the interpersonal self:Strategicself-regulation for coping with rejection sensitiv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5), 776-792. 미소장
47 Ayduk, O., Gyurak, A., & Luerssen, A. (2009). Rejection sensitivity moderates the impact of rejection on self-concept clarit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5(11), 1467-1478. 미소장
48 Butzer, B., & Kuiper, N. A. (2006). Relationships between the frequency of social comparisons and self-concept clarity,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xiety, and depress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1(1), 167-176. 미소장
49 Campbell, J. D., Trapnell, P. D., Heine, S. J., Katz, I. M., Lavallee, L. F., & Lehman, D. R. (1996). Self-concept clarity: Measurement, personality correlates, and cultural boundar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1), 141-156. 미소장
50 Campbell, J. D. (1990). Self-esteem and clarity of the self-concep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583-549. 미소장
51 Combs, A. W., Richards, A. C., & Richards, F. (1976). Perceptual psychology: A humanistic approach to the study of person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미소장
52 Downey, G., & Feldman, S. I. (1996). Implications of rejection sensitivity for intimate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6), 1327-1343. 미소장
53 Downey, G., & Feldman, S. I., & Ayduk, O. (2000).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e violence in romantic relationships. Personal Relations hips, 7(1), 45-61. 미소장
54 Matsuba, M. K. (2006). Searching for self and relationships online. CyberPsychology & Behavior, 9(3), 275-284. 미소장
55 Trub, L. (2016). A portrait of the self in the digital age: Attachment, splitting, and self-concealment in online and offline self-presentation. Psychoanalytic Psychology, 34(1), 78-8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