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파하(波荷) 이길용(李吉用)의 생애사를 추적하고 그가 남긴 다양한 글들의 서지 목록을 충실히 작성하는 것을 일차적 목적으로 한다. 이길용은 1936년 베를린올림픽 마라톤에서 우승한 손기정 선수 소식을 보도하면서 일장기를 지우고 보도해 ‘의거 기자’로 널리 알려졌다. 그러나 의외로 생애사와 저술 활동의 전체적 양상은 제대로 조사되지 않았다. 마산 출생으로 알려진 이길용은 인천 출생으로 확인된다. 신문기자로서 그가 남긴 글들은 크게 두 부류로 나눠볼 수 있다. 하나는 르포 기사와 특파원 보도기사로, 조선의 국토와 발전상을 탐사하고 전국의 재난 현장을 찾아가 생생하게 보도한 것이다. 다른 하나는 근대 스포츠가 조선에 전파되고 전국으로 확산되는 과정을 역사적으로 기록한 것이었다. 두 방향으로 전개된 이길용의 민족주의 스포츠 저널리즘은 결국 1936년 손기정의 베를린 마라톤 우승과 함께 일장기 말소사건 보도로 비약하면서 일제에 의해 강제로 중단되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낭만적 연애의 쇠퇴와 공동체적 사랑의 부상 : The waning of romantic love and the rise of love as community : because This is My First Life and Melo is My Nature / <이번 생은 처음이라>, <멜로가 체질>을 중심으로 박은지, Jean-Paul Baldacchino p. 289-320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불안 요인 연구 = A study on foreign learners' Korean pronunciation anxiety factors 손현미 p. 235-259
<사만이본풀이>에 나타난 죽음의식 = Death consciousness in <Samani-bonpuli> 주혜림 p. 41-64
현대자동차의 알파프로젝트 추진과정과 그 특성에 관한 역사적 분석 = A historical analysis on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alpha project in Hyundai Motor 송성수 p. 351-382
기자 이길용의 생애와 저널리즘의 지향 = Reporter Lee Gil-Yong’s life and intention of his journalism 이희환 p. 321-350

삼주 이기원의 삶과 한주학(寒洲學) 전승의 일면 고찰 = A study on the life of Lee Gi-Won and the succession of Hanju studies : 독립운동 조력과 문집발간을 중심으로 한길로 p. 103-127
일본을 말하지 않는 KBS TV 일본어 강좌 (1980년대) = KBS TV’s Japanese classes that do not speak of Japan in 1980s 정충실 p. 261-288

한국 해군의 '근속 30년 휘장' 제정사 = History of Korean Navy's 30-year-service insignia 신성재 p. 201-233
일제하 항공계 내 여성의 현실과 해방 후 여자항공대의 창설 = The reality of women in aviaion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establishment of women’s air force corps after liberation 김기둥 p. 169-200
1980~1990년대 농부의 일기로 본 여행 경험과 양상 : The experiences and aspects of trips from farmers' diaries in the 1980s and 1990s : the case of Daecheon Diary / 『대천일기』를 중심으로 양흥숙, 공윤경 p. 129-168

'-으면'과 '-다면'의 연구 방법에 대한 제언 = Suggestions for research method of ‘-eumyeon’ and ‘-damyeon’ in Korean grammar 김문기, 김형복 p. 3-39
1682년 통신사 필담창화집 『和韓唱酬集』에 반영된 한일문화교류 연구 = A study of Korea-Japan cultural exchange reflected in Hwahanchangsoojip(和韓唱酬集) a collection of written conversations and poems during the period of 1682 Tongshinsa 한태문 p. 65-101

참고문헌 (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남조선민보』, 미소장
2 『독립신문』, 미소장
3 『동광』, 미소장
4 『동아일보』, 미소장
5 『매일신보』, 미소장
6 『별건곤』, 미소장
7 『삼천리』, 미소장
8 『시대일보』, 미소장
9 『조선일보』 미소장
10 「東亞日報 揭載의 孫基禎寫眞中 國旗表章 抹消에 관한 件」, 警察情報綴, 1936. 8. 28. 미소장
11 「李吉用 訊問調書 - 三·一運動一週年宣言文 配布事件·十字架黨 事件」 1, 『韓民族獨立運動史資料集』 47권, 국사편찬위원회, 2001. 미소장
12 한국기자연맹 편, 『일장기 말소 의거기자 이길용』, 인물연구소, 1993. 미소장
13 김동규·주동진, 「李吉用 체육문화 활동의 스포츠내셔널리즘적 의의」, 『한국체육철학회지』 14권 3호, 한국체육철학회, 2006. 미소장
14 김창문, 『體育大鑑-한국운동경기총람』, 연합신문사, 1957. 미소장
15 손환, 「파하 이길용의 생애와 체육사상」, 『체육사학회지』 17호, 한국체육사학회, 2006. 미소장
16 「이길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미소장
17 이덕주, 『배재학당사』, 학교법인 배재학당, 2013. 미소장
18 이희환, 『만인의 섬 굴업도』, 도서출판 작가들, 2012. 미소장
19 장신, 『조선·동아일보의 탄생』, 역사비평사, 2021. 미소장
20 채백, 『사라진 일장기의 진실』,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미소장
21 천정환, 『끝나지 않는 신드롬』, 푸른역사, 2005. 미소장
22 최인진, 『손기정 남승룡 가슴의 일장기를 지우다』, 신구문화사, 2006. 미소장
23 「관리번호 6292 – 이길용」, 독립유공자 공적조서, 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https://e-gonghun.mpva.go.kr/diquest/Search.do, 검색일 : 2021. 2. 4.) 미소장
24 노종해, 「한성임시정부와 대한민국 건국, 그리고 기독교」, 『당당뉴스』, 2017. 8. 16.(http://m.dangdang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 28911, 검색일 : 2021. 1. 3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