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경희(2008). 포털뉴스의 의제설정과 뉴스가치: 포털뉴스와 인쇄신문의 비교 분석. 한국언론학보, 52권 3호, 28-52. | 미소장 |
2 | 김경희, 이숙정, 김광재, 정일권, 박주연, 심재웅, 최세정, 전경란(2018).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미디어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활용. 한울아카데미. | 미소장 |
3 | 김영주, 김수지, 이숙정(2019). 2019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 미소장 |
4 | 문지혜, 이숙정(2015). 뉴스 미디어 레퍼토리에 따른 후기 청소년의 정치적 시민성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6(1), 217-244. | 미소장 |
5 | 방송통신심의위원회(2015). 청소년 방송·통신 콘텐츠 이용 실태 분석 연구. 방송통신심의위원회. | 미소장 |
6 | 백강희(2019). 포털 사이트 뉴스 이용행태, 포털 사이트 뉴스 신뢰도, 언론사 뉴스 신뢰도 간 관계에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10), 306-314. | 미소장 |
7 | 송원숙(2020). 청소년의 신문뉴스 활용교육(NIE) 효과 : 뉴스 이용, 뉴스 리터러시, 정치사회적 참여를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29(1), 49-76. | 미소장 |
8 | 신태범, 권상희(2013). 국내 청소년의 포털뉴스 이용 특성과 뉴스신뢰, 공공성 인식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0(1), 241-294. | 미소장 |
9 | 양승찬, 김옥태, 박웅기, 심재웅, 이종임, 정준희 외(2014). 디지털 사회와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 미소장 |
10 | 양정애, 김경보, 강용철, 박한철(2016). 뉴스 리터러시 교육 Ⅱ: 평가체계 및 내용개론. 한국언론진흥재단. | 미소장 |
11 | 양정애, 최숙, 김경보(2015). 뉴스 리터러시 교육 Ⅰ: 커리큘럼 및 지원체계. 커뮤니케이션북스. | 미소장 |
12 | 이숙정, 양정애(2017). 뉴스 리터러시가 의사소통 역량과 공동체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31(6), 152-183. | 미소장 |
13 | 이정민, 남선혜, 허미선, 배윤주(2020). 국내 온라인 학습에서 실재감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6(4), 853-878. | 미소장 |
14 | 이효진, 박인우(2020). 대학 교수자의 플립드러닝 수업역량에 대한 학습자 요구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6(4), 827-852. | 미소장 |
15 | 임지영, 진명화, 임규연(2020). SW교육에서 초등교원의 TRACK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6(4), 879-907. | 미소장 |
16 | 정현선, 김아미, 박유신, 최숙, 이지선, 노자연(2016). 뉴스 리터러시 교육 체계 확립 방안. 한국언론진흥재단. | 미소장 |
17 | 정현선, 김아미, 박유미, 전경란, 이지선, 노자연(2016). 핵심역량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체계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1), 211-238. | 미소장 |
18 | 추병완, 김하연, 최윤정, 정나나, 신지선(2019). 디지털 시민성 핸드북. 한국문화사. | 미소장 |
19 | 채영길, 유용민(2017). 네이버 · 다음 모바일 포털 뉴스 플랫폼의 19대 대통령 선거기사 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4(4), 195-242. | 미소장 |
20 | 한국언론진흥재단(2020). 2019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 원본 데이터. https://www.kpf.or.kr/front/mediaStats/mediaStatsDetail.do | 미소장 |
21 | Boczkowski, P., Mitchelstein, E., & Matassi, M. (2017). Incidental news: How young people consume news on social media. In Proceeding of the 50th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pp. 1785-1792). | 미소장 |
22 | Hermida, A. (2010). Twittering the news: The emergence of ambient journalism. Journalism Practice, 4(3), 297-30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