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감정기, 임은애(2005). 장애인차별 개념의 확장을 위한 양가적 장애인차별(Ambivalent Disablism) 척도개발. 사회복지연구, 26, 5-34. | 미소장 |
2 | 교육부(2019).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법률 제16746호, 일부개정 2019. 12. 10. | 미소장 |
3 | 교육부(2020). 2020 특수교육통계. http://www.nise.go.kr/ebook/site/20200703_154254/. | 미소장 |
4 | 구본권(2001). 초등학교 학생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유아특수교육연구, 1, 113-146. | 미소장 |
5 | 김미경, 이은영(2008). 초등학교 통합학급 비장애아동의 자아개념과 장애아동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 발달장애연구, 12, 155-174. | 미소장 |
6 | 김봉화(2017). 장애통합반 고등학생의 장애인식과 장애수용태도에 관한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15(4), 55-64. | 미소장 |
7 | 김수연, 우충완(2020). 초등 예비교사의 학창시절 장애학생 또래도우미 경험에 관한 분석. 교육문화연구, 26(4), 121-139. | 미소장 |
8 | 김수연, 이대식(2011). 그림검사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장애인식 특징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3(2), 363-391. | 미소장 |
9 | 김수연, 이대식(2012). 제7차 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교과용도서의 장애관련 내용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4(1), 45-69. | 미소장 |
10 | 김후자, 김정남(2001). 질적 연구로서의 포커스그룹 연구방법(Focus group method)에 대한 고찰. 계명간호과학, 5(1), 1-21. | 미소장 |
11 | 나달숙(2013). 사회적 약자 및 소수자의 인권보호와 인권교육 방향. 법과인권교육연구, 6(3), 23-55. | 미소장 |
12 | 박남수(2013).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사회과 수업 참여를 위한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와 적용 방안. 사회과교육연구, 20(2), 45-69. | 미소장 |
13 | 박새롬(2017). 사회과 정치 참여 수업의 의미와 구성 방안 - 능동적 시민성 교육 이론을 중심으로 -. 교육문화연구, 23(4), 113-136. | 미소장 |
14 | 박승희(2003). 한국 장애학생 통합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 미소장 |
15 | 박승희(2004). 장애개념화의 진전이 장애인 지원 구축에 지니는 함의. 특수교육학연구, 38(4), 27-65. | 미소장 |
16 | 박윤경(2020). 정치사회적 이슈 스토리 기반 토론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반응 분석: 학교 민주시민교육에의 시사점. 시민교육연구, 52(2), 155-196. | 미소장 |
17 | 박윤경, 박새롬, 이수정(2020). 민주학교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과 요구: 학교민주주의 구현을 위한시사점. 시민교육연구, 52(1), 49-73. | 미소장 |
18 | 박윤경, 박정서(2018). 사회과 이슈 스토리 기반 학습 자료 개발. 시민교육연구, 50(4), 77-101. | 미소장 |
19 | 박윤정, 강은영, 박남수(2012). 장애학생을 위한 국내 사회과교육 연구 동향. 특수교육학연구, 47(2), 357-384. | 미소장 |
20 | 박재국, 강영심, 안성우, 김자경, 황순영(2006). 초, 중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비교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8(2), 1-25. | 미소장 |
21 | 송민애, 이승희(2015). 자폐성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통합학급 일반학생의 인식. 정서·행동장애연구, 31(1), 155-172. | 미소장 |
22 | 송현정(2003). 사회과교육의 목표로서 시민성의 의미에 대한 연구. 시민교육연구, 35(2), 45-70. | 미소장 |
23 |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2004). 질적 연구 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24 | 오원석, 서영란(2006). 일반학급에 통합된 청각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들의 태도연구, 8(2), 79-97. | 미소장 |
25 |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2018).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스토리. | 미소장 |
26 | 이대식(2007). 성공적인 통합교육에 필요한 일반교육의 조건. 통합교육연구, 2(1), 1-27. | 미소장 |
27 | 이정은, 최보라, 조미형, 이인선, 신형익(2020).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 당사자가 대인관계에서 경험하는 태도 장벽. 보건사회연구, 40(2), 151-192. | 미소장 |
28 | 이정희(2020).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인식 및 태도. 아동가족치료연구, 18(0), 125-144. | 미소장 |
29 | 임해주, 서효정(2016). 학습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통합교육 경험. 통합교육연구, 11(2), 105-137. | 미소장 |
30 | 장미경(2005). 한국사회 소수자와 시민권의 정치. 한국사회학, 39(6), 159-182. | 미소장 |
31 | 정용석(2004). 통합과 분리에 대한 인식론적 접근을 통한 특수교육 실천모형 연구.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5(4), 25-42. | 미소장 |
32 | 정은(2005). 비장애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조사에 나타한 장애현실 조망. 특수교육 저널 : 이론과 실천, 6(1), 77-105. | 미소장 |
33 | 조영달(2015). 질적 연구 방법론-이론편. 서울: 드림피그. | 미소장 |
34 | 조창빈, 염현선(2016). 방황하는 별들: 비장애 중심의 학교문화와 통합교육 주체자들의 경험에 관한질적연구. 장애의 재해석, 89-138. | 미소장 |
35 | 차경수(1994). 사회과 논쟁문제의 교수 모형. 사회와 교육, 19(1), 225-250. | 미소장 |
36 | 최윤정, 박소영, 김주희(2019). 장애인의 재난 인식 연구-포커스 그룹 인터뷰 (FGI) 를 통한 분석.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12(2), 77-103. | 미소장 |
37 | 최은정, 박순길(2014). 통합학급과 비통합학급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 비교.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7(3), 71-87. | 미소장 |
38 | 허영석(2013). 중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갈등에 관한 질적 연구. 교육혁신연구, 23(2), 1-39. | 미소장 |
39 | 황인선, 임경원(2019). 통합학급 중학생에게 들어본 통합교육 경험과 그 의미. 통합교육연구, 14, 27-57. | 미소장 |
40 | Dunn, L. M. (1968). Special education for the mildly retarded: Is much of it justifiable?. Exceptional children, 35, 5-22. | 미소장 |
41 | Evans, R. W. (2001). Teaching social issues: Implementing an issues-centered curriculum. In E. W. Ross (Ed.),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Purposes, problems, and possibilities (pp. 291–309).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미소장 |
42 | Maxwell, J. A. (2005).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 미소장 |
43 | Me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