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구성하는 통합교육의 의미를 심층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주시민교육에의 함의를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 5개 초등학교의 5, 6학년 학생 22명과 특수교육대상 학생으로 인한 갈등 상황을 다룬 이슈 스토리 자료를 활용하여 FGI를 수행하고, 초등학생들이 제시하는 포함과 배제의 논리를 중심으로 면접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배제의 논리로는 비장애 학생들의 권리를 우선하는 ‘배타적 분리’와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입장에서 통합교육의 효과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시혜적 분리’의 논리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포함의 논리로는 특수교육대상 학생이 비장애 학생들과 달라서 이해하고 배려해야 한다는 ‘온정적 통합’의 논리,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동등한 권리를 존중하며 통합의 교육적 기능에 주목하는 ‘인권적/기능적 통합’의 논리, 그리고 모든 학생들이 공존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시민적 통합’의 논리를 도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통합교육의 민주시민교육 관련 함의와 개선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학업중단숙려제의 입법영향과 개선과제 = Impact assessment on the legislation of mandatory delay before school dropout 허민숙 p. 5-21

체험형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 청소년경찰학교의 효과성 분석 =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youth police academy for experiential school violence program 이윤희, 한유경, 추지윤 p. 57-76

교육실습 프로그램은 왜 잘 개선되지 않을까? = Why isn't the education practicum program improving so well? 이혁규 p. 101-123

학교폭력 예방정책의 정책집행 요인 분석 = Analysis of policy enforcement element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임채숙, 안선회 p. 23-55

Q방법론을 활용한 대학원생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유형 연구 : A study on the type of perception graduate students' online class using Q methodology :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nd coaching / 상담 및 코칭 전공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박정서, 이상희 p. 77-99

대학교 자살예방정책 추진 실태 및 향후 방향성 모색 : Current status and directions of campus suicide prevention policies : a sequential explanatory mixed methods study / 순차적 혼합방법설계의 적용 김준범, 홍성희, 홍현주 p. 125-151

대학생의 마인드셋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sets and college adjustment 홍다현, 김정섭 p. 153-171

학자금 대출이 재학 중 일경험을 매개로 예체능계열 대졸자의 전공일치 취업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tudent loan on the major-job match of college graduates in arts and physical education through work experience while in school 윤예지, 김이경 p. 173-194

비대면 온라인 수업 방식을 적용한 시 창작 교육 수업의 실제 : A case of poetry creation education class applying contactless online class method : focusing on free semester classes in middle school using zoom / zoom을 활용한 중학교 자유학기제 수업을 중심으로 권현지, 임수경 p. 196-226

어느 50대 체육 교사의 승진과 상실 = The promotion and loss of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his 50s 박인서 p. 245-264

미디어 교육 경험에 따른 청소년의 뉴스 수용 양상 분석 = Analysis of adolescents' news acceptance patterns according to media education experience 양길석, 서수현, 옥현진 p. 265-284

중국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및 교사의 자율성지지, 기본심리욕구, 사회정서역량 간의 관계 연구 =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of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Yang Yue, 신태섭 p. 285-314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의 분산적 리더십, 잡 크래프팅, 지역공동체 의식과 자원연계활동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s of distributed leadership, job crafting, sense of community,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of small-sc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배현순, 이희수 p. 315-341

초등학생들이 구성하는 통합교육의 의미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meaning of inclusiv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implications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 민주시민교육에의 함의 김지훈, 김지윤, 박윤경, 조영달 p. 343-364

초등학교 교원 성과상여금 시행 과정에서의 갈등 사례 연구 = Case study on conflict in implemen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 performance-related pay 정형수, 양정호 p. 365-389

어머니와 초등학생 자녀의 심리적 특성과 학교생활 적응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others' psychologycial characteristics, their primary school children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chool adjustment : comparisons between non-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by mothers' self-differentiation level / 어머니의 자아분화 수준별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 비교를 중심으로 설염추, 한수연, 박용한 p. 391-416

이중언어 강사의 경험을 통해 본 외국인 학부모의 초등학교 자녀교육 경험 = Foreign parents'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n Korea from the viewpoint of bilingual instructors 이성령 p. 417-438

중학생의 가정배경과 직업정체성이 특성화고 선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family background and vocational identity on the choice of specialized high school 전영욱 p. 227-244

평생교육 참여는 학력과 소득의 관계를 조절하는가? = Can adult learners' lifelong learning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income? : 연령대 및 세대별 차이를 중심으로 이재준, 함은혜 p. 439-458

숙련상담자들의 사례개념화 및 상담개입전략 수립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case conceptualization and treatment planning of experienced counselors 장유진 p. 459-482

(The) implications and role of growth assessment in the lens of Vygotskian theoretical framework = 비고츠키 이론의 관점에서 본 성장 평가의 의의와 역할 Park, Hyu-Yong p. 483-505

토픽모델링과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학습장애 연구동향 분석 = Research trends on learning disability using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이아름, 연석정 p. 507-530

참고문헌 (4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감정기, 임은애(2005). 장애인차별 개념의 확장을 위한 양가적 장애인차별(Ambivalent Disablism) 척도개발. 사회복지연구, 26, 5-34. 미소장
2 교육부(2019).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법률 제16746호, 일부개정 2019. 12. 10. 미소장
3 교육부(2020). 2020 특수교육통계. http://www.nise.go.kr/ebook/site/20200703_154254/. 미소장
4 구본권(2001). 초등학교 학생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유아특수교육연구, 1, 113-146. 미소장
5 김미경, 이은영(2008). 초등학교 통합학급 비장애아동의 자아개념과 장애아동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 발달장애연구, 12, 155-174. 미소장
6 김봉화(2017). 장애통합반 고등학생의 장애인식과 장애수용태도에 관한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15(4), 55-64. 미소장
7 김수연, 우충완(2020). 초등 예비교사의 학창시절 장애학생 또래도우미 경험에 관한 분석. 교육문화연구, 26(4), 121-139. 미소장
8 김수연, 이대식(2011). 그림검사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장애인식 특징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3(2), 363-391. 미소장
9 김수연, 이대식(2012). 제7차 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교과용도서의 장애관련 내용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4(1), 45-69. 미소장
10 김후자, 김정남(2001). 질적 연구로서의 포커스그룹 연구방법(Focus group method)에 대한 고찰. 계명간호과학, 5(1), 1-21. 미소장
11 나달숙(2013). 사회적 약자 및 소수자의 인권보호와 인권교육 방향. 법과인권교육연구, 6(3), 23-55. 미소장
12 박남수(2013).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사회과 수업 참여를 위한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와 적용 방안. 사회과교육연구, 20(2), 45-69. 미소장
13 박새롬(2017). 사회과 정치 참여 수업의 의미와 구성 방안 - 능동적 시민성 교육 이론을 중심으로 -. 교육문화연구, 23(4), 113-136. 미소장
14 박승희(2003). 한국 장애학생 통합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미소장
15 박승희(2004). 장애개념화의 진전이 장애인 지원 구축에 지니는 함의. 특수교육학연구, 38(4), 27-65. 미소장
16 박윤경(2020). 정치사회적 이슈 스토리 기반 토론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반응 분석: 학교 민주시민교육에의 시사점. 시민교육연구, 52(2), 155-196. 미소장
17 박윤경, 박새롬, 이수정(2020). 민주학교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과 요구: 학교민주주의 구현을 위한시사점. 시민교육연구, 52(1), 49-73. 미소장
18 박윤경, 박정서(2018). 사회과 이슈 스토리 기반 학습 자료 개발. 시민교육연구, 50(4), 77-101. 미소장
19 박윤정, 강은영, 박남수(2012). 장애학생을 위한 국내 사회과교육 연구 동향. 특수교육학연구, 47(2), 357-384. 미소장
20 박재국, 강영심, 안성우, 김자경, 황순영(2006). 초, 중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비교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8(2), 1-25. 미소장
21 송민애, 이승희(2015). 자폐성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통합학급 일반학생의 인식. 정서·행동장애연구, 31(1), 155-172. 미소장
22 송현정(2003). 사회과교육의 목표로서 시민성의 의미에 대한 연구. 시민교육연구, 35(2), 45-70. 미소장
23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2004). 질적 연구 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24 오원석, 서영란(2006). 일반학급에 통합된 청각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들의 태도연구, 8(2), 79-97. 미소장
25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2018).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스토리. 미소장
26 이대식(2007). 성공적인 통합교육에 필요한 일반교육의 조건. 통합교육연구, 2(1), 1-27. 미소장
27 이정은, 최보라, 조미형, 이인선, 신형익(2020).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 당사자가 대인관계에서 경험하는 태도 장벽. 보건사회연구, 40(2), 151-192. 미소장
28 이정희(2020).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인식 및 태도. 아동가족치료연구, 18(0), 125-144. 미소장
29 임해주, 서효정(2016). 학습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통합교육 경험. 통합교육연구, 11(2), 105-137. 미소장
30 장미경(2005). 한국사회 소수자와 시민권의 정치. 한국사회학, 39(6), 159-182. 미소장
31 정용석(2004). 통합과 분리에 대한 인식론적 접근을 통한 특수교육 실천모형 연구.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5(4), 25-42. 미소장
32 정은(2005). 비장애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조사에 나타한 장애현실 조망. 특수교육 저널 : 이론과 실천, 6(1), 77-105. 미소장
33 조영달(2015). 질적 연구 방법론-이론편. 서울: 드림피그. 미소장
34 조창빈, 염현선(2016). 방황하는 별들: 비장애 중심의 학교문화와 통합교육 주체자들의 경험에 관한질적연구. 장애의 재해석, 89-138. 미소장
35 차경수(1994). 사회과 논쟁문제의 교수 모형. 사회와 교육, 19(1), 225-250. 미소장
36 최윤정, 박소영, 김주희(2019). 장애인의 재난 인식 연구-포커스 그룹 인터뷰 (FGI) 를 통한 분석.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12(2), 77-103. 미소장
37 최은정, 박순길(2014). 통합학급과 비통합학급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 비교.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7(3), 71-87. 미소장
38 허영석(2013). 중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갈등에 관한 질적 연구. 교육혁신연구, 23(2), 1-39. 미소장
39 황인선, 임경원(2019). 통합학급 중학생에게 들어본 통합교육 경험과 그 의미. 통합교육연구, 14, 27-57. 미소장
40 Dunn, L. M. (1968). Special education for the mildly retarded: Is much of it justifiable?. Exceptional children, 35, 5-22. 미소장
41 Evans, R. W. (2001). Teaching social issues: Implementing an issues-centered curriculum. In E. W. Ross (Ed.),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Purposes, problems, and possibilities (pp. 291–309).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미소장
42 Maxwell, J. A. (2005).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미소장
43 Me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