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브랜드 가치가 브랜드 개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Study on the effect of brand value on brand personality and loyalty : focused on domestic full service carrier / 국내대형항공사를 중심으로 이진희, 정규엽 p. 259-277
근로시간 외 정보통신기술을 통한 업무연락이 정서적 반추, 일-가정 갈등 및 정서적 고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work-related contact using ICT during nonworking hours on affective rumination, work-family conflict and emotional exhaustion : focused on hotel and duty-free shop employees / 호텔 및 면세점 종사원을 대상으로 전유정 p. 407-423
Inequality in scientific impact : 학문적 연구의 불평등 : 환대 및 관광분야 연구를 중심으로 / evidence from the hospitality and tourism literature Park, Eunhye, Kim, Woohyuk p. 385-406
여가관련 서비스업 기업의 이익조정에 대한 실증연구 = The study on earnings management of leisure-related service companies 김학준, 김성태 p. 369-383
관광개발사업 갈등요인의 인과관계 분석 :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of conflict factors for tourism development projects in Song-aksan Mountain / 송악산 관광개발사업을 대상으로 김세일, 임화순 p. 349-367
관찰예능에 대한 시청자관여도가 현존감을 매개로 관광목적지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audience's involvement in observation entertainment TV show on the attitudes of tourism destination through mediating of presence :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resilience / 지각된 회복력의 조절역할 김보경, 양재호 p. 327-348
국내사업부와 면세사업부 직원간에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local and duty free business : focused on cosmetic business / 화장품 사업부 중심으로 김민정, 박정우 p. 311-326
빅데이터로 살펴본 레저스포츠로서의 스노우보드 인식과 향후 발전방안 모색 = Snowboard recognition and future development plan as leisure sports based on big data 고인태, 한장헌 p. 295-309
대학선택결정요인, 학과만족, 전공몰입 및 추천의도 간의 영향관계 고찰 : The influence of college selection determinants, department satisfaction, major commitmen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 focusing on students in departments related to airline-service / 항공서비스 관련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지영, 장태선 p. 279-294
문화적 도시재생에서 장소만들기는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 : What are the meanings of placemaking in cultural urban regeneration? : a phenomenological research of the local cultural mediator's perspective / 지역 문화매개자 관점의 현상학 연구 한주형, 황지영 p. 5-26

COVID19 스트레스가 중국 잠재관광객의 자연기반 야외활동 의사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VID19 stress on Chinese potential tourists' decision-making process of nature-based outdoor activities : applying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 임광호, 김진옥 p. 27-44
북한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 동기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otivation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visit North Korea : focusing on potential South Korean tourists / 국내잠재관광객을 대상으로 노희경 p. 45-62
컨벤션센터의 공유가치창출(CSV)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CSV(creating shared value) in convention center : focusing on BEXCO / BEXCO를 중심으로 이세준, 류예빈, 김금영, 김이태 p. 63-78
전시컨벤션센터의 장소성과 장소 애착 및 행동 의도의 영향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placeness of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place attachment and behavior intention : for MICE planners / MICE 기획가를 중심으로 장미화, 최정자 p. 79-96

팀장의 임파워링 리더십을 통한 팀 성과 향상에 관한 연구 : Study on improvement of team performance through empowering leadership of team leader : verification of moderating role of creative self-efficiency /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검증 문준호, 지윤호 p. 97-113
소셜 커머스의 이용가치가 고객신뢰 및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social commerce's use value on customer trust and consistency : focused on hotel customer / 호텔 이용고객 중심으로 안준환, 김호준, 이규민 p. 115-129
호텔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열의, 회복탄력성 및 직무성과와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s of emo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engagement, resilience and job performance in the hotel industry 이성각, 조현진, 구동우 p. 131-152
NCS 학습모듈을 활용한 호텔영어 교육 콘텐츠 개발방안 연구 = Development of hotel English educational contents utilizing NCS learning modules 전은실 p. 153-168
푸드투어리즘에 대한 목표지향적 행동모형을 적용한 방문객의 행동의도 분석 : The analysis of visitors' behavioral intention by applying the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for food tourism : a case of the 2019 Hoengseong Hanwoo Festival / 2019 횡성한우축제를 사례로 이제용, 김영표 p. 169-191
식도락관광이 관광몰입, 자아존중감, 관광지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gastronomy tourism on tourist's flow, self-esteem and attitude toward the tourist destination 정유준 p. 193-218
항공사 선택속성이 국내항공사 선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irline selection attributes on domestic airline choice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ravel involvement / 여행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현주 p. 219-238
항공사 SNS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이 관계품질 및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influence of airline's social media marketing communication on relationship quality and brand attitudes 배현숙, 조경희 p. 239-258

참고문헌 (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국가직무능력표준 (2020). NCS란?: NCS(국가직무능력표준)이란? http://www.ncs.go.kr/ncs/page.do?sk=P1A1_PG01_001. 미소장
2 권미분 (2013). 부산시 특급호텔 종사자의 영어능력과 효율적인 영어교육방안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25(8), 213-228. 미소장
3 길인숙 (2014). 전문대학 관광과 영어 교과과정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관광경영연구』, 18(4), 41-59. 미소장
4 김동준․최현준․조환기․양정윤 (2020). 호텔산업의 언택트 마케팅 사례연구. 『호텔경영학연구』, 29(4), 205-218. 미소장
5 김보균․이효성․김홍범 (2020). 호텔직원의 영어 능력에 따른 직무만족 차이 분석. 『관광레저연구』, 32(1), 217-236. 미소장
6 김혜림 (2007). 학습자 맞춤형 ESP 코스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외국어교육연구』, 21(2), 55-83. 미소장
7 노선희 (2016). 『Real English for Hotel Staff: 실무편』. 경기도: 다락원. 미소장
8 문혜리․정연국 (2012). 호텔관광 전공 학생들의 관광영어 집중수업 효과에 관한 연구. 『호텔관광연구』, 14(4), 283-295. 미소장
9 민창기 (2012). 호텔영어회화 교재의 장르분석적 접근. 『호텔관광연구』, 14(3), 76-88. 미소장
10 서헌 (2016).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28(5), 205-218. 미소장
11 이광희 (1999). 호텔영어 교수 학습에서 의사소통활동의 적용 방안. 『관광품질시스템연구』, 6(1), 179-192. 미소장
12 이은실 (2006). 지역환경속성 중심 교수법을 통한 효과적인 관광영어 학습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 『호텔관광연구』, 8(2), 154-165. 미소장
13 이은실 (2010). 학습자 중심 관광영어 수업의 포트폴리오 평가 효율성 연구. 『호텔관광연구』, 12(3), 203-217. 미소장
14 이효선 (2017). 호텔관광일본어전공 졸업생의 직무수행능력 및 교육과정 요구에 관한 연구. 『일본어교육』, 80, 19-32. 미소장
15 임은정 (2019). NCS 학습모듈 활용을 통한 항공여객운송서비스 민간자격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호텔리조트연구』, 18(1), 215-231. 미소장
16 최경희 (2017). NCS 기반 항공객실서비스영어교육 콘텐츠에 관한 연구. 『영어어문교육』, 23(2), 81-102. 미소장
17 최경희 (2018). NCS 기반 항공객실서비스영어 교재에 관한 분석. 『현대영어교육』, 19(1), 105-119. 미소장
18 최경희 (2019). NCS 기반 항공객실서비스 영어교육에 관한 학습자 요구분석. 『현대영어교육』, 20(1), 28-41. 미소장
19 최영환․손수진 (2018). NCS 기반 호텔리어 양성교육 프로그램 편성에 관한 탐색적연구. 『호텔리조트연구』, 17(3), 105-118. 미소장
20 최현미 (2016). 특수목적 중국어 교육 현황 및 효과적인 수업 설계에 대한 고찰: NCS(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한 판매(면세점)중국어 분야 중심으로. 『중국어교육과연구』, 23, 25-56. 미소장
2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2014년도 NCS 학습모듈 모듈 매뉴얼[공동개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미소장
22 한천영 (2017). 호텔・관광영어교육 콘텐츠연구(1): 호텔・관광영어 공손전략 분석. 『국제언어문학』, 36, 261-284. 미소장
23 Putlack․김진숙․다락원 ESP 연구소 (2016). 『Real English for Hotel Staff: 기본편』. 경기도: 다락원 미소장
24 Seo, J. W. (2001). A study on English-teaching method for hotel employees. The Journal of Culture & Tourism Research, 3(4), 101-12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