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논문에서는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을 통해 유치진의 1930년대 후반기 리얼리즘 연극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의 모호성에 대한 당대 예술인들의 비판과 유치진의 대응, 그리고 <목격자> 공연에 주목하였다.
유치진은 <춘향전>(1936)을 공연하면서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 연극이라 주장 했으나, 여타 극단이 공연한 <춘향전>의 낭만성과 어떤 차이가 나는지를 분명하게 설명하지 못했다. <춘향전>의 각색 의도에 나타난 바를 종합해보면,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 작품이 지녀야 할 조건의 첫째는 이상을 추구하는 의지적 주동인물의 존재이며, 둘째는 느슨한 인과관계에 의한 극 전개, 셋째는 이상적 결과의 제시 의한 낭만성 부각이다.
<춘향전>을 공연할 당시 유치진은 “이런 것이 존재 될 수 있는지 없는지 나는 모릅니다”라고 밝힐 정도로 리얼리즘과 로맨티시즘의 결합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 그는 리얼리즘과 로맨티시즘의 관계에 대한 임화의 설명을 차용함으로써 이론의 모호한 부분을 메우려 하였다. 그러나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 연극의 실체를 <춘향전>으로 분명하게 보여주지 못한 탓에 유치진에 대한 비판이 계속 이어졌다. 그는 ‘리얼리즘의 심장’을 강화하는 로맨티시즘 효과를 <개골산>(1938) 창작에서 보여주고자 하였으나, 임화로부터 리얼리즘 연극으로 자격 미달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맥스웰 앤더슨의 <윈터셋>(Winterset)을 <목격자>(1938)로 제목 바꾸어 공연에 착수하면서, 유치진은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의 미국 연극이라고 설명했다. 그의 시각에 따라 <윈터셋>을 분석해보면, 이상을 추구하는 의지적 주동인물인 미오(Mio)가 있고, 인과관계가 느슨한 극 전개와 미리암네(Miriamne)를 위시한 여러 인물들이 죽음을 각오하고 진실을 외치는 이상적 마무리에 의해 작품의 낭만성이 부각되고 있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유치진의 <윈터셋>의 충실한 재현을 목표로 공연하지 않았고, 식민지조선의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극으로 만들고자 했다. 그는 미오와 트록의 대결구도로 극을 단순화 시켰으며 운문 대사를 버리고 산문 대사로 공연하였다.
<목격자>는 불리한 위치에 놓인 자신의 처지를 역전시켜보려는 유치진의 의도에서 공연되었다. 유치진은 사코-반제티 사건과 연계성을 가진 리얼리즘 연극 <윈터셋>을 선택하여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 작품의 지향점을 평론가들이 알게 하였다. 그 후 사코-반제티 사건을 지우고 자신의 의도에 맞추어 연출된 <목격자>의 공연을 통하여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 연극은 본래 대중성이 강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그들이 인정하게 만들었다. 유치진의 기획 의도는 성공을 거두었으나, <목격자> 공연은 1930년대 후기 유치진 리얼리즘 연극이 자가당착에 빠져 새로운 길을 모색할 동력을 상실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유치진이 자가당착의 상태에 놓이게 된 것은 연극대중화 전략의 변화에 따라 리얼리즘 연극의 소재를 바꾸는 방식으로 창작을 지속 해온 결과이다. 그가 지키겠다고 강조하고 있는 ‘리얼리즘 연극 창작’과 연극 대중화를 위한 그의 ‘공연우선주의’는 상호 충돌할 수밖에 없는 이질적 입장이다. <윈터셋>은 사코-반제티 사건이 발생하게 된 문제의 근원과 사회적 치부를 직시하는 작가의 리얼리즘 정신이 살아 있는 작품이다. 유치진도 그 사실을 잘 알고 있지만, 공연우선주의 입장에 함몰된 그로서는 당대의 문제적 소재로 돌아가 검열과 맞싸울 용기가 없었다. 결국 유치진은 창작 포기 외의 다른 길을 찾지 못한 채 1930년대를 마감하고 말았다.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Yoo Chijin's realism plays in the late 1930s through romanticism based on realism. To this end, the focus is on the contemporary artists' criticism on the ambiguity of romanticism based on realism, Yoo Chijin's response and the performance of Mokgyeokja
While performing Chunhyangjeon(1936), Yoo Chijin claimed that it was a romanticism play based on realism, but he failed to explain clearly how it was different from Chunhyangjeon performed by other theater companies. To sum up what appeared in his intention of adapting Chunhyangjeon, the first of the conditions that a romanticism play based on realism must have is the existence of a willing protagonist who pursues ideals, the second is the development of the play by loose causal relationship, and the third is the emphasis on romantic nature by presenting the ideal results.
At the time of the performance of Chunhyangjeon, Yoo Chijin lacked an understanding of the combination of realism and romanticism to the extent that he said, "I don't know if it could exist or not." He tried to fill the ambiguity of the theory by borrowing Im Hwa's expla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sm and romanticism. But the criticism on Yoo Chijin continued because the substance of a romanticism play based on realism was not clearly shown in the performance of Chunhyangjeon. He wanted to show the romanticism effect that reinforces 'the heart of realism’ with Gaegolsan (1938), but was criticized by Im Hwa for lacking qualifications as a realism play.
As Yoo Chijin changed the title of Maxwell Anderson's Winterset to Mokgyeokja (1938) and embarked on the performance, he explained that it was an American romanticism play based on realism. Analyzing Winterset according to his perspective, it can be seen that the romantic nature of the work is highlighted by the willing protagonist of pursuing ideals, Mio, the development of a play with a loose causal relationship, and the ideal finish of various characters, including Miriamne, preparing for death and shouting the truth. He did not perform Winterset with the aim of its perfect reproduction ; he simplified the play by the confrontational plot between Mio and Troc, discarded the verse lines and used prose lines in the performance.
Mokgyeokja was performed with the intention of Yoo Chijin to try to reverse his unfavorable position. Yoo Chijin selected the realism play, Winterset which is linked to the Sacco and Vanzetti Case, to let the critics know the direction of a romanticism play based on realism, and made them admit that a romanticism play based on realism has a strong characteristic of its original popularity through the performance of Mokgyeokja which erased the Sacco and Vanzetti Case and was directed to fit his intention. Although Yoo chijin's intention to plan was successful, the performance of Mokgyeokja showed that his realism plays of the late 1930s lost its momentum to seek a new path due to self-contradiction.
The reason why Yoo Chijin was in a state of self-contradiction was that he had continued to create in a way that varied the material selection of realism play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strategy of theater popularization. His emphasis on 'creating realism plays' and his 'performance first principle' for the theater popularization were inevitably heterogeneous positions in conflict. Winterset is the work where the author's realism spirit is alive, facing the roots of the problem that led to the Sacco and Vanzetti Case and the social disgrace. Yoo Chijin was well aware of the fact, but he, who was immersed in the performance first principle position, did not have the courage to return to the problematic subjects of the time and fight against censorship. In the end, Yoo Chijin ended the 1930s without finding a way other than giving up his creative work.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유치진, 「미국의 신극운동」『중앙』 18, 1935.4. | 미소장 |
2 | 유치진, 「동경문단 극단 견문초- 일본신극운동의 현상과 그 동향」『동아일보』 1935.5.12.-17. | 미소장 |
3 | 유치진, 「대중성의 개척」『조선중앙일보』 1935.7.7. | 미소장 |
4 | 유치진, 「연극시평 - 번역극 상연에 대한 사고(私考)」『조선일보』 1935. 8.7.-8. | 미소장 |
5 | 유치진, 「역사극과 풍자극」『조선일보』 1935.8.27. | 미소장 |
6 | 유치진, 「춘향전 각색에 대하야」『극예술』 5, 극예술연구회, 1936.9. | 미소장 |
7 | 유치진, 「낭만성 무시한 작품은 기름 없는 기계」『동아일보』 1937.6.10. | 미소장 |
8 | 유치진, 「신극운동의 한 과제」『조선일보』 1937.6.11. | 미소장 |
9 | 유치진, 「작자의 말」『동아일보』 1937.12.14. | 미소장 |
10 | 유치진, 「극단 진흥책 - 신년에 제하야 한 개의 제언」『매일신보』 1938.1.3., 5. | 미소장 |
11 | 유치진, 「일허버린 시혼을 찻자- 위선 리알리즘의 수정부터」『조선일보』 1938.3.9. | 미소장 |
12 | 유치진, 「미국의 현역작가 막스웰ㆍ안더-슨 -『목격자』상연에 제하야-」『동아일보』 1938.7.7.-8. | 미소장 |
13 | 김재석, 「삼‧일극장의 <빈민가> 공연과 유치진의 도쿄 구상」『국어국문학』 176, 국어국문학회, 2016 | 미소장 |
14 | 김재석, 「유치진의 도쿄 구상 실천과 극예술연구회의 <포기>(Porgy)」『한국극예술연구』 55, 한국극예술학회, 2017. | 미소장 |
15 | 김재석, 「유치진 희곡에 나타난 식민지조선의 일상과 그 의미」『어문론총』 82, 한국문학언어학회, 2019. | 미소장 |
16 | 이정숙, 「유치진의 <개골산>과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극」『어문론총』 76, 한국문학언어학회, 2018. | 미소장 |
17 | 최종철, 「셰익스피어 극작품의 운문번역-햄릿의 제3독백」『번역문학』 4,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2. | 미소장 |
18 | 김성희『한국 역사극과 문화적 재현』 연극과인간, 2017. | 미소장 |
19 | 이상우『유치진연구』 태학사, 1997. | 미소장 |
20 | 이정숙『유치진과 한국 연극의 대중성』 지식과교양, 2019. | 미소장 |
21 | 고리키, 막심, 최민영 옮김『어머니』 석탑, 1985. | 미소장 |
22 | 루카치, G., 이영욱 옮김『역사소설론』 거름, 1987. | 미소장 |
23 | 브로케트, 오스카 G., 김윤철 옮김『연극개론』 한신문화사, 1989. | 미소장 |
24 | 왓슨, 브루스, 이수영 옮김『사코와 반제티』 삼천리, 2009. | 미소장 |
25 | James, C.V., 연희원 옮김『사회주의 리얼리즘론』 녹진, 1990. | 미소장 |
26 | Anderson, Maxwell, Winterset, Washington: Anderson House, 1935. | 미소장 |
27 | Anderson, Maxwell, Off Broadway, New York, A Da Capo Press, Inc., 1947. | 미소장 |
28 | Avery, Laurence G. ed., Letters of Maxwell Anderson, 1912-1958, Chapel Hill: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77. | 미소장 |
29 | Bigsby, C.W.E., A Critical Introduction to Twentieth-Century American Drama11900-1940,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 미소장 |
30 | Nannes, Caspar H., Politics in The American Drama, Washington D.C.: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196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