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1930년대 후반부터 1940년대 말까지 발표된 윤곤강의 시 작품에 나타난 거울 이미지에 주목하여 윤곤강 시문학의 문학적인 성과와 시세계의 다양한 층위를 재고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설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기에 걸쳐서 작품 활동을 했던 윤곤강의 문학적인 시선이 거울 이미지와 많은 부분에서 맞닿아 있고 이를 통해서 시적 형상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 근거를 두고 있다. 윤곤강의 시에 나타나는 거울 이미지의 다양한 양상을 중심으로 연구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윤곤강 시의 거울 이미지에서는 엄혹한 현실과 자아의 실존적 자각을 읽어낼 수 있다. 윤곤강의 시에는 엄혹한 현실에 대한 회의, 냉소, 비판 등의 정서가 배면에 짙게 깔려 있는 경우가 많다. 그것은 일제강점기와 해방기의 엄혹한 현실 속에서도 인간다운 삶을 갈망했던 시적 주체의 내적인 갈등의 산물로 이해할 수 있다. 주목할 것은 윤곤강이 엄혹한 현실을 대면하면서 자아의 실존적 자각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윤곤강 시의 거울 이미지에서는 존재에 대한 번민과 고향의식을 고찰할 수 있다. 윤곤강의 시에서 발현되는 그리움이나 슬픔 등의 정서는 시인의 문학관을 형성하는 커다란 줄기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존재에 대한 번민의 시적 형상화는 고향의식으로 전이되어 나타나고 있다.

셋째, 윤곤강 시의 거울 이미지에는 고독한 주체의 근원적인 욕망이 그의 시세계를 조망하는 길을 안내하고 있다. 윤곤강의 시에서 고독은 개인적인 정서의 발현에서 비롯된 것이면서도 일제강점기와 해방기에 능동적으로 반응했던 시적 주체의 근원적인 욕망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처럼 고독한 주체의 근원적인 욕망은 그의 시를 구축하는 커다란 자양분이 되고 있다.

참고문헌 (4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송기한 · 김현정 편, 『윤곤강 전집』 1, 다운샘, 2005. 미소장
2 권성훈, 「일제강점기 자화상 시편에 대한 정신분석」, 『한국학연구』 42, 고려대한국학연구소, 2012. 미소장
3 권성훈, 「한국 「자화상」 시에 나타난 주체의 욕망」, 『한국시학연구』 제50호, 한국시학회, 2017. 미소장
4 권성훈, 「한국 현대 「자화상」 시편의 낭만성 연구」, 『한국시학연구』 제47호, 한국시학회, 2016. 미소장
5 권택우, 「윤곤강 시 연구」, 『문화전통논집』 창간호, 경성대 향토문화연구소, 1993. 미소장
6 김교식, 「윤곤강 시에 나타난 길의 의미」, 『한국언어문학』 제99집, 한국언어문학회, 2016. 미소장
7 김교식, 「윤곤강 시의 동물 이미지와 주체의 자기 인식 양상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제64집,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미소장
8 김권동, 「1930년대 후반 「자화상」의 문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한민족어문학』제52집, 한민족어문학회, 2008. 미소장
9 김용성, 『한국 현대문학사 탐방』, 국민서관, 1979. 미소장
10 김용직, 「계급의식와 그 후 - 윤곤강」, 『한국현대시인연구』 (상),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미소장
11 김지연, 「윤곤강의 시론과 시에 관한 연구」, 『성심어문논집』 26, 성심어문학회, 2004. 미소장
12 김현정, 「윤곤강 시 연구 - 당진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67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5. 미소장
13 김현정, 「윤곤강의 비평 연구」, 『비평문학』 제19호, 한국비평문학회, 2004. 미소장
14 김현정, 「윤곤강의 시 연구」, 『문예시학』 11, 문예시학회, 2000. 미소장
15 김현정, 『윤곤강 시선』, 지식을만드는지식, 2011. 미소장
16 노천명, 『사슴』, 솔, 1997. 미소장
17 문혜원, 「윤곤강의 시론 연구」, 『한국언어문학』 제58집, 한국언어문학회, 2006. 미소장
18 박민규, 「해방기 시론 연구」,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2012. 미소장
19 박재서, 「윤곤강 시 연구 - 시의 변모과정을 중심으로」, 『문예시학』 1, 충남시문학회, 1988. 미소장
20 백영근, 「윤곤강 연구」, 단국대 석사학위논문, 1984. 미소장
21 서정주, 「국화옆에서」, 『서정주 전집』 1, 민음사, 1998. 미소장
22 송기한, 「윤곤강 시의 욕망의 지형도」,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24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4. 미소장
23 송기한, 「정지용의 「향수」에 나타난 고향의 의미」, 『대전 · 충청지역의 고향시』, 다운샘, 2004. 미소장
24 양혜경, 「윤곤강 시의 공간구조 고찰」, 『비평문학』 23, 한국비평문학회, 2006. 미소장
25 양혜경, 「윤곤강 시의 미적 거리」, 『비평문학』 16, 한국비평문학회, 2002. 미소장
26 양혜경, 「윤곤강 시의식의 변모 양상 고찰」, 『동남어문논집』 제8집, 동남어문학회, 1998. 미소장
27 유성호, 「윤곤강 시 연구」, 『한국근대문학연구』 제24호, 한국근대문학회, 2011. 미소장
28 유영근, 「윤곤강의 시와 시론의 관련 양상 연구」, 세종대 석사학위논문, 2007. 미소장
29 유혜숙, 「윤동주 시의 ‘거울’ 이미지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25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4. 미소장
30 윤정룡, 「윤곤강 시론에 대한 검토」, 『관악어문연구』 10집, 탑출판사, 1985. 미소장
31 이경교, 「윤곤강의 문학사적 자리」, 『목멱어문』 제5집, 동국대 국어교육과, 1993. 미소장
32 이-푸 투안, 구동회 · 심승희 옮김, 『공간과 장소』, 도서출판 대윤, 1995. 미소장
33 이형권, 「시론과 시의 상관적 변모 과정: 곤강론」, 『한국현대시의 이념과 서정』, 보고사, 1998. 미소장
34 임종찬, 「윤곤강 시 연구」, 『인문논총』 제37집, 부산대 인문과학연구소, 1990. 미소장
35 전민정, 「윤곤강 시에 나타난 주체와 길의 상관성 연구」, 신라대 석사학위논문, 2007. 미소장
36 제해만, 「시대상과 시적 변용 - 윤곤강론」, 『학술논총』 제11집, 단국대 대학원, 1987. 미소장
37 최혜은, 「윤곤강 문학 연구」, 충남대 박사학위논문, 2014. 미소장
38 최혜은, 「윤곤강의 리얼리즘 시론과 창작방법론」, 『문예시학』 제26집, 문예시학회, 2012. 미소장
39 최혜은, 「윤곤강의 합일의 시학과 포에지론」, 『비평문학』 제51호, 한국비평문학회, 2014. 미소장
40 한계전, 「1930년대 시에 나타난 ‘고향’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 백석, 오장환, 이용악을 중심으로」, 『한국문화』 16집,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1995. 미소장
41 한상철, 「윤곤강 시의 동물 표상 읽기」, 『어문연구』 77, 어문연구학회, 2013. 미소장
42 한상철, 「초기 현대시의 동물 표상 연구 - 백석과 윤곤강의 동물 시어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65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4. 미소장
43 한영옥, 「윤곤강 시 연구」, 『성신연구논문집』 제18집, 성신여대, 1983. 미소장
44 허시강, 「윤곤강 연구」, 『호서문학』 제12집, 호서문화사, 198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