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권오상(2019). 신디 셔먼 작품에 나타난 응시와 주체에 관한 연구: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을 중심으로. 조형미디어학, 22권 4호. | 미소장 |
2 | 김동훈(2020). 존재, 무의식 그리고 섬뜩함: 섬뜩함에 관한 하이데거와 프로이드 이론의 미학적 의의. 미학, 제86권, 2호. | 미소장 |
3 | 김석원(2010). 언캐니 이론으로 바라본 라제떼의 정신분석학적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숭실대학교, 서울. | 미소장 |
4 | 유경희(2007). 언캐니 개념으로 본 정신분석학적 시각예술론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 미소장 |
5 | 유현주(2010). 두려운 낯설음-프로이트, 호프만, 키틀러 그리고 언캐니 밸리.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제23집. | 미소장 |
6 | 이문정(2012). 여성 미술에 나타난 애브젝트의 '육체적 징후'와 예술적 승화,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 미소장 |
7 | 임용덕(2012). 현대미술에 표현된 복식의 언캐니,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 미소장 |
8 | 조가영(2013). 에떼아 호프만 문학의 발레화 과정에서 나타난 자동인형 모티브 연구. 대한무용학회, 제71권, 2호. | 미소장 |
9 | 프로이트, 지그문트(2004). 예술, 문학, 정신분석 (정장진, 역). 서울: 열린책들. | 미소장 |
10 | 한지영(2010). 무용 영화 「블랙 스완 Black Swan」(2010)을 통해 본 무용예술과 영화의 매체교체성 연구 - 그레마스 기호학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제77권, 1호.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