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정서·행동장애 연구의 최근 경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가 발간하는「정서·행동장애연구」에 2010년부터 게재된 논문 697편을 전반기(2010년∼2014년)와 후반기(2015∼2020년) 그리고 전기(2015년∼2017년)와 후기(2018년∼2020년)로 구분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서 전·후반기 공통 핵심 키워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ADHD, 문제행동, 사회적 기술, 긍정적 행동지원 등이었다. 전반기의 정서·행동장애, 아스퍼거장애, 정서·행동 문제, 자폐스펙트럼장애와 후반기의 우울, 청소년, 대학생 등의 키워드는 시기별 연구 경향을 나타낸다. 전·후기 핵심 키워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ADHD, 우울, 사회적 기술, 대학생, 문제행동 등이었고 전기의 회복탄력성, 문헌연구, 청소년과 후기의 긍정적 행동지원, 발달장애, 사회불안은 연구경향의 부분적 변화를 시사한다. 둘째, 내용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2018년 이후 게재 논문은 감소 추세이며 전체적으로 특수교육 분야 연구자들에 의해 학령기 아동들의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한 프로그램 관련 실험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으나 최근에는 관련 분야 연구자들에 의해 임상적으로 진단되지 않은 대학생과 성인의 우울이나 불안에 대한 이론·가설 탐색 목적의 조사연구가 활성화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정서·행동장애 특수교육대상자의 감소 및 위험집단에 대한 관심 증대, 학회 명칭 개칭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In order to clarify the tendency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on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EBD), this study analyzed 697 papers published from 2010 to 2020 in the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JEBD」 published by the Korean Society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KSEBD).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ere conducted by dividing papers into the first half (2010∼2014) and the second half (2015∼2020), and the second half was divide the former (2015∼2017) and the latter (2018∼2020) period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common core keywords in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in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were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DHD, problem behavior, social skills, and positive behavior support (PBS). Core keywords in the first half were EBD, asperger disorders,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ASD, and core keywords in the second half were depression, adolescents, and college students. This shows the trends in research by period. Core keywords in the former and latter periods were ASD, ADHD, depression, social skills, college students, and problem behavior. Resilience, literature research, and PBS in the former periods and adolescents,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ocial anxiety in the latter periods suggest partial changes in research trends. Second, from the aspect of content analysis,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for 「JEBD」 has been decreasing slightly since 2018. Overall, experimental studies related to programs on ASD in school-age children have been mainly conducted by researcher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However, recently, survey research aimed at exploring theories and hypotheses about depression or anxiety in college students and adults who have not been clinically diagnosed tend to be activated by researchers in related fields. This can be attributed to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with EBD, an increase in interest in risk groups, and a change in the name of the KSEB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가 수행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미묘한 회피행동과 사후반추의 매개효과 = The effect of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on performance anxiety : mediating effects of subtle avoidance behavior and post-event rumination 권슬기, 김민정 p. 171-188

경계선 지능 아동의 애착 및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art therapy on improving attachment and self-esteem of a child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곽진영 p. 235-264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동기강화 소집단 미술치료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motivational small group art therapy for improvement of self-efficiency of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박정숙, 공마리아 p. 129-149

정서·행동장애 연구의 동향 분석 :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n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 focusing on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 / 「정서·행동장애연구」를 중심으로 양길석, 이상훈 p. 355-376

독일과 일본의 정서·행동장애 교육 체제가 우리나라 정서·행동장애교육 발전에 주는 시사 = A study on implications of educational system for student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in Germany and Japan 이재욱 p. 331-354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대학생의 대인관계 간의 관계에서 초기 부적응 도식의 매개효과 = The mediated effect of early maladaptive schema in the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hildhood emotional abuse 박주영, 김용수 p. 309-330

대학생의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게임중독 경향성, 자살위험성 간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analysi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game addiction tendency and suicidal risk :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김춘경, 정대겸, 조민규 p. 283-307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동물매개활동 및 치료 연구동향 분석 : Trends in animal assisted activities and therapy related research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 domestic journals /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지혜 p. 265-281

협력중심 자기결정 교수모델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자기결정력 및 전환목표달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the collaboration-based instruction model for self-determination on career self-efficacy, self-determination, and transition goal-attainment of students in elementary inclusive classes 전민지, 이숙향 p. 209-234

인성교육으로서의 마음챙김 명상 = Mindfulness meditation as personality education 윤병수, 전종국 p. 189-208

근거이론에 기반한 자폐범주성장애 학생의 또래괴롭힘 경험과 피해 대처과정 분석 = Analysis of bullying experiences and coping process for victimization in students with AS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박인환, 이승연 p. 1-27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관련 미술치료 연구 동향 = A study on research trends in art therapy related to Internet & smartphone addiction 유현영, 이근매 p. 151-170

집단미술치료를 활용한 진로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진로동기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areer program using group art therapy o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강채미, 조현재 p. 105-127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관한 내러티브탐구 = Narrative exploration of parenting experiences of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권애림, 김갑숙 p. 85-104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한 성인의 외상후 인지가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osttraumatic cognition on the posttraumatic growth of adults with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 the mediating effect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moder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 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및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김지민, 김선미, 김정민 p. 55-84

전문가와 부모가 협력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성인의 도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collaborated by parents and experts on the challenging behaviors of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이선희, 이원희 p. 29-54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옥화 (2013). 독일 ‘정서와 사회 발달’ 영역 특수교육지원 체제. 정서·행동장애연구, 29(1), 273-301. 미소장
2 교육부 (2020). 2020 특수교육통계. 충남: 저자. 미소장
3 권예진, 차명호 (2017).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상담학 지적 구조 분석:「상담학 연구」학회지 게재논문(창간년도-2016). 상담학연구, 18(6), 159-177. 미소장
4 김수연, 이경화, 정가희, 최미진 (2020).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학습장애 및 정서장애선정 현황과 문제점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2020 추계 학술대회 자료집, pp. 3-17, 충남 공주: 국립공주대학교 대학본부 중회의실. 미소장
5 박명화 (2018). 정서·행동장애학생 교육과 지원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한 과제 및 전망. 정서·행동장애연구, 34(4), 157-181 미소장
6 신윤희, 이효신, 정대영, 이상훈 (2014).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한 정서·행동장애 개념정립. 정서·행동장애연구, 30(1), 231-286. 미소장
7 양길석 (2019).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교육평가연구」의 최근 연구경향 분석. 교육평가연구, 32(4), 625-647. 미소장
8 유소영, 김용학 (2013). 한일 비교 연구의 비교: 인문사회 분야 논문키워드 연결망 분석을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44(1), 25-45. 미소장
9 윤점룡, 이상훈, 문현미, 서은정, 김민동, 문장원, . . . 박계신 (2017). 정서 및 행동장애아교육 (제3판). 서울: 학지사. 미소장
10 이미아 (2011). 정서행동장애아동을 위한 대학과 지역사회 협력을 통한 긍정적 행동지원수행: Kansas 사례를 중심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27(1), 197-221. 미소장
11 이상훈 (2011). 정서·행동장애의 정의와 선별, 진단에 관한 고찰. 정서·행동장애연구, 27(2), 291-317. 미소장
12 이상훈 (2013). ‘정서·행동장애’의 명칭과 정의에 대한 특수교육학적 고찰. 정서·행동장애연구, 29(3), 1-29. 미소장
13 이상훈 (2015). 정서·행동장애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 31(3), 377-394. 미소장
14 이승희 (2017). 정서행동장애개론. 서울: 학지사. 미소장
15 이재욱, 이근매, 조재규 (2020. 10.). 독일과 일본의 정서·행동장애 교육 체제가 우리나라 정서·행동장애교육 발전에 주는 시사. 한국특수교육학회 2020 추계 학술대회 자료집, pp. 87-110, 충남 공주: 국립공주대학교 대학본부 중회의실. 미소장
16 조재규 (2017). 「정서·행동장애연구」학술지의 연구방법 및 내용 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 33(4), 109-13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