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관점 투영적 내용이론과 대언적/대물적 믿음귀속 = Perspective-projected content theory and De Dicto/De Re belief ascription / 이병덕 1

[요약] 1

I. 들어가는 말 2

II. 대언적/대물적 믿음귀속 2

III. 의미론적 내용과 주장 내용의 구분 14

IV. 이름의 내용에 관한 관점 투영성 16

V. 관점 투영적 이론을 옹호하는 것으로 제시된 다양한 사례들 19

VI. 언어표현의 옳은 사용을 규제하는 공적인 언어규범들과 주장 내용의 상호주관적 이해 26

VII. 나오는 말 28

참고문헌 29

ABSTRACT 31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에서 우정과 자기애 : Friendship & self-love in Aristotle's ethics, focused on the Nicomachean Ethics, Book 8-9 / 『니코마코스윤리학』 8-9권을 중심으로 이창우 p. 3-37

보기
칸트에서 인격 동일성의 의의 = The identity of person in Kant 박경남 p. 39-70

보기
시간과 현존의 관계에 대한 하이데거 사유의 변천과정에 대한 고찰 = A study of the changes of Heidegger's thinking on the relation between time and presencing 정은해 p. 71-97

보기
푸코-데리다의 광기 논쟁에 대한 '데리다적' 독해 : A Derridean reading of the Foucault-Derrida debate : "Cogito and the History of Madness" revisited / 「코기토와 광기의 역사」 다시 읽기 김민호 p. 99-145

보기
관점 투영적 내용이론과 대언적/대물적 믿음귀속 = Perspective-projected content theory and De Dicto/De Re belief ascription 이병덕 p. 147-177

보기
고유명은 자연언어 표현이 아닌가? : Are proper names not natural language expressions? : Criticisms of the competence argument, the untranslatability argument, and the locality argument / 유창성 논증, 번역불가능성 논증, 국지성 논증에 대한 비판 이풍실 p. 179-221

보기
합리성과 행위 이해 = Rationality and action understanding 원치욱 p. 223-258

보기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이병덕 (2017), 『표상의 언어에서 추론의 언어로』, 성균관대학교출판부. 미소장
2 최동호 (2018), “이름과 술어에 대한 내용이론에 관점-투영성이 추가될 필요가 있을까?”, 『철학사상』, 제69호, pp. 329-360. 미소장
3 Brandom, Robert (1994), Making It Explicit.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4 Brandom, Robert (2000), Articulating Reason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5 Davidson, Donald (1984), “Thought and Talk”, In Inquires into Truth and Interpreta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155-170. 미소장
6 Donnellan, Keith (1966), “Reference and Definite Descriptions”, The Philosophical Review 75(3), pp. 281-304. 미소장
7 Dummett, Michael (1973), Frege: Philosophy of Language, Cambridge: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8 Dummett, Michael (1991), The Logical Basis of Metaphysics, Cambridge: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9 Evans, Gareth (1979), “Reference and Contingency”, The Monist 62, pp. 161-189. 미소장
10 Kripke, Saul (1979), “A Puzzle about Belief”, In Meaning and Use (ed. A. Margolit), Dordrecht: D. Reidel, pp. 239-283. 미소장
11 Lewis, David (1980), “Index, Context and Content”, In Philosophy and Grammar (eds. S. Kanger and S. Öhman), Amsterdam:Reidel, pp. 79-100. 미소장
12 Rabern, Brian (2012), “Against the Identification of Assertoric Content with Compositional Value”, Synthese 189(1), pp. 75-96. 미소장
13 Rabern, Brian (2017), “A Bridge from Semantic Value to Content”, Philosophical Topics 45(2), pp. 201-226. 미소장
14 Stanley, Jason (1997), “Rigidity and Content”, In Language, Thought, and Logic: Essays in Honour of Michael Dummett (ed. R. Heck),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131-5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