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그루밍 성범죄가 증가하는 이유를 짚어보고, 온라인 그루밍이 일어나는 구체적 과정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온라인 그루밍 피해 아동·청소년을 상담한 경험이 있는 아동·청소년 지원기관 실무자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성범죄자들은 디지털 환경의 관계 맺기에 익숙한 아동·청소년들의 특성을 악용해 이들에게 접근하고 순응, 협박, 통제 과정을 거쳐 성착취를 행하는 동일한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온라인 그루밍의 채널이 다양화·음지화되면서 위험이 증가하는 데 반해, 온라인 그루밍이 성범죄로 인식되지 않거나 아동·청소년 피해자가 자발적 동조자로 간주되면서 사회적 지원체계에서 멀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한국사회가 온라인 그루밍의 피해자인 아동·청소년을 낙인찍기보다, 디지털 네이티브인 아동·청소년의 특성을 이해하고, 사회·문화적 구조 개선에 초점을 맞추어 온라인 그루밍 성범죄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COVID-19 확산 이후 한국사회 사회갈등 이슈와 미래신호 탐색 : Social conflict issues and searching for future signal since COVID-19 : focusing on the keywords in the news articles / 국내 뉴스 기사 키워드를 중심으로 김용회, 한창근 p. 5-37

맞벌이 여성의 상대적 소득수준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Relationship between wives' relative income and marital satisfaction : mediating effect of spouse relationship / 배우자 관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소정 p. 281-306

미혼모의 출산과 양육의 의미와 본질 구조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meaning and essential structure of childbirth and rearing of unmarried mothers 강라현 p. 251-280

중⋅고령층의 사회적지지 척도 타당화 : Validation of the social support scale for the middle and the elderly : an application of item response theory / 문항반응이론 적용 이경원 p. 219-249

발달장애아동 학대행위자의 비난가능성에 대한 유형별 고찰 = A study on the likelihood of accusation of abus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type 신진호 p. 195-217

가족재결합 이후 아동학대 재발생에 관한 실증연구 = An empirical study on the recurrence of child maltreatment after family reunification 윤수경 p. 169-194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빈곤 영향과 건강행태 및 사회활동의 조절효과 = The effect of poverty on the cognitive functions among the elderly : moderating effect of health behaviors and social activities 김형관, 이상록 p. 139-168

아동⋅청소년 대상 온라인 그루밍 성범죄에 관한 연구 = Online sexual grooming offenses against children and adolescents 전수아, 권하늬, 정한나, 김수영 p. 97-138

아동복지 프로그램 평가 기준 및 지표 개발 = The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criteria and index for the child welfare program 박은혜, 정익중, 강현아, 노충래, 전종설, 우석진 p. 67-96

Q방법론을 활용한 통합문화이용권 인식유형 분석 = An analysis of patterns of perception towards integrated cultural voucher program through Q methodology 윤상원, 김현정 p. 3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