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한국 여성신학 운동은 1980년 창립된 한국여신학자협의회의 활동으로 문을 열었다. 여성신학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거의 전무한 교회 현실 속에서 여신협은 여성신학 확산을 위해 노력해왔다. 이제 변화하는 시대에 알맞게 한국 여성신학 운동은 앞으로 40년을 준비해야 한다. 연구자는 한국 여성신학 운동이 교회 여성들의 역량 강화를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학적인 틀을 빌어 구조로서의 사회로부터 벗어나 여성신학 운동의 주체들이 세워지는 사회를 기대하며 그 주체들이 모인 연대로서의 사회를 지향한다. 또 그들이 세워가는 창조로서의 사회에 요청되는 우정의 윤리에 대한 논의를 통해 여성신학 운동의 역량 강화 해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Korean Feminist Theological Movement has been ongoing since 1980 with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Women theologians(KAWT). In the church reality, where there is little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feminist theology, KAWT has been striving to spread feminist theology. However, in these changing times, the Korean Feminist Theological Movement needs to look ahead to the next 40 years. This paper examines what the Korean Feminist Theological Movement should do to empower the capacity of church women. In this study, I look forward to a society where the subjects of the feminist theology movement are established away from Society as a sociological framework and aim for a society which is defined by solidarity, a society in which subjectivity of all people is honoured. This research seeks to empower the feminist theology movement through discussions on the ethics of friendship, suggesting that the society they seek can be created with their effort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대 교회 사막 교부와 장공 김재준 = Comparison between the poverty of the early Christian desert fathers (Antonios and Evagrios) and Kim, Jae Jun : 안토니오스(Antonios of Egypt, ca. 251-356), 에바그리오스(Evagrios of Pontus, 345-399)와 장공(長空) 김재준(1901-1987)의 청빈 이해를 중심으로 나현기 p. 13-51

코로나19 이후 시대, 미술을 통한 일상성 회복의 의미 연구 : A study on the meaning of resilience of everydayness through arts in the post-COVID-19 era : focusing on the art practice of Pierre Huyghe(1962- ) / 피에르 위그(Pierre Huyghe, 1962- ) 미술 실천을 중심으로 공주형 p. 53-80

코로나 이후의 한반도 평화 통일 운동의 전망 : A post-COVID-19 view of the Korean peninsula peace movement : a critical biography of Rev. White Stone Hee-Nam Kang / 흰돌 강희남 목사의 평전을 중심으로 홍성표 p. 81-113

독일 나치 시대 여성 = Women in Nazi Germany 백용기 p. 115-144

한국인의 인성, 윤리, 가치에 대해 교육 체계가 미치는 영향 분석과 후기 근대 다원적 사회들에 대한 함의 = An analysis of the impacts of the education system on the character, ethics, and values of Koreans and its implications for late modern pluralistic societies 백충현 p. 145-169

4세기 후반 그리스도론의 역사에 대한 재평가 : The late 4th-century Christology revisited : with focus on St. Gregory of Nazianzus /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를 중심으로 김정형 p. 171-197

예배 : Worship : reforming and transforming community of faith, life, holistic arts, and stories / 공동체, 삶, 전인적 예술, 그리고 이야기의 개혁과 변혁 김남중 p. 199-228

인공지능과 인간지능 :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 intelligence : an interdisciplinary dialogue on intelligence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science and theology / 지능에 관한 인지과학과 신학의 대화 전철, 이경민 p. 229-253

세상 권세에 어디까지 복종해야 하는가? : To what extent should it be obeyed? : Bonhoeffer's Christian ethical interpretation of Martin Luther's two kingdoms / 마틴 루터의 두 정부론에 대한 본회퍼의 기독교 윤리학적 해석 허석헌 p. 255-288

한반도 통일 운동의 여정과 역사적 조망 : A historical reflection of Korean unification movement : Christianity and global network / 기독교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하희정 p. 289-328

"나는 나다" : "I am" : what & how : from the perspective of meta- existential therapy / 의미와 실제 : 메타실존치료적 관점에서 이정기 p. 329-362

한국 이주민 여성들과 유목적 주체로의 신학적 형상화 = Immigrant women in Korea as nomadic self and as mysterious immago dei 최순양 p. 363-393

한국 여성신학 운동의 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 : A study on the empowerment of Korean feminist theological movement : for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Women Theologians / 한국여신학자협의회 사업을 중심으로 강희수 p. 395-421

한국 교회사의 역사관 : A study of the contribution/limitation and development plans of Korean church history's historical view / 공헌과 한계 그리고 발전 방안 모색 고훈 p. 423-453

중국 문자에 기초한 창세기적 해석에 관한 방법론적 비평 : Methodological criticism of an interpretation of genesis based on Chinese characters : focused on ship, blessing, and god the most high / 선(船), 복(福) 그리고 상제(上帝)를 중심으로 김영웅, 제해종 p. 455-4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