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박태순은 등단 이후 1960년대 후반부터 ‘외촌동 사람들’ 연작이라 불리는 일련의 작품들을 포함, 산업화시대 개발의 중심으로부터 소외된 변두리 빈민들의 삶을 독특하게 묘사한 소설을 발표해왔다. 그의 이러한 관심은 1970년대 초반에 이르러 「소신(燒身)의 경고—평화시장 재단사 전태일의 얼」, 「광주단지 4박5일」 등 도시 변두리의 실태를 고발하는 르포 창작으로 확대된다. 이 무렵 그는 여러 차례 소설 절필을 선언하고 번복하기를 반복하다 1970년대 후반에는 제3세계 문학 번역과 자유실천문인협의회 활동에 매진하게 되고, 1980년에는 자유실천문인회의 기관지격으로 출범한 『실천문학』의 발행과 기획의 중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때 제3세계 문예운동전선의 일원으로 스스로를 파악하고, 역사의 중심에 민중을 재배치하고 식민화된 국토와 언어를 회복하고자 하며, 민중의 면면을 르포 기사와 표지 화보로 가시화하고자 하는 등 『실천문학』의 내부 텍스트 구성에는 박태순의 의도가 깊이 자리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그가 『실천문학』 지면에 ‘사실소설’이라 명명하여 발표한 「어머니」의 경우, 박태순 자신이 기존에 여러 매체를 통해 발표한 기사들을 편집 및 콜라주한 것으로, 이는 문학 범주의 유동적 확장 및 착종에 관한 고민과 실험의 결과물로 간주된다.
한편 박태순은 1973년 총 11호에 걸쳐 잡지 『세대』를 통해 연재한 ‘한국 탐험’을 시작으로, 1981년부터 1982년까지는 『마당』에 ‘국토기행’을, 1988년부터 1990년까지는 『월간중앙』에 ‘한국의 기층문화를 찾아서’와 ‘사상의 고향’을 연이어 싣는 등 다수의 기행 르포 시리즈를 발표하기도 한다. 국토를 종횡으로 유랑한 경험을 토대로 한 인문지리지 작업으로 집필 활동의 마침표를 찍을 때까지 그는 권력 주도 개발로 편중된 국토 불균형을 해소하고 민중의 ‘낙토(樂土)’를 회복하기 위한 광의의 문학을 지속해갔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경향신문] | 미소장 |
2 | [동아일보] | 미소장 |
3 | [문화과학] | 미소장 |
4 | [마당] | 미소장 |
5 | [세대] | 미소장 |
6 | [실천문학] | 미소장 |
7 | [여성동아] | 미소장 |
8 | [오늘의 책] | 미소장 |
9 | [월간중앙] | 미소장 |
10 | [창작과 비평] | 미소장 |
11 | 박태순, 1960년대 문학, 문화원형의 문학공간으로 평가되기를 기대하며 , [상허학보]40, 상허학회, 2014. | 미소장 |
12 | 박태순, [국토와 민중], 한길사, 1983. | 미소장 |
13 | 박태순, [나의 국토 나의 산하] 1~3, 한길사, 2008. | 미소장 |
14 | 박태순, 내가 보낸 60년대의 서울 , [문화과학], 1994.1. | 미소장 |
15 | 박태순, [낯선거리], 나남, 1989. | 미소장 |
16 | 박태순, [님을 위한 순금의 칼], 경미문화사, 1979. | 미소장 |
17 | 박태순, [무너진 극장], 책세상, 2007. | 미소장 |
18 | 박태순, [민족의 꿈, 시인의 꿈], 한길사, 1986. | 미소장 |
19 | 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심설당, 1980. | 미소장 |
20 | 박태순, [작가기행], 민음사, 1975. | 미소장 |
21 | 박태순, [정든 땅 언덕 위], 민음사, 1973. | 미소장 |
22 | 박태순, [한국소설문학대계 50], 동아출판사, 1995. | 미소장 |
23 | 김남일, 박태순, 꼭 제3세계의 부정기간행물 같던 작가 , [창작과 비평], 2019.12. | 미소장 |
24 | 김세준, 박태순의 실천 담론과 역사의식 , [현대문학이론연구] 69,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 미소장 |
25 | 김종헌, 탈식민주의의 해체적 문화 이론: 바바와 데리다를 중심으로 , [현상과 인식]28,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4. | 미소장 |
26 | 김진기, 박태순 초기소설에 나타난 작가의식 연구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0,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1. | 미소장 |
27 | 배하은, [1980년대 문학의 수행성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7. | 미소장 |
28 | 송은영, 추방당한 삶의 기록들—도시 철거민을 위한 아주 작은 문학사 , [실천문학], 2013.3. | 미소장 |
29 | 안지영, 김지하의 역사의식과 ‘민중’의 의미 양상 , [한국학 연구] 47,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 미소장 |
30 | 오창은, 1960년대 ‘방’을 통해 재현된 도시적 불안 , [우리문학연구] 20, 우리문학회, 2006. | 미소장 |
31 | 이명원, 박태순, [대담] 소설가 박태순에게 들어보는 1980년대와 [실천문학], 그리고 문학 운동 , [실천문학], 2012.2. | 미소장 |
32 | 이소영, 소설가 박태순이 제안하는 한국문학의 출구전략 , [상허학보] 49, 상허학회, 2017. | 미소장 |
33 | 이수형, 박태순 소설에 나타난 ‘이동성’의 의미 , [민족문학사연구] 38,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08. | 미소장 |
34 | 장세훈, 80년대 도시 공간 개발 정책에 관한 사례 연구—목동 지역의 “공영 개발” 정책을중심으로 , [사회와 역사] 26, 한국사회사학회, 1990. | 미소장 |
35 | 조현일, 박태순 소설에 나타난 유년기 형상에 대한 연구—「뜬눈 과 가슴 속에 남아 있는 미처 하지 못한 말 을 중심으로 , [비평문학] 45, 한국비평문학회, 2012. | 미소장 |
36 | 조현일, 박태순의 외촌동 연작 연구—이야기와 숭고 , [우리어문연구] 29, 우리어문학회, 2017. | 미소장 |
37 | 고은 외, [문학과 예술의 실천논리], 실천문학사, 1983. | 미소장 |
38 | 노명우, [발터 벤야민과 메트로폴리스], 효형출판, 2005. | 미소장 |
39 |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사진의 작은 역사 외], 도서출판 길, 2007. | 미소장 |
40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편, [장소성의 형성과 재현(로컬리티 연구총서3)], 도서출판 혜안, 2010. | 미소장 |
41 | 서정인, 박태순, 한남철, [20세기 한국소설 20], ㈜창비, 2005. | 미소장 |
42 | 이호규, [저항과 자유의 서사], 국학자료원, 2007. | 미소장 |
43 | 질 들뢰즈, 김상환 역,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 미소장 |
44 | 최원식, [소수자의 옹호], 자음과 모음, 2014. | 미소장 |
45 | 페르디난트 퇴니스, 곽노완ㆍ황기우 역, [공동사회와 이익사회], 라움, 2017. | 미소장 |
46 | (사)한국작가회의 40주년 기념사업단 편찬위원회, [한국작가회의 40년사 1974~2014], 실천문학사, 2014. | 미소장 |
47 | 이병한, AA 작가회의 : 콜롬보로 가는 길 , 웹진 [플랫폼], 2012.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