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유아가 환경문제를 직면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방법으로써 업사이클링 재료를 활용하여 메이커활동의 과정을 통해 결과물을 만들어내고, 이를 만들어내는 경험과 결과를 다른 또래와 공유하고 소통하는 업사이클링 메이커활동을 통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총 30명으로 실험집단 유아 14명, 통제집단 유아 16명이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 환경보전지식, 환경보전태도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Win을 활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교사면담은 범주화 및 구성원 점검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창의성, 환경보전지식, 환경보전태도에 대해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업사이클링 메이커 활동을 통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적합하게 구성되었으며, 유아의창의성, 환경보전지식, 환경보전태도에 대한 적합한 지식, 기술 및 태도를 증진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을 시사한다.

참고문헌 (3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선영 (2016). 업사이클링 사진감상을 통한 통합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능력과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 강인애, 김명기 (2017). 메이커 활동(Maker Activity)의 초등학교 수업적용 가능성 및 교육적 가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4), 487-515. https://doi.org/10.22251/jlcci.2017.17.14.487 미소장
3 강인애, 김홍순 (2017). 메이커교육(Maker education)을 통한 메이커정신(Maker mindset)의 가치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0), 250-26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0.250 미소장
4 곽은복 (2005). 생태지향적 관점에 근거한 유아 환경교육의 전망. 아동교육, 14(1), 83-96. 미소장
5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년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세종: 교육부. 미소장
6 김대명 (2018). 중등학교 미술교육에서 금속재료의 재활용품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금속공예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 김래현 (2017). 환경미술교육을 위한 업사이클링 수업지도안 연구: 리폼 디자인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 김정현 (2020). 과학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9 김진옥 (2018). 메이커기반 STEAM교육을 위한 수업모형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0 류혜숙, 신금호 (2010). 생태동화를 통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에 미치는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4(4), 189-208. 미소장
11 박자명 (2014). 중고등학생의 업사이클 패션제품의 구매행동과 환경의식, 의복재활용행동, 패션관심에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 박희숙 (2010). 유아의 환경소양 증진을 위한 가정연계 중심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유아교육연구, 30(3), 215-237. https://doi.org/10.18023/kjece.2010.30.3.010 미소장
13 서희정, 이종연 (2018).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미래교육 동향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4(4), 649-678. https://doi.org/10.15833/KAFEIAM.24.4.649 미소장
14 엄승표 (2020). 메이커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5 오민주 (2014). 업사이클링 활동을 중심으로 한 통합교과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6 오민주, 이성희, 이상원 (2015). 업사이클링 활동을 중심으로 한 통합교과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환경교육학회, 28(4), 229-241. https://doi.org/10.17965/kjee.2015.28.4.229 미소장
17 오연주 (2019). 업사이클링을 통한 놀잇감 발명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8 오지민 (2017).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미술수업 지도방안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9 이동국(2019). 학교 메이커스페이스 및 메이커 교육 설계 원리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0 이수진 (2014). 녹색성장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 지식과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카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1 이승철 (2018). 디자인적 사고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학습동기에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2 전경원 (2014). 유아종합 창의성검사, K-CCTYC. 서울: 학지사. 미소장
23 한국과학창의재단 (2016). 메이커 운동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미소장
24 한태현 (2001). 유치원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환경보전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5 현온강, 이완정, 김영명 (2002). 유아환경교육 활동프로그램. 서울: 동문사. 미소장
26 홍지명 (2006). 환경동화를 활용한 통합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7 환경부 (2006).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3~5세). 서울: 양서원. 미소장
28 환경부 (2013). 자원순환정책 실효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과제. 서울: 환경부. 미소장
29 Ackermann, E. (2010). Play: What’s to be learned from kids? Part 1. Retrieved March 11, 2021, from https://walkerart.org/magazine/play-whats-to-be-learned-from-kids-part-1 미소장
30 Cohen, S. (1994). Children and the environment: Aesthetic learning. Childhood Educaion, 302-305. https://doi.org/10.1080/00094056.1994.10521047 미소장
31 Davis, J. (1998). Young childre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6(2), 117-123. 미소장
32 Evans, G. W., Brauchle, G., Haq, A., Stecker, R., Wong, K. & Shaprio, E. (2007).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Attitudes and Behaviors. Environment and Behavior, 39(5), 635-658. https://doi.org/10.1177/0013916506294252 미소장
33 Lowenfeld, J. N. (1965). Playfulness: It's relationship to imagination and creativity. New York:Academic Press. 미소장
34 Martinez, S. M. & Stager, G. S. (2013). Invent to learn: Making, tinkering, and engineering in the classroom. Torrance, CA: Contruccting Modern Knowledge Press. 미소장
35 Sternberg, R. J. (1994). Thinking styles: Theory and assessment at the interface between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In R. J. Sternberg & P. Ruzgis (Eds.), Personality and intelligence (pp. 169-187).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36 WEF (2016). The future of jobs: 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trieved April 1, 2020, from http://hdl.voced.edu.au/10707/39327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