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좋은 일자리 새로운 분류 제안 및 분석 = The study on classification of better jobs for graduates / 남기성 ; 천영민 1

초록 1

I. 서론 2

II. 좋은 일자리 기준 및 기초 분석 3

1. 좋은 일자리의 개념 및 선행연구 3

2. 좋은 일자리 기준의 제안 4

3. 좋은 일자리 분포 8

III. 좋은 일자리에 대한 결정요인 10

IV. 결론 15

참고문헌 16

Abstract 18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좋은 일자리 새로운 분류 제안 및 분석 = The study on classification of better jobs for graduates 남기성, 천영민 p. 1-18

보기
일학습병행 학습매니저 도입에 대한 기업현장교사의 인식 조사 = Necessity and introduction way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manager in Korean apprenticeship 조한진, 박종성, 문다니엘, 전성준 p. 19-40

보기
코로나 바이러스-19로 인한 비서직의 업무변화 질적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changing duties for secretaries caused by COVID 19 양지혜, 오지현 p. 41-63

보기
대졸 청년층의 초기 노동시장에서의 이직 결정요인 및 임금효과 분석 = Determinants of job mobility and wage effects of youth college graduates in the early labor market 박은규, 정진철 p. 65-89

보기
코로나19 시대, 청년들의 고용취약성은 보장되는가? = In the era of COVID-19, are youths' employment vulnerability guaranteed? 박자경, 서예린 p. 91-114

보기
상사지원인식이 리더십 효능감을 매개하여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erceived supervisory support on leadership efficacy and job stress :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ender /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강선애, 어수봉 p. 115-133

보기
특성화고 출신 대졸자의 자격취득 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qualification acquisition on the early labor market transition of college graduates from specialized high school 김명희, 이영민 p. 135-152

보기

참고문헌 (3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은영. (2017). 고용의 질 해외사례 검토 및 지표체계 구축 방안, 통계청. 미소장
2 김기덕, 어수봉. (2019). 한국의 직업안정성 변화와 원인 분석. Journal of Skills and Qualifications, 8(3), 45-67. 미소장
3 김영수. (2013). 지역산업의 고용구조 변화와 일자리 창출 전략, 산업연구원. 미소장
4 김승현, 김규곤. (2017). 복합표본설계 데이터의 분석방법 비교.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5), 2469-2480. 미소장
5 김하늬, 김현주, 박소리, 손은령. (2019). 미취업 청년이 인식하는 구직실패 관련 변인 탐색. Journal of Skills and Qualifications, 8(1), 1-16. 미소장
6 남춘호. (2011). 고용의 질 지수를 이용한 노동시장의 불평등과 양극화추세 분석. 경제와 사회, 305-350. 미소장
7 노용환, 신종각. (2007).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우리나라 고용의 질 추이 분석. 직업능력개발연구, 10(3), 45-65. 미소장
8 대전세종연구원. (2019). 대전의 여대생에게 ‘좋은 일자리’란?, 대전세종인포그래픽스 11. 미소장
9 박상현. (2010). OES를 활용한 괜찮은 일자리의 실증적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동향조사 심포지엄. 미소장
10 방하남, 이상호. (2006). 좋은 일자리의 개념구성 및 결정요인의 분석. 한국사회학, 40(1), 93-126. 미소장
11 손민중. (2006). ‘괜찮은 일자리’ 창출력 하락과 그 시사점, SERI CEO, 삼성경제연구소. 미소장
12 송영남. (2010). 좋은 일자리의 결정요인과 지역 간 분포의 변화에 관한 연구. 지방행정연구, 24(4), 209-233. 미소장
13 송영남. (2011). ‘좋은 일자리’ 분포의 지역별 변화와 이행과정의 결정요인. 지방행정연구, 25(3), 313~342. 미소장
14 어수봉, 조세형. (2006). 고용의 질 측정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미소장
15 이병훈, 신광영, 송리라. (2016). 일자리 질의 양극화 추이에 관한 실증분석. 노동정책연구, 16(4), 37-64. 미소장
16 장광수, 임진, 김상훈. (2011). 양질의 일자리 수급상황 및 대응방향, 한국은행. 미소장
17 조희경. (2018). 직장인의 경력성공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국제비교를 위한 기초연구 -. Journal of Skills and Qualifications, 7(2), 197-220. 미소장
18 최옥금. (2006).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개념정의 및 실태파악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22(2), 227-252. 미소장
19 현대경제연구원. (2016). 국내 임금근로자의 일자리 구조 변화 및 시사점 - 좋은 일자리 증가속, 근로약자(여성 청년 고령층)의 상대적 소외, 경제주평. 미소장
20 홍성우. (2008). 광주․전남 노동시장 고용의 질 측정과 향상방안. 지역개발연구, 40(2), 17~36. 미소장
21 Ahlburg D. A., Song Y., Leitz S. (1995). “Are Good Jobs Disappearing? Evidence for Minnesota from the 1980 and 1990 Censuses,” Center for Urban and Regional Affairs. 미소장
22 European Commission. (2003). “Improving quality in work” 미소장
23 EU(2008), “Employment in Europe 2008”. 미소장
24 ILO. (1999). “Decent work”, Report of the Director-General to the International Labour Conference 87th Session, ILO, Geneva. 미소장
25 Levy, Frank S., and Richard C. Michel. (1991). “The Economic Future of American Families: Income and Wealth Trends,” Washington, D.C.: The Urban Institute Press, 미소장
26 Morissette, Rene and Anick Johnson. (2005). “Are Good Jobs Disappearing in Canada?” FRBNY Economic Policy Review. 미소장
27 OECD. (2015). “Measuring and Assessing Job Quality: the OECD job quality ramework”, OECD Social, employment and migration working papers 174, OECD Publishing. Paris. 미소장
28 Ritter, J. A. and R. Anker. (2002). “Good jobs, Bad jobs: Workers’ Evaluations in Five Countries”, International Labor Review, 141(4), 331-358. 미소장
29 UNECE. (2010). “Measuring Quality of Employment: Country pilot Reports”, UN. 미소장
30 UNECE. (2015). “Handbook on Measuring Quality of Employment”, U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