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Japanese Art Open Database(http://www.jaodb.com/db/search.asp, 2021.01.25.) | 미소장 |
2 | 성덕기념회화관(聖德記念繪画館) | 미소장 |
3 | 西村茂樹, 『小学修身訓』, 岡島真七, 1880. | 미소장 |
4 | 西村茂樹 外 編纂, 『婦女鑑 宮內省藏版』, 吉川弘文館, 1887. | 미소장 |
5 | 三輪田真佐子, 『女子敎育要言』, 国光社, 1897. | 미소장 |
6 | 文部省, 『高等女学校用修身敎科書』, 文学社, 1901. | 미소장 |
7 | 기타하라 메구미 저, 김용철 역,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어진회의의 표상‘전쟁화’란 무엇인가」, 『전쟁과 미술』, 현실문화연구, 2019, 31∼62쪽. | 미소장 |
8 | 김경리, 「메이지20년대 ‘제국일본’의 이미지 고찰」, 『일본어문학』 43, 2009, 483∼507쪽. | 미소장 |
9 | 김경리, 「대일본제국헌법발포식니시키에(大日本帝國憲法發布式錦絵)의 쇼켄황태후(昭憲皇太后) 표상」, 『일본학보』 105, 2015, 285∼301쪽. | 미소장 |
10 | 김경리, 「시각이미지를 통한 근대일본의 표상 연구-개항기부터 메이지시대까지」, 건국대학교 박사논문, 2015. | 미소장 |
11 | 김용철, 「에필로그: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 전쟁화의 전후 행방」, 『싸우는 미술』, 아연출판부, 2000, 130∼150쪽. | 미소장 |
12 | 김용철, 「청일전쟁기 일본의 전쟁화」, 『일본연구』 15, 2011, 333∼356쪽. | 미소장 |
13 | 박시언⋅박이진, 「메이지 황후의 부각과 이미지화-1869∼1894년 근대국가 입헌황후로서의 표상」, 『일본문화연구』 73, 2019, 196∼218쪽. | 미소장 |
14 | 박시언, 「일본 근대 황후의 발명과 표상 –니시키에와 여성교육에 나타난 메이지 황후의 표상체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논문, 2020. | 미소장 |
15 | 박이진, 「일본의 황후 표상과 젠더 – 천황가의 이미지 정치와 황후의 역할」, 『대동문화연구』 108, 2019, 489∼511쪽. | 미소장 |
16 | 박진우, 「니시키에(錦繪)를 통해서 본 근대천황상과 조선 멸시관의 형성」, 『동북아역사논총』 42, 2013, 47∼82쪽. | 미소장 |
17 | 세실 화이팅 저, 김용철 역, 「태평양전쟁에서의 프로파간다」, 『전쟁과 미술』, 현실문화연구, 2019, 153∼182쪽. | 미소장 |
18 | 손정아, 「메이지(明治)초기 우키요에(浮世絵)의 하이브리드적 변형」, 『일어일문학연구』 106, 2008, 217∼235쪽. | 미소장 |
19 | 아오키 미치오 저, 허은주 역, 『일본 대중문화의 원형』, 소명출판, 2016. | 미소장 |
20 | 야스카와 주노스케 저, 이향철 역, 『후쿠자와 유키치의 아시아침략사상을 묻는다』, 역사비평사, 2011. | 미소장 |
21 | 오성숙, 「일본여성과 내셔널리즘-오쿠무라 이오코, 애국부인회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연구』 77, 2011, 239∼259쪽. | 미소장 |
22 | 와카쿠와 미도리 저, 건국대학교 대학원 일본문화⋅언어학과 역, 『황후의 초상, 쇼켄황태후의 표상과 여성의 국민화』, 소명출판, 2007. | 미소장 |
23 | 와카쿠와 미도리 저, 김원식 역, 『사람은 왜 전쟁을 하는가』, 알마, 2007. | 미소장 |
24 | 이노우에 키요시 저, 성해준⋅강영희 역, 『일본여성사』, 語文學社, 2004. | 미소장 |
25 | 조유경, 「태평양 전쟁기(1941-45) 잡지 『半島の光』의 표지 이미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2016. | 미소장 |
26 | 최영진, 『한 손에 잡히는 전쟁과 미술』, 평화서각, 2016. | 미소장 |
27 | 후지메 유키 저, 김경자 역, 『성의 역사학: 근대국가는 성을 어떻게 관리하는가』, 삼인, 2004. | 미소장 |
28 | 中川麻子⋅田中淑江, 「明治時代の女子教育における刺繍について」, 『筑波学院大学紀要』 8, 2013, pp. 51∼57. | 미소장 |
29 | 原武史, 『皇后考』, 講談社, 2015. | 미소장 |
30 | 原武史, 『<女帝>の日本史』, NHK出版新書529, 2017. | 미소장 |
31 | 脇田晴子⋅林玲子⋅永原和子, 『日本女性史』, 吉川弘文, 1987. | 미소장 |
32 | 今泉宜子, 『明治日本のナイチンゲ-ルたち 世界を救い續ける赤十字 「昭憲皇太后基金」の100年』, 扶桑社, 2014. | 미소장 |
33 | 北原恵, 「消えた天皇⋅皇后像と 「戦争画」 -第二回大東亜戦争美術展に特別奉掲された三枚の絵画」, 『image&gender』 6, 2006, pp. 23∼30. | 미소장 |
34 | 櫛田眞澄, 『男女平等敎育沮害の要因-明治期女学校敎育の考察』, 明石書店, 2009. | 미소장 |
35 | 越後純子, 『近代敎育と 『婦女鑑』の硏究』, 吉川弘文館, 2016. | 미소장 |
36 | 鄭ニョン, 「明治聖徳記念絵画館壁画考」, 『地域文化研究』 18, 2014, pp. 72∼91. | 미소장 |
37 | 小田部雄次, 『昭憲皇太后⋅貞明皇后-一筋に誠をもちて仕へなば』, ミネルヴァ書房, 2010. | 미소장 |
38 | O⋅フオン⋅モ-ル 著, 金森誠也 譯, 『ドイツ貴族の明治宮廷記』, 新人物往來社, 1988. | 미소장 |
39 | 小平美香, 『昭憲皇太后からたどる近代』, ぺりかん社, 2014. | 미소장 |
40 | 堀ひかり, 「戦中⋅占領期公的メディアにおける女性像の変遷- 『日本ニュース』が描く 「働く女性」と皇后を中心に」, 『日本ジェンダー硏究』 5, 2002, pp. 29∼45. | 미소장 |
41 | 森暢平⋅河西秀哉, 『皇后四代の歴史-昭憲皇太后から美智子皇后まで』, 吉川弘文館, 2018. | 미소장 |
42 | 国立国会図書館錦(https://www.ndl.go.jp/landmarks/column/5.html, 2020.11.2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