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감염병과 대유행 : Infectious disease and pandemic : a perspective in the medical humanities / 인문 의학적 관점 김신권 p. 35-54
올림픽 개회식 예술프로그램의 서사구조 분석 : An analysis of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art program for the Olympic opening ceremony : 2000~2016 around the summer Olympics / 2000~2016년 하계올림픽을 중심으로 김산효 p. 167-188
비대면 공연으로의 전환과 마케팅 시사점 연구 : A study on marketing implication of transferring to contactless performing arts : focusing on Seoul Donhwamun Traditional Theater / 서울 돈화문 국악당 사례를 중심으로 박선미, 최동오, 유천 p. 145-164
코로나 시대에 동영상 강의를 활용한 온라인 인문교양 수업의 실제 = The practice of online humanities classes using video lectures in the COVID-19 era 김문주 p. 125-144
글로벌 팬데믹 시대 속에서 생사교육의 당위성에 대한 제언 = Justification of life and death education in the global pandemic era 곽혜원 p. 105-124
Designing student-led TBL curriculum for peer interaction to improve university students' writing skill in the online class = 온라인 수업에서 대학생의 쓰기 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학습자 주도형 상호소통 과제 수업안 설계 Ahn Miyoung p. 87-103
인공지능을 활용한 음악 편곡 교육 콘텐츠 개발 연구 = Study on music arrangement education content developmen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강영근 p. 275-296
전주 선미촌에서의 여성주의적 예술 실천의 가능성 : The possibility of feminist art practice in Seonmichon, Jeonju : focus on the concept of new genre public art / 새 장르 공공미술 개념을 중심으로 김용비, 김진아 p. 251-272
미술상(art prize)을 통한 국내 미술계 기업 후원(corporate art patronage)의 의미 : Corporate art patronage through art prize in Korea : an exploratory study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 근거이론 분석 방법론을 통한 연구 배지혜, 현은정 p. 223-249
문화재교육 활성화 정책개발을 위한 델파이조사 = A study on the seeking directions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김남숙, 기영화, 이윤진 p. 205-221
지역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무형문화유산 역할 고찰 : The relationship betwee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local cultural content : a focus on Gongju's "Arirang" / 공주아리랑을 중심으로 이주영 p. 189-203
음성학적 오류 분석을 통한 중국어 성조 교육의 한계 고찰 : A study on the limitations of Chinese tone education by analyzing phonetic errors : focusing on tone 2 / 2성을 중심으로 오한나 p. 437-452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 교육 탐색 : The explor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in post-corona era : a study of the possibility of blended classes / 블렌디드 수업의 가능성 연구 손혜숙, 진설아 p. 15-34
한국어교육에서의 교수학적 내용지식(PCK) 연구 동향 분석 = A study on research trend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신은경 p. 401-416
언어문화 리터러시 관점에서의 한국어 관용 표현 양상 분석 : Usage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 in terms of language and culture literacy : focusing on the spoken corpus of native Korean speakers / 한국어 모어 화자의 구어 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 공하림, 손혜진 p. 383-400

'자이언트 펭TV'의 교육적 함의 분석 : Analysis of educational implementations of Giant Peng TV : focusing on the post-modernism view /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을 중심으로 김효선, 강옥희 p. 365-380
영화 <기생충>의 공간사회학적 의미 연구 : A study on the meaning of the movie Parasite in the perspective of space sociology : focusing on house, stairs, window, door and class conflict / 집, 계단, 창, 문 그리고 계급 갈등의 공간을 중심으로 오세은 p. 347-364
지니 뮤직의 새 큐레이션 '뮤직 컬러'의 SWOT 분석 = Genie Music's new curation "music color" : SWOT analysis 최지영, 장민호 p. 323-346
모셀레스의 피아노 두오에 의한 피아노 두오 장르의 재조명 = The re-examination of the piano duo genre by Moscheles's piano duo 조연숙 p. 297-321

한국어교육을 위한 연결어미 '-는데'의 의미 연구 = The meaning of "-neunde," the conjunctive ending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희정 p. 417-436
현대중국어 '忽然'과 '突然'의 비교 = Comparison of modern Chinese 'Huran' and 'Turan' 장경아 p. 453-468
중국 무협 소설 속 인물을 통한 인재 교육 연구 = A study on education through the character in Chinese-Muhyup novels : 김용 무협 소설 속 인물을 대상으로 하여 박봉순 p. 469-485
신대철 시 연구 : Study on Shin Dae Cheol's poem : from the pain of division to the longing for overcoming the division / 분단의 고통에서 분단 극복의 갈망으로 손필영 p. 511-533
이현화의 <협종망치>에 나타난 애도와 그 의미 = The meaning of mourning in Lee Hyun-hwa's <Hyojongmangchi> 박종수, 박명진 p. 535-553
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희곡 <흑백다방>의 각색에 있어서 '왜', '누가', '어디서'의 문제 : The problem of "why," "who," and "where" in the adaptation of the play Black and White Tea Room : a comparison with the play Death and the Maiden / 희곡 <죽음과 소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노시훈 p. 555-572
대학글쓰기 교육에서의 교양 전공 전이 : Transition of liberal arts major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 analysis of team project reports for engineering classes / 공학 수업의 팀 프로젝트 보고서 분석 김남미 p. 573-590
비대면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자기 글 분석'을 통한 고쳐쓰기 지도 방안 : Writing revision through self-analysis : focusing on remote lectures in the "Introduction to Writing" course at university A / A대학교 <글쓰기기초> 비대면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미진 p. 591-610
대학 교양 글쓰기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A study of learners' perception on university online writing class : a comparative study of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online classes / 실시간 수업과 비실시간 수업 비교를 중심으로 윤지원, 박미라 p. 611-625
웅십력(熊十力)의 부파불교 극미론에 대한 인식과 비판 = Xiong Xhi-Li's (熊十力) recognition and criticism of the theory of Paramānu in Abhidharma Buddhism 김제란 p. 629-650

현장이 파악한 유식삼십송의 구조 = The composition of the Triṃśikā-Vijñaptimātratā as understood by Xuánzàng 강명희 p. 651-667
자비수행 프로그램이 특성분노와 분노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training on trait anger and anger coping behavior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김수영, 김정호, 김미리혜 p. 669-687
정부 부처 '간' 온종일 돌봄 정책 비교 및 시설 연계 강화 방안 = Comparing all-day care policies between government ministries and strengthening linkages 정영모 p. 691-703
국가수사본부 도입을 위한 경찰법 개정안의 조문별 함의와 문제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lications and problems of the amendment to the police law for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investigation headquarters 김기갑, 김상운 p. 705-716
가톨릭신자들의 죽음불안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Phenomenological study on death anxiety experience of Catholic believers 김윤미, 김성봉 p. 717-752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국내 임상 연구 동향 분석 :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effectiveness of the medication program : focusing on published in 2000-2020 / 2000 ~ 2020년 발표논문을 중심으로 김희진, 이미선 p. 753-774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노동의 개념에 관한 연구 = Becoming South Korean from being North Korean focusing on concept of leisure perceived by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전주람, 곽상인 p. 775-792
신입생 교육(FYE)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first-year experience programs :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연주, 송영선 p. 793-814
BCG Matrix에 의한 코스메틱 제품 시장성 진단 및 트렌드 분석 = Marketability and trend analysis of cosmetic products using BCG matrix 김장중, 권병웅 p. 817-833
저항성 운동 후 근육 회복 및 성장을 위한 과학적 근거 기반의 단백질 섭취 전략 = Scientific evidence-based strategies for protein intake for muscle recovery and growth after resistance exercise 윤완영, 김상운, 김주영 p. 835-847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및 행동심리증상에 미치는 비약물중재 효과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in patients with Alzheimer's type dementia 최수빈 p. 849-863

Spinoza on identity and parallelism = 스피노자의 평행론과 동일성 Park, Samyel p. 867-883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의 수용적 관점에서 본 한재수의 『신·배우술』 = A study of "Shin Bae Woo Sul" by Han Chaesoo from the receptive viewpoint of Stanislavski's system 송선호 p. 885-906
상업적 대리출산의 상품화 문제에 대한 철학적 고찰 = A study on the commercialization problem of commercial surrogacy in philosophical perspective 김현수 p. 907-924

푸코의 주체화 : Foucault's subjectivation : focusing on spirituality and parrêsia / 영성과 파레시아를 중심으로 안현수 p. 949-965

Effectiveness of corpus-based collocation awareness in an EFL TOEIC course Kang Namhee p. 967-986
기술수용모델(TAM)을 이용한 비대면 환경에서의 대리출석차단시스템이 만족도 및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urrogate attendance blocking systems 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use in untacted environments using TAM : the case of K university / K대학 사례 중심으로 권영애 p. 987-1004
팬데믹의 재난위기를 넘어서는 새로운 사회의 지평 : New horizon of society beyond the crisis caused by the pandemic : change to atmosphere and sharing tragedy / 비극 공유의 분위기 김소희 p. 55-85
폭력의 반복과 화해의 딜레마 : Repeated violence and the dilemma of reconciliation : focusing on the Lee Chungjun’s novel "The Bug Story" and Bernhard Schlink’s novel "Returning" / 이청준의 소설 『벌레이야기』와 베른하르트 슐링크의 소설 『귀향』을 중심으로 주보람, 김겸섭 p. 925-948
냉전 서사의 정치적 무의식과 과학적 상상력 : Political unconsciousness and scientific imagination in the Cold War narrative : focusing on Moon Yun-sung’s science fiction "Complete Society" / 문윤성의 사이언스픽션 『완전사회』를 중심으로 이혜진 p. 489-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