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싱가포르는 국토 면적이 좁아 대부분의 농산물을 수입하고 있으며, 외국 수입 상품에 대한 거부감도 적다. 싱가포르의 딸기 수입국 1위는 한국으로 수입 비중의 41%를 차지하고 있다. 싱가포르 소비자의 한국산 딸기 선호도와 과채류 수입상품 선호도와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여 한국산 딸기 경쟁력 향상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한국산 딸기를 섭취한 경험이 있는 싱가포르 소비자이며, 온라인 설문조사 기법을 활용하여 소비자 5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SPSS 21.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이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한국산 딸기를 봤던 장소는 백화점과 과일전문매장이고, 한국산 딸기를 구매하는 이유는 당도와 맛 때문이다. 한국산 딸기의 주요 구매처는 대형마트와 수입품전문매장이고, 홍보마케팅 효과가 높은 광고채널은 소셜커머스와 인터넷 포털이고, 판촉행사 채널은 대형마트와 소셜커머스이다. 가장 효과적인 마케팅 방법은 한국 유명 연예인 광고와 인플루언서(싱가포리언)의 SNS 포스팅이 가장 많게 나타났다. 또한 수입 상품 선호도 고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한국산 딸기 선호, 딸기 구매 금액 증가, 딸기 선호, 한국산 딸기 맛 선호, 한국산 상품 익숙함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통망 측면에서 백화점, 대형마트, 수입품전문매장에 대한 유통처 확대와 MD(Marketing Director) 관리가 필요하다. 소셜커머스, 인터넷 포털, 대형마트에서 한국 유명 연예인을 활용한 광고나 인플루언서(싱가포리언)의 SNS 포스팅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Eo, M. G., Kim, G. P. (2011). Agricultural products export market an expansion program(2/2 year),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in Korean). | 미소장 |
2 | Eo, M. G., Park, G. H. (2010). Agricultural products Export market an expansion program(1/2 year),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in Korean). | 미소장 |
3 | https://www.kati.net(2020). | 미소장 |
4 | http://www.trademap.org(2020). International Trade Centre. | 미소장 |
5 | Kim, G. P. (2008). The analysis and countermeasure of agricultural products export promising market, Research report, R566,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in Korean). | 미소장 |
6 | Kim, G. P. (2008). The systematization Research to establish a plan for fostering a specialized export organization, C2008-19.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in Korean). | 미소장 |
7 | Kim, H. S., Jun, S., Fang, W., Jun, J. K. (2020). The effects of bakery cafe’s selection attribut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SNS WOM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formation sourc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2(6), 2573-2588. (in Korean). DOI: https://doi.org/10.37727/jkdas.2020.22.6.2573 | 미소장 |
8 | Kim, J. M., Han, N. Y. (2017).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experiential and network characteristics of online WOM information on WOM diffusion and purchase intention by having reliability and WOM adoption as mediators: The moderating effect of receiver’s expertis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6), 3173-31852. (in Korean). | 미소장 |
9 | Kim, S. Y., Park, H., Jang, H. M., Kim, T. H. (2018). Analysis on targeting countries for overseas expansion of Korean companies: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shipping, manufacturing and logistics compani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6), 3087-3099. (in Korean). | 미소장 |
10 | Park, G. H. (2011). Comparison·analysis of strawberry preferences among Korean·Singaporean consumers. Agricultural Management Policy Reserch. 38 second. | 미소장 |
11 | Seok, H. D., Kim, G. P., Jang, C. S., Ahn, S. J. (2011). Singapore Malaysian persimmon export possibilit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Research data, 1-52. (in Korean). | 미소장 |
12 | Shin, J. K., Oh, MM, O. (2020), The effects of retailers’ omni-channel service on customer experience and customer Loyal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2(5), 1941-1958. (in Korean). DOI: https://doi.org/10.37727/jkdas.2020.22.5.19411 | 미소장 |
13 | Shin, K. S. (2014). A study of vertical integration to expand agricultural export,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