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해방 후 사회주의체제로의 근본적인 전환을 목표로 했던 북한에서는 새로운 소련식 ‘당-국가 체제’로의 전환을 위해 이 체제를 확립시킨 레닌의 저술과 사상의 체계적인 번역 수용이 무엇보다 시급했다. 이를 통해 신국가의 주도 집단으로서의 간부층에 대한 정치교육을 실시하고 일반 대중에게 사회주의사상을 보급하여 새로운 집단정체성을 가진 정치적 주체로서 조직화하고자 했다.

하지만, 식민지 시기부터 축적된 레닌 저작의 번역, 소개의 역사적 경험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소련사회로부터 사회주의사상을 본격적으로 번역 수용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해방 초기 남북한 모두에서 이것이 신속히 실행될 수 있었던 것은, 모스크바의 외국로동자출판사 및 외국문서적출판부에서 1930년대부터 체계적으로 추진해온 마르크스 · 레닌주의 원전의 한글판 번역사업이 있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외국로동자출판사 및 외국문서적출판부의 역사를 러시아 RGASPI의 아카이브 문서를 통해 밝히는 한편, 미군노획문서에서 확인되는 레닌 저작들을 활용하여 외국문서적출판부판과 북한의 로동당출판부판의 계통과 표기법 및 구성을 비교하여 해방 초기 북한에서 레닌 사상 번역 수용의 특징을 밝혔다.

그 결과, 소련의 한글 번역본을 거의 그대로 도입하면서 시작된 레닌의 수용은 점차 북한사회의 시대적 요구에 따라 독자적으로 기획된 역서를 간행하는 방식으로 발전되어 갔음을 알 수 있었다. 해방 초기 레닌 저작의 수용에는 1920년대부터 일역본의 중역을 통해 정착된 ‘고도의 지식문화’로서의 지식인 엘리트 위주의 국한문혼용체 번역과, 원문을 직접 번역한 소련의 외국문서적출판부의 한글판으로 대표되는 대중성, 인민성이 중시된 순한글체 번역이 혼재되어 있었다. 1950년대에 북한에서는 한글 전용의 『레닌 전집』이 간행되어, 정전화를 위한 국한문혼용체와 대중화를 위한 한글 전용의 이중적 표기체계가 통일되는데, 그 언어정책의 급격한 전환의 모델로서 외국문서적출판부 한글판은 커다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아베 정권의 개헌 정책 결정 메커니즘 =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policy decision-making mechanism under the Abe regime 김아름 p. 131-166
북한 체제 형성 초기 레닌 사상 수용의 양상 : Introducing Lenin's ideas to early North Korea :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the Korean versions of Lenin's works published by the Moscow-based publishing house for the literature in foreign languages / 모스크바 외국문서적출판부 한글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임경화 p. 101-130

1880년대 개화파의 세계관 탐구 : The Korean reformist intellectuals' worldview in the 1880s : with a focus on the continuity with Sirhak / 실학과의 연속성의 관점에서 김충열 p. 63-100
조선 현종조 '김만균 사건'을 통해 본 '국가'에 대한 이해 =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state(國家) of the premodern period through the controversy over Kim Man-kyun's resignation 손애리 p. 33-61

고대 중국의 서진(西進) 전략에 혼재된 공사(公私) 동기의 실체 : The disordered public and private motifs in marching west strategy in ancient China : the some clues of foreign policy in 「Da Yuan Biography」 and 「The Huns Biography」 / 『사기』「대원열전」과 「흉노열전」을 통해 본 대외정책의 단서들 윤대식 p. 1-32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영진. 2006. 「왜 북한에서는 한자를 폐지하였는가?」. 『言語文化』 9(2)(同志社大学言語文化学会). 미소장
2 김선호. 2018. 「번역과 출판으로 본 북한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수용: 노동당을 중심으로」. 『역사비평』 125. 역사문제연구소. 미소장
3 레닌, N.. 印貞植 역. 1946. 『帝國主義論』. 서울: 同心社. 미소장
4 레닌. 1947. 『맑스와 맑스主義에 對하여』. 평양: 북조선로동당 중앙당본부 중앙당학교. 미소장
5 레-닌. 印貞植 역. 1946. 『무엇을 할 것인가?』(레-닌문고 3). 서울: 社會科學叢書刊行會. 미소장
6 마루야마 마사오 ․ 카토 슈이치. 임성모 역. 2000. 『번역과 일본의 근대』. 서울: 이산. 미소장
7 박종린. 2017. 「해방 후 맑스주의 원전 번역과 조선좌익서적출판협의회」. 『역사문화 연구』 61.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 미소장
8 르센체프 ․ 아. 레온예프. 김철산 역. 1928. 『레닌주의 초보』(도시당학교 교과서), 하바롭쓰크: 하바롭쓰크도서주식회사 크니스노예젤로. 미소장
9 신효숙. 1998. 「해방 후 북한 고등교육체계의 형성과 특징: 김일성 종합대학의 창립과 운영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보』 2(2). 북한연구학회. 미소장
10 아. 이. 울리야노바. 김희철 역. 1937. 『레닌의 유년 및 학생시대』. 하바롭쓰크: 원동변강국립출판부. 미소장
11 임경화. 2016. 「‘붉은 한글운동’의 기원: 소련시대 연해주 고려인 사회의 언어운동」. 『한국문화』 73.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미소장
12 전혜정. 1987. 『문맹퇴치경험』.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미소장
13 한설야. 1948.『레뽀르따쥬 쏘聯旅行記』. 평양: 교육성. 미소장
14 저자정보없음. 1936. 『쏘베트사회주의공화국동맹 헌법(긔본법) 초안』. 모스크바: 외국로동자출판부. 미소장
15 저자정보없음. 1937. 『국제공산당강령』. 모스크바: 외국로동자출판부. 미소장
16 저자정보없음. 1950. 『자습당원들을 위한 쏘련공산당(볼쉐위끼) 력사 연구 제강(상권)』. 조선인민군528군부대. 미소장
17 저자정보없음. 1950. 『戰爭, 暴動 및 平和에 關한 레닌, 쓰딸린의 著作들 中에서』. 로동당출판사. 미소장
18 Harasymiv, Bordan. 1984. Political Elite Recruitment in the Soviet Union. London: Macmillan Press. 미소장
19 Журкина С. М. 1987. “Иноиздат в Великую Отечественную”. Вопросы истории. No. 9. 미소장
20 Земскова Е. Е. 2016. “Между идеологией и книжной торговлей: из истории распространение журнала “Интернациональная литература” за границей”. Литература и идеология. Век двадцатый. Ред. О.Ю.Панова, В. М.Толмачёв. М.: МАКС Пресс. 미소장
21 Ленин В. И. 1946. Избранные сочинения в 2 томах. Москва, Госполитиздат. 미소장
22 Пак-Ир П.А. 2014. “Автобиография”. Корейцы. Пак Ир Пёт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 философ, кореевед, просветитель и патриот корейского движени я. Сост.: Ге Н.Д. Алматы. 미소장
23 Сон Ж. Г. 2017. “Интернациональная помощь СССР Северной Корее в области образования (1946-1948)”. Историческая и социально-образовательная мысль. Toм 9 No1/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