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우진. 2020a. “한국의 준연동형 비례대표 선거제도개혁과 집합적 전략투표 동원.” 『현대정치연구』 13권 2호, 5-41. |
미소장 |
2 |
강우진. 2020b. “한국의 준연동형 선거제도 개혁과정 평가-주체, 목적, 정치적 결과를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보』 30권 4호, 65-86. |
미소장 |
3 |
강원택. 2000. “뉴질랜드.” 박찬욱 편. 『비례대표 선거제도』 71-90. 서울: 박영사. |
미소장 |
4 |
고주현. 2018. “남유럽의 정치체제와 선거제도.” 유럽정치연구회 편. 『유럽정치론』 65-93. 서울: 박영사. |
미소장 |
5 |
김용호. 2000. “한국 선거제도의 변화와 정치적 효과분석.” 박찬욱 편. 『비례대표선거제도』 263-286. 서울: 박영사. |
미소장 |
6 |
김종갑. 2018.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비판적 평가와 대안모델의 탐색.” 『선거연구』 1권 9호, 171-202. |
미소장 |
7 |
김종갑ㆍ이정진. 2020. “제21대 국회의원선거 분석 및 향후 과제.” 『이슈와 논점』 1708호. https://www.nars.go.kr/report/view.do?page=4&cmsCode=CM0043&categoryId=&searchType=&searchKeyword=&brdSeq=28679(검색일: 2021.1.20.). |
미소장 |
8 |
김한나. 2019.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의 도입에 관한 비판적 검토: 「공직선거법 일부개정법률안(의안번호 2019985)」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18권 4호, 165-200. |
미소장 |
9 |
김한나ㆍ박현석. 2019.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정치적 결과: 헝가리, 루마니아의 선거제도 연구.” 『유럽연구』 37권 2호, 173-195. |
미소장 |
10 |
김형철. 2020.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정치적 효과.” 『세계지역연구논총』 28집 2호, 79-100. |
미소장 |
11 |
김형철. 2017. “국민주권 시대를 위한 국회의원 선거제도의 개혁방안과 쟁점.” 『민주주의와 인권』 17권 4호, 69-102. |
미소장 |
12 |
박찬욱. 2000. “선거제도 개관.” 박찬욱 편. 『비례대표 선거제도』 3-41. 서울: 박영사. |
미소장 |
13 |
송기도. 2000. “스페인.” 박찬욱 편. 『비례대표 선거제도』 159-180. 서울: 박영사. |
미소장 |
14 |
윤지성. 2020.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와 정당체제의 변화.” 『의정연구』 26권 2호, 6-33. |
미소장 |
15 |
이관후. 2019. “연동형비례대표제와 주권의 재구성: 한국선거제도 변화에 대한 정치철학적 고찰.” 『현대정치연구』 12권 1호, 146-175. |
미소장 |
16 |
전용주. 2016. “민주주의 꽃, 선거와 투표.” 한국정치학회 편. 『정치학: 인간과 사회그리고 정치』 195-221. 서울: 박영사. |
미소장 |
17 |
정의정책연구소. 2020. “21대 총선 평가와 정의당의 과제.” 정의정책연구소 총선평가토론회 자료집. http://www.justice21.org/newhome/board/board_view.html?num=129085(검색일: 2021.1.20.). |
미소장 |
18 |
정영국. 2000. “필리핀.” 박찬욱 편. 『비례대표 선거제도』 115-132. 서울: 박영사. |
미소장 |
19 |
정병기. 2018. “이탈리아 정당체제.” 유럽정치연구회 편. 『유럽정치론』 48-64. 서울:박영사. |
미소장 |
20 |
정준표. 2019. “50%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작동원리와 문제점.” 한국정당학회 하계학술회의. 경주. 8월. |
미소장 |
21 |
조기숙. 2000. “한국 선거제도의 개선논의.” 박찬욱 편. 『비례대표 선거제도』289-308. 서울: 박영사. |
미소장 |
22 |
조한석ㆍ박명호. 2020. “한국에서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실험: 21대 총선을 통해 본선거제도와 정당체제.” 『사회과학연구』 27권 3호, 204-226. |
미소장 |
23 |
진시원. 2020. “21대 총선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에 대한 평가와 과제.” 『법과사회』64호, 41-73. |
미소장 |
24 |
홍은주. 2021.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의 효과와 한계: 심상정안과 그 수정안』. 영남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
미소장 |
25 |
Duverger, Maurice. 1954. Political Parties. New York: Wiley.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