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북한과 통일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생각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학교 통일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지역 초중고 학생 53명과 북한, 북한 사람 및 통일에 대한 심층 면접을 수행하고 면접 자료를 감성 분석과 질적 분석을 활용한 혼합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북한과 관련하여 초중고 학생들은 국가로서의 북한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지만, 북한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기대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북한 사람과 관련하여 학생들은 북한 주민에 대해서는 연민을 내포한 부정적인 감정을, 북한 이탈 주민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지만 경계하는 양가적 모습을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통일과 관련하여, 평화와 발전, 정치, 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통일에 대한 긍정적으로 기대와 함께 사회 안전 및 경제적 손실 측면에서 통일 이후 사회에 대한 부정적 우려가 공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북한, 북한 사람 및 통일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생각이 복합적이며 때론 모순적임을 드러내고, 학생들에게 북한과의 통일이란 ‘분리될 수는 없지만 신뢰하기는 어려운 대상과의 미리 예정된 결합’과 같은 딜레마적 상황이라는 의미를 도출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학교 통일 교육의 방향 설정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nk of North Korea, North Koreans, and unification,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3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 mixed method that combined sentimental analysis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North Korea, students were negative toward North Korea as a state, but showed positive expectations for their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Next, with regard to North Koreans, students were ambivalent, showing negative feelings that included compassion toward North Korean residents, and positive but vigilant feelings toward North Korean defectors. Finally, regarding unification, it was found that negative concerns about society after unification coexist in terms of social safety and economic losses, along with positive expectations for unification in various aspects such as peace and development, politics, and culture. These reveal that students have a complex and contradictory image of North Korea, North Koreans, and unifica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meaning of unification with North Korea for students was derived as a dilemma of “a pre-determined union with a country that cannot be separated but is difficult to trust,”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회과에서의 뉴스 리터러시 수업의 방향 모색 : Exploration of news literac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 focusing on news comments / 댓글을 중심으로 전자배 p. 137-162

민주적 학급풍토가 청소년의 정치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democratic class climate on adolescents' political participation inten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political efficacy / 정치효능감의 매개효과 김동진, 김재우 p. 1-25

학교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 이소연, 박은아 p. 93-117

민주적 학교공동체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enhancing teacher competency in the democratic school community 박윤경, 이혁규, 박새롬, 심소현, 박경수 p. 27-56

절차적 효용을 반영한 학급자치활동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tudent self-governing activities reflecting procedural utility on the happiness of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박현석, 신우진 p. 57-91

사회교육과 학생의 졸업 후 진로 결정 요인 분석 = An analysis of students' determination factors for choosing careers after graduating from the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장경호 p. 119-136

초중고 학생들이 생각하는 북한, 북한 사람 및 통일 :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oughts on North Korea, North Koreans, and the unification : implications for unification education in schools / 학교 통일 교육에의 시사점 정영선, 박윤경, 조영달 p. 163-197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구섭(2016). 중학교 도덕교과서의 통일교육 관련 내용 분석. 도덕윤리과교육연구, 50, 29-54. 미소장
2 강구섭ㆍ이학운(2016).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통일교육 관련 내용 분석. 역사교육연구, 25, 223-258. 미소장
3 교육부 보도자료(2018. 11. 28.). “교육부, 시‧도교육청과 함께 평화·통일교육 활성화추진”.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lev=0&status YN=W&s=moe&m=0204&opType=N&boardSeq=75975 미소장
4 김명정(2019). 통일 대비 북한 사회과 교과서 편수용어 분석 -『사회주의도덕』, 『사회주의도덕과 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 법교육연구, 14(3), 61-86. 미소장
5 김명정ㆍ송성민ㆍ한주(2020). 통일 대비 남북한 중등 법교육 비교. 법교육연구, 15(3), 1-30. 미소장
6 김병연(2019).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통일교육 내용에서 쟁점 연구. 도덕윤리과교육연구, 64, 29-60. 미소장
7 김상무(2017). 통일독일의 동독사 연구성과 관점에서 본 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북한서술에 대한 분석과 평가. 교육문화연구, 23(6), 365-388. 미소장
8 김선ㆍ김희정ㆍ임수진(2017). 통일당위성 담론유형 집단별 특성과 통일교육적 함의. 교육문화연구, 23(6), 27-48. 미소장
9 김영천(2015). 질적연구방법론 II. Methods.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미소장
10 김혜숙(2000). 북한 사람에 대한 고정관념, 감정과 태도.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사회문제, 6(2), 115-133. 미소장
11 박상민ㆍ나철원ㆍ최민성ㆍ이다희ㆍ온병원(2018). Bi-LSTM 기반의 한국어 감성사전 구축 방안. 지능정보연구, 24(4), 219-240. 미소장
12 박찬석(2011). 도덕과의 통일교육 연구. 도덕윤리과교육연구, 32, 219-242. 미소장
13 박형빈(2020).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통일교육과 민주시민교육 그리고 평화교육의 관계 설정 및 발전 방안. 도덕윤리과교육연구, 67, 99-128. 미소장
14 배상률ㆍ이정민ㆍ허효주(2019). 남북한 청소년 교류협력을 위한 중장기 전략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 19-R08. 미소장
15 옥일남(2014). 통일시대 대비 남북통합적 사회과 교수·학습 방안 모색. 교육발전, 34(1), 33-59. 미소장
16 윤혜순(2016). 중학교 사회교과서를 통한 청소년 통일교육 관련 내용 분석. 청소년학연구, 23(1), 335-359. 미소장
17 은지용(2002).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 사회과 교육 통합을 위한 시론: 남북한 교육 과정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34(1), 203-227. 미소장
18 이슬기(2016). 중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북한에 대한 내용 분석: 제3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도덕윤리과교육, 53, 77-100. 미소장
19 이창호(2018). 청소년의 통일의식 및 북한에 대한 이미지 조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 NYPI Bluenote: 이슈&정책, 105, 1-20. 미소장
20 전우영ㆍ이훈구(1998). 한국 대학생의 북한 및 북한 내 하위집단에 대한 고정관념. 통일연구, 2(1), 203-217. 미소장
21 전우영ㆍ조은경(2000). 북한에 대한 고정관념과 통일에 대한 거리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1), 167-184. 미소장
22 정영선ㆍ이승연ㆍ김경은(2019).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통일 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2015 개정 도덕과 및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51(3), 87-119. 미소장
23 조영달(2015). 질적연구방법론: 학교와 수업 연구의 새 지평 [실제편]. 서울: 도서출판 드림피그(주). 미소장
24 차승주(2013). 교과서에 나타난 통일담론에 대한 고찰: 민족주의를 중심으로. 윤리교육연구, 29, 475-496. 미소장
25 통일부 통일교육원(2018). 평화·통일 교육: 방향과 관점. 발간등록번호 11-1250054-000034-10. 미소장
26 통일부 통일교육원(2020). 2020년도 통일교육 시행계획. 발간등록번호 11-1250000-000035-10. 미소장
27 한만길(2019). 평화통일교육의 방향과 내용 고찰. 통일정책연구, 28(1), 135-157. 미소장
28 황인표(2020). 새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통일교육 내용 체계의 설정 원리 및 반영 방안. 도덕윤리과교육연구, 69, 61-8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