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미라 (2011). 《몸, 주체, 권력》. 서울: 이학사. | 미소장 |
2 | 권수현 (2019). 노년의 삶과 정체성. 《철학연구》 149집, 1∼28. | 미소장 |
3 | 금희조·조재호 (2010).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격차, 그리고 정치 참여. 《한국언론학보》, 54권 5호, 348∼371. | 미소장 |
4 | 김경희·유수정 (2020). 노인들의 미디어 리터러시가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에 대한 접근·통제능력과 사회적 소통능력을중심으로 장년층과의 비교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7권 3호, 95∼138. | 미소장 |
5 | 김명용·전혜정 (2016). 노인의 정보기술 이용과 비이용의 실태 및 태도.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권 6호, 482∼494. | 미소장 |
6 | 김병선 (2012). 진화론의 관점에서 본 미디어 변이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이론》, 8권 1호, 61∼100. | 미소장 |
7 | 김상호 (2002). 기술 논의들의 전개양상에 관한 비판적 검토: 몸 중심(embodiment)의 매체이론을 위한 현상학적 시론. 《언론과 사회》, 10권4호, 58∼89. | 미소장 |
8 | 김상호 (2004). 엔텔레키를 중심으로 해석한 맥루한의 미디어 개념. 《언론과 사회》, 12권 4호, 79∼116. | 미소장 |
9 | 김상호 (2008). 맥루한 매체이론에서 인간의 위치. 《언론과학연구》, 8권 2호, 84∼121. | 미소장 |
10 | 김상호 (2013). 미디어가 메시지다. 《커뮤니케이션이론》, 9권 3호, 58∼98. | 미소장 |
11 | 김상호 (2016). 미디어 존재론: 시몽동의 ‘개체화’를 통해 본 매클루언의 미디어론. 《언론과 사회》, 24권 2호, 143∼190. | 미소장 |
12 | 김상호·이호규 (2003). [해롤드 이니스의 커뮤니케이션 사상] 편항(Bias)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11권 3·4호, 78∼107. | 미소장 |
13 | 김서광·조준동 (2017). AI 와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언캐니 밸리 현상 분석.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1032∼1034쪽). | 미소장 |
14 | 김재희 (2013). 질베르 시몽동에서 기술과 존재. 《현상학과 현대철학》, 56집, 175∼206. | 미소장 |
15 | 김화자 (2015). 사물인터넷과 메를로퐁티의 상호세계. 《현상학과 현대철학》, 65집, 61∼94. | 미소장 |
16 | 김환석 (2009). 행위자ᐨ연결망이론과 사회학.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873∼886쪽). | 미소장 |
17 | 김환석 (2018). 새로운 사회학의 모색(1). 《경제와 사회》, 통권 117호, 236∼261. | 미소장 |
18 | 노창희 (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디어 생태계의 향방. 《방송문화》, 421호, 89∼106. | 미소장 |
19 | 대한상공회의소 (2020. 5. 11). 포스트 코로나(Post Corona) 시대 변화와 전망. 《대한상의 브리프》, 122호. URL:https://www.korcham.net/nCham/Service/Economy/appl/NewsBrief Detail.asp?SEQ_NO_C040=2443 | 미소장 |
20 | 박영민·남기범 (2016). 농촌지역 스마트 디바이드 해소를 위한 지방정부의 전략.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9권 3호, 1∼26. | 미소장 |
21 | 박현아·태문영·허영진·이준환 (2019). 인공지능 대화형 에이전트의 지능적속성에 대한 기대와 기대 격차. 《한국HCI학회 논문지》, 14권 1호, 15∼22. | 미소장 |
22 | 박홍원 (2014). 인간 소외와 커뮤니케이션: 마르크스 소외이론의 현재적 함의. 《커뮤니케이션 이론》, 10권 4호, 101∼150. | 미소장 |
23 | 배영임·신혜리 (2020). 코로나19, 언택트 사회를 가속화하다. 《이슈&진단》, 416호, 1∼26. | 미소장 |
24 | 백소진·윤재영 (2020). 고령자를 위한 패스트푸드점 무인주문시스템 사용자경험 개선.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6권 2호, 197∼205. | 미소장 |
25 | 삼일회계법인 (2020). 《The consumer transformed: COVID-19 전후의 소비자행동 변화》. URL:https://www.pwc.com/kr/ko/publications/research-insights/samilpwc-gcis-report-2020-kr.pdf | 미소장 |
26 | 손병석 (2006).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형상설에 대한 심신 가치론적 고찰. 《철학》, 87집, 33∼63. | 미소장 |
27 | 신주혜·이민지·이원섭 (2020). 약자를 위한 키오스크 디자인 가이드 라인: 패스트푸드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HCI 학회 학술대회》 (614∼618쪽). | 미소장 |
28 | 신혜리·윤태영·김수경·김영선 (2020). 코로나 팬더믹 사태의 고령자 일상생활 변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노인복지연구》, 75권 4호, 207∼232. | 미소장 |
29 | 심귀연 (2018). 인간과 비인간 존재는 어떻게 만나는가. 《철학연구》, 147집, 239∼260. | 미소장 |
30 | 심귀연 (2020). 생태공동체 모델 구축을 위한 인간, 자연, 기술 개념 연구. 《철학논총》, 100집, 97∼114. | 미소장 |
31 | 원동규·이상필 (2016). 인공지능과 제4차 산업혁명의 함의. 《ie 매거진》, 23권2호, 13∼22. | 미소장 |
32 | 유용식 (2021). 노인의 정보 활용능력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권 2호, 213∼222. | 미소장 |
33 | 이동후 (2015). 뉴미디어의 이해. 《한국방송학보》, 29권 5호, 32∼66. | 미소장 |
34 | 이승민 (2020). 정보격차의 패러다임 전환과 지적 정보격차.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51권 1호, 91∼114. | 미소장 |
35 | 이윤정 (2013). 노인의 정보기기 접근 수준이 정신건강 영역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1권 10호, 17∼29. | 미소장 |
36 | 이재현 (2017). 기술적 성향 가설. 《커뮤니케이션 이론》, 13권 1호, 135∼166. | 미소장 |
37 | 임하성·류두진·박대현 (2020). 키오스크 산업 분석: 도입 효과와 시장 전망. 《Korea Business Review》, 24권 1호, 21∼48. | 미소장 |
38 | 장예빛 (2019). AI 스피커 이용자의 이용동기 및 AI 스피커에 대한 관계 유형 인식이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권 11호, 558∼566. | 미소장 |
39 | 전서영·송지성 (2020). 병원 키오스크 UI 디자인에 대한 시니어 세대의 사용성평가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6권 1호, 411∼421. | 미소장 |
40 | 정승호·김원택 (2014). 노인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개선 방안 연구. 《디자인융복합연구》, 13권 2호, 277∼295. | 미소장 |
41 | 정윤경 (2021). 노인들의 사회적 관계망과 외래진료 이용의 종단적 관계에 대한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8권 1호, 37∼47. | 미소장 |
42 | 정지은 (2010). 라깡의 응시에 비추어 본 메를로ᐨ퐁티의 가시적인 것의 깊이.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12권 1호, 151∼174. | 미소장 |
43 | 조미라·김양지 (2020). 포스트휴먼과 그 이웃(1): 기술시대의 노인. 《다문화콘텐츠연구》, 34집, 63∼86. | 미소장 |
44 | 최세정 (2020). 코로나 19로 인한 집콕시대, 미디어 커머스 플랫폼 시장의 생태계변화. 《(미디어 산업 보고서 시즌4) 1인 미디어 산업 동향》, 1권(5월호). | 미소장 |
45 | 한국소비자원 (2020). 《고령소비자 비대면 거래 실태 조사》 (조사보고서). 음성:한국소비자원. | 미소장 |
46 | 한국정보화진흥원 (2020). 《2019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세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미소장 |
47 | 홍경실 (2004). 데카르트의 이원론적 실체관에 대한 베르그손의 비판과 극복. 《철학》, 80집, 215∼236. | 미소장 |
48 | 홍성욱 (2010). 7가지 테제로 이해하는 ANT. 홍성욱 (편역) (2010). 《인간, 사물, 동맹》 (15∼35쪽). 서울: 이음. | 미소장 |
49 | 홍승윤·최종훈 (2019). 고령자의 특성을 반영한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UI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권 4호, 556∼563. | 미소장 |
50 | 황수영 (2018). 《질베르 시몽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미소장 |
51 | 황수영 (2019). 시몽동의 기술철학, 인간과학의 정초를 위한 시도. 《철학연구》, 125집, 195∼226. | 미소장 |
52 | Bolter, J. D., & Grusin, R. (2000).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Cambridge, MA: MIT Press. | 미소장 |
53 | Bryant, L. R. (1994). Onto-cartography. 김효진 (역) (2020). 《존재의 지도》. 서울: 갈무리. | 미소장 |
54 | Bryant, L. R., Srnicek, N., & Harman, G. (Eds) (2011). The speculative turn:Continental materialism and realism. Melbourne, AU: re.press | 미소장 |
55 | Callon, M. (1986). Some elements of a sociology of translation: Domestication of the scallops and the Fishermen of ST. Brieuc Bay. In J. Law (Ed.), Power, action and belief: A new sociology of knowledge (pp. 196∼233). 홍성욱 (편역) (2010). 번역의 사회학의 몇 가지 요소들. 《인간, 사물, 동맹》 (57∼94쪽). 서울: 이음. | 미소장 |
56 | Geiger, S., & Newhagen, J. (1993). Revealing the black box: Information processing and media effects.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42–50. | 미소장 |
57 | Harman, G. (2009). Prince of networks. 김효진 (역) (2019). 《네트워크의 군주》. 서울: 갈무리 | 미소장 |
58 | Iqbal, M. (2021. 3. 10). Zoom revenue and usage statistics (2020). Business of Apps. Retrieved from https://www.businessofapps.com/data/zoom-statistics/ | 미소장 |
59 | Latour, B. (1997). On Actor-network theory: A few clarifications plus more than a few complications. Philosophical Literary Journal Logos, 27(1), 173∼197. 홍성욱 (편역) (2010).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에 관하여: 약간의 해명, 그리고 문제를 더 복잡하게 만들기. 《인간, 사물, 동맹》 (95∼124쪽). 서울: 이음. | 미소장 |
60 | McLuhan, M. (1962) The Gutenberg galaxy. 임상원 (역) (2001). 《구텐베르크은하계》.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미소장 |
61 | McLuhan, M. (1964). Understanding media: Extension of men. 김상호 (역)(2011). 《미디어의 이해》.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미소장 |
62 | Merleau-Ponty, M. (1945). Phénoménologie de la perception. 류의근 (역)(2002). 《지각의 현상학》. 서울: 문학과 지성사. | 미소장 |
63 | Meyrowitz, J. (2001). Morphing McLuhan: Medium theory for a new millennium. In Proceedings of the Media Ecology Association, vol.2(pp. 8∼22). | 미소장 |
64 | Mordini, E. (2007). Technology and fear: Is wonder the key?. Trends in Biotechnology, 25(12), 544∼546. | 미소장 |
65 | Peters, J. D. (2015). The marvelous clouds. 이희은 (역) (2018). 《자연과 미디어》. 서울: 컬처룩. | 미소장 |
66 | Postman, N. (2000). The humanism of media ecology. In Proceedings of the Media Ecology Association vol. 1 (pp. 10∼16). | 미소장 |
67 | Richardson, I. (2005). Mobile technosoma: Some phenomenological reflections on itinerant media devices. Fibreculture Journal, 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