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포크너 번역을 중심으로 본 1950년대 지식·문화장에 대한 풍속도인 동시 한국전쟁기에 본격화된 냉전의 영향력이 오늘날까지 어떻게 계승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 보고서다. 이를 위해 『문학예술』, 『사상계』, 『자유문학』, 『현대문학』 등 주요 잡지들을 통해 포크너 수용의 양상을 조사하고, 단행본 출판시장과 영어영문학회 중심 아카데미를 함께 살핌으로써 자료의 토대를 마련했고, 미국의 국무부와 공보원, 민간재단이 포크너 수용에 개입한 경로를 살핌으로써 ‘냉전의 포크너’의 일단을 드러내고자 했다. 그러나 남북전쟁 이후 ‘남부의 항의’를 전달한 작가이자 혼돈의 모더니즘의 소설가로서, 포크너는 냉전의 자장에만 갇히는 존재는 아니었다. 그는 ‘전 지구적 남부’의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제3세계 작가들을 자극했고, 그럼으로써 제3세계들이 ‘자유 세계’의 미학적 표준이 된 모더니즘을 냉전 속 후기 식민지적 조건 속에서 변용할 수 있게끔 영향을 주었다. 그런 의미에서 포크너는 미국 발 문화-심리전의 구성물인 동시 ‘냉전 너머의’ 존재이기도 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남명소승(南溟小乘)』을 읽는다 : Reading Nammyeongsoseung : the reality and imagination of Baekho's literature / 백호문학(白湖文學)에 있어서 현실과 상상 임형택 p. 11-37

<원천강본풀이>의 시공간적 의미와 사유체계 = The temporal and spatial meaning and system of thought in Weoncheongang Bonpuri 허남춘 p. 39-71

제주민요의 문화사적 가치 = The value of Jeju folk songs as cultural history 좌혜경 p. 73-109

18세기 제주문인 정체성의 일단 : The identity of the 18th-century literati in Jeju Island : Jang Han-cheol's travel record Pyohaerok (漂海錄) / 장한철 『표해록(漂海錄)』의 경우 정환국 p. 111-149

제주지리지의 형성과 변화에 관한 소고 :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the geography of Jeju : focusing upon the geography of Jeju published after Lee Won-Jin's Tamla Geography / 『이원진_탐라지』 이후의 제주지리지를 중심으로 김새미오 p. 151-196

냉전의 포크너, 냉전 너머의 포크너 : William Faulkner and the Cold War cultural politics in the 1950s Korea / 1950년대 한국에서의 수용 양상과 문학적 가능성 권보드래 p. 199-255

붉은 청년과 반공의 교양 : Young communists and the bildungsroman of anti-communism : the representation of youth and the narrative of growth in the Korean War period / 한국전쟁기 젊음(적)의 재현과 성장(전향)의 서사 반재영 p. 257-306

미군 심리전과 '잔류'의 냉전 서사 : The cold war narrative of remain and the U.S. Army psychological warfare : Mo Younsook's essays and film materials on the Korean War / 모윤숙의 한국전쟁 수기와 영상을 중심으로 박연희 p. 307-343

'부역(혐의)자' 서사와 냉전의 마음 : The collaborator narrative and Cold War mentality : focusing the Park Wanseo's novels in the 1970s / 1970년대 박완서 소설의 '빨갱이' 담론과 그 사회적 의미 이선미 p. 345-378

『만해 한용운 한시 선역』 주석에 대한 고찰 = A review of the commentary of "Manhae Han Yong-un's Selective Translation of Chinese Poetry" 윤재웅 p. 381-415

일신상의 진리, 혹은 신체의 현상학-1930년대 김남천 문학의 방법론적 전회에 관한 재해석 = A reinterpretation of the methodological turn of Kim Namcheon's literature in 1930's : 「남편 그의 동지」와 「물」을 중심으로 한수영 p. 417-467

1960년대 동인지 『산문시대』와 최하림 = 1960s The Prose Age and Choi Ha-Rim 전영주 p. 469-496

외면과 가시화 : The urbanization and spatial practice represented in Park Wan-Suh's Winter was Warm that Year / 박완서의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에 나타난 서울의 도시화 과정과 계급적 공간 실천 유인혁 p. 497-521

참고문헌 (8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경향신문』 미소장
2 『동아일보』 미소장
3 『조선일보』 미소장
4 『문예』 미소장
5 『문학예술』 미소장
6 『사상계』 미소장
7 『아메리카』 미소장
8 『자유문학』 미소장
9 『주간문학예술』 미소장
10 『현대문학』 미소장
11 박승훈, 『발·발·발』, 범문각, 1958. 미소장
12 박승훈, 『하루살이』, 평문사, 1966. 미소장
13 Cho, Tong-jae et al., Partner for Change: 50 Years of the Asia Foundation in Korea 1954~2004, Library of Congress, 2004, pp.26~36. 미소장
14 Jelliffe, R. A. ed., Faulkner at Nagano, Tokyo: Kenkyusha Press, 1956. 미소장
15 레이 B. 웨스트(곽소진 역), 『미국의 단편소설』, 수도문화사, 1958. 미소장
16 윌리엄 포크너(박승훈 역), 『야생의 정열』, 범문각, 1958. 미소장
17 윌리엄 포크너(고석구 역), 『성단·붉은 잎/ 무기여 잘 있거라』, 동아일보사, 1959. 미소장
18 푸레데릭 쩨 호프맨(주요섭 역), 『미국현대소설론』, 박문출판사, 1954. 미소장
19 가르시아 마르케스(조구호 역), 『이야기하기 위해 살다—마르케스 자서전』, 민음사, 2007. 미소장
20 고은, 『1950년대—그 폐허의 문학과 인간』, 향연, 2005. 미소장
21 곽명숙, 「김수영의 문학과 현대 영미시론의 관련양상(2)-히프레스 문학론」과 앨런 테이트 번역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56호, 한국현대문학회, 2018, 463~496쪽. (DOI: 10.22871/mklite.2018..56.012) 미소장
22 권보드래, 「번역되지 않은 영향, 브란데스의 재구성: 1910년대와 변방의 세계문학」, 『한국현대문학연구』 51호, 한국현대문학회, 2017, 7~51쪽.(UCI: G704-001493.2017..51.012; DOI: 10.22871/mklite.2017..51.001) 미소장
23 김미현, 「윌리엄 포크너 다시 읽기—포크너 국외 연구동향」, 『안과밖』 22권, 영미문학연구회, 2007, 261~276쪽.(UCI: G704-000737.2007..22.011) 미소장
24 김병철, 『세계문학논저서지목록총람(1895~1987)』, 국학자료원, 2002. 미소장
25 김병철, 『세계문학번역서지목록총람(1895~1987)』, 국학자료원, 2002. 미소장
26 김병철, 『한국현대번역문학사연구』, 을유문화사, 1998. 미소장
27 김영나, 『20세기의 한국미술 2: 변화와 도전의 시기』, 예경, 2010. 미소장
28 김영미, 『포크너의 남부』, 한국학술정보, 2008. 미소장
29 김용권 외, 『영문학 교육과 연구의 문제들』, 한신문화사, 1996. 미소장
30 김용권, 「월간 아메리카」, 김학동 외, 『한미 문화의 교류—해방 후 미국 문화의 수용과 전통 문화의 변용』, 서강대 인문과학연구소, 1979. 미소장
31 김용권, 「한국문학에 끼친 미국의 영향과 그 연구」, 『아세아연구』 10권 2호,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1967, 135~149쪽.(UCI(: I410-ECN-0101-2009-910-013494217) 미소장
32 김욱동, 『윌리엄 포크너—삶의 비극적 의미』, 서울대 출판부, 1999. 미소장
33 김욱동, 『포크너를 위하여』, 이숲, 2013. 미소장
34 김종욱, 「포크너의 역사인식의 변화 연구—40년대 단편 「거인들」 「두 병사」 「영원하리라」를 중심으로」, 『영미어문학』 64호, 한국영미어문학회, 2002, 97~127쪽. (UCI: G704-000994.2002..64.001) 미소장
35 무라카미 하루키(권남희 역), 『반딧불이』, 문학동네, 2014. 미소장
36 박지영, 『‘불온’을 넘어, ‘반시론’의 반어: 김수영 문학과 번역·검열·섹슈얼리티』, 소명출판, 2020. 미소장
37 박지영, 『번역의 시대, 번역의 문화정치: 1945~1969 : 냉전 지(知)의 형성과 저항담론의 재구축』, 소명출판, 2019. 미소장
38 배수찬, 「이양하(李敭河)의 글쓰기 환경 연구-교육체험과 세계관을 중심으로」, 『작문연구』 제10호, 한국작문학회, 2010, 435~462쪽.(UCI: G704-SER000010273.2010..10.008) 미소장
39 베르나르 앙리 레비(변광배 역), 『사르트르 평전』, 을유문화사, 2009. 미소장
40 빈프리트 게오르크 제발트(이경진 역), 『공중전과 문학』, 문학동네, 2013. 미소장
41 손혜민, 「잡지 『문학예술』 연구: 세계주의와 현대화의 기획」, 연세대 석사논문, 2008. 미소장
42 안미영, 『서구문학 수용사—서구문학의 수용과 로컬리티의 재구성』, 역락, 2021. 미소장
43 양아람, 「윌리엄 포크너의 일본 방문(1955)과 문학·문화적 교류」, 『대동문화연구』 102호,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18, 487~525쪽.(DOI: 10.18219/ddmh..102.201806.487) 미소장
44 윌리엄 반 오코너(고석구 역), 『윌리엄 포크너』, 한국영어영문학회, 1964. 미소장
45 윌리엄 포크너(공진호 역), 『소리와 분노』, 문학동네, 2013. 미소장
46 윌리엄 포크너(김욱동 역), 『헛간, 불태우다』, 민음사, 2021. 미소장
47 윌리엄 포크너(이윤성 역), 『팔월의 빛』 1·2, 책세상, 2009. 미소장
48 윌리엄 포크너(이태동 역), 『압살롬, 압살롬!』, 민음사, 2012. 미소장
49 윤재웅, 「윌리엄 포크너의 <헨리>에 헌정된 동아시아 시의 형상화 양상-서정주의 「동천」, 호앙 추옹의 「왕관」, 딘 훙의 「야만인의 노래」를 중심으로」, 『문학과환경』 16호, 문학과환경학회, 159~190쪽.(UCI: G704-002040.2017.16.1.004;DOI: 10.36063/asle.2017.16.1.005) 미소장
50 을유문화사, 『을유문화사 50년사』, 을유문화사, 1997. 미소장
51 이민영, 「전후 문학의 세계성과 현대적 전통의 고안—『문예』지 평론을 중심으로」, 『한국문화』 93호,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1, 139~172쪽.(DOI: 10.22943/han.2021..93.005) 미소장
52 이봉범, 「1950년대 번역 장의 형성과 문학 번역—국가권력, 자본, 문학의 구조적 상관성을 중심으로」, 권보드래 외, 『미국과 아시아』,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017. 미소장
53 이종판, 「6·25전쟁 당시 미국의 핵무기 정책—아이젠하워 정권을 중심으로」, 『군사』 78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1, 109~127쪽.(UCI: G704-001528.2011..78.006; DOI: 10.29212/mh. 2011..78.109) 미소장
54 장수경, 「『학원』의 문학사적 위상 연구」, 고려대 박사논문, 2010. 미소장
55 조선일보 특별취재팀, 『나와 6 ․ 25』, 기파랑, 2010. 미소장
56 조은정, 『권력과 미술—대한민국 제1공화국의 권력과 미술』, 아카넷, 2009. 미소장
57 차재영, 「선전으로서의 도서 번역— 미군정기 미국 도서 번역 활동의 전개와 의미」, 『한국언론학보』 62권 3호, 한국언론학회, 2018, 187~212쪽.(DOI: 10.20879/kjjcs.2018.62.3.007) 미소장
58 토니 모리슨(이다희 역), 『보이지 않는 잉크』, 바다출판사, 2021. 미소장
59 프랜시스 스토너 손더스(유광태 ․ 임채원 역), 『문화적 냉전—CIA와 지식인들』, 그린비, 2016. 미소장
60 허은, 「미국의 문화냉전과 ‘자유 동아시아’의 구축, 연쇄 그리고 균열—미국정부의 도서계획과 한국사회 지식인의 인식」, 『민족문화연구』 59호,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13, 559~611쪽.(UCI: G704-000804.2013..59.007) 미소장
61 허은, 『미국의 헤게모니와 한국 민족주의-냉전시대(1945~1965) 문화적 경계의 구축과 균열의 동반』,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08. 미소장
62 황호덕, 「백철의 ‘신비평’ 전후, 한국 현대문학비평이론의 냉전적 양상」, 『상허학보』 46호, 상허학회, 2016, 385~439쪽.(UCI: G704-000769.2016.46..004; DOI:10.22936/sh.46..201602.009) 미소장
63 『미국 문학사』(한국영어영문학회 편), 신구문화사, 1963. 미소장
64 『윌리엄 포크너』(황은주 편), 동인, 2013. 미소장
65 『한국영어영문학회 50년』(한국영어영문학회 편), 태학사, 2005. 미소장
66 Aboul-Ela, Hosam, The Other South: Faulkner, Coloniality, and the Mariátegui Tradition,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007. 미소장
67 Bassett, John ed., William Faulkner: The Critical Heritage, Routledge, 1997. 미소장
68 Barnhisel, Greg, Cold War Modernists: Art, Literature, and American Cultural Diplomac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5. 미소장
69 Bessière, J. & Tavarelli, E., “Carlos Fuentes Vis-à-Vis William Faulkner: Novel, Tragedy, History,” The Faulkner Journal vol. 11, no. 1/2, Fall 1995/Spring 1996, pp.33~42. 미소장
70 Broncano, Manuel, “Reading Spain in Faulkner, Reading Faulkner in Spain”, A. Trefzer & A. J. Abadie ed., Global Faulkner, Jackson: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2009. 미소장
71 Casanova, Pascale, Debevoise, M.B. trans., The World Republic of Letters, Harvard University Press, 2007. 미소장
72 Dingman, Roger, “Atomic Diplomacy during the Korean War,” International Security Vol.13, No.3, 1989, pp 50~91. 미소장
73 Kodat, Catherine Gunther, “Faulkner and “Faulkner””, American Literary History Vol.15, No.1, Spring 2003, pp.188~199. 미소장
74 Ladd, Barbara, “Faulkner and Translation”, The Faulkner Journal Vol. 24, No. 1, 2008, pp. 3~9. 미소장
75 Robin, Ron, The Making the Cold War Enemy: Culture and Politics in the Military-Intellectual Complex, Princeton Univ. Press, 2001. 미소장
76 Sapiro, Gisèle, “Faulkner in France: Or How to Introduce a Peripheral Unknown Author in the Center of the World Republic of Letters,” Journal of World Literature 1, 2016, pp.391~411. 미소장
77 Schwartz, Lawrence H., Creating Faulkner's Reputation: The Politics of Modern Literary Criticism, Univ. of Tennessee Press, 1988. 미소장
78 ⾦井公平, 「⾼垣松雄とヘンリ․ ジェイムズ」, 『⽴教アメリカン․ スタディーズ』 3, 1978. 미소장
79 ⾦志映, 『日本文學の‘戰後’と變奏される‘アメリカ’-占領から文化冷戰の時代へ』, 東京: ミネルヴァ書房, 2019, 241~242쪽. 미소장
80 柄⾕⾏人, 『坂⼝安吾と中上健次 』, 東京: 太田出版, 1996. 미소장
81 朱振武․ 郭宇, 「福克纳在中国的译介与研究」, 『廣東技術師範學院學報』, 2011年 第1期, 2011, 73~79쪽. 미소장
82 https://scholarsarchive.byu.edu/cgi/viewcontent.cgi?article=2627&context=jeal 미소장
83 https://mashable.com/2015/09/08/salman-rushdie-two-years-eight-months-interview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