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대학생의 관광 참여수준, 감성적 가치평가 및 관광만족의 영향관계 =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tourism participation level, emotional value evaluation, and tourism satisfaction for university students / 김미라 ; 윤정헌 1

요약 1

I. 서론 2

II. 이론적 배경 3

1. 관광 참여수준 3

2. 감성적 가치평가 4

3. 관광만족 5

III. 연구설계 6

1.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6

2. 변수의 측정과 분석방법 7

IV. 실증분석 8

1. 표본의 특성 8

2.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9

3. 가설검증 10

V. 결론 및 시사점 13

참고문헌 14

Abstract 18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관광산업에서의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 지출이 기업의 원가하방경직성(cost stickiness)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nvestment in human resource on cost behavior 신희정, 권혁기 p. 1-22

보기
관광이벤트산업에 관한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도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influence of service of service quality on customer loyalty of the tourist industry event 박지수 p. 23-44

보기
베이비붐 세대 1코노미의 소신소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the meaning out of baby boomer generation 1conomy on action intention 이호길, 심준섭 p. 45-59

보기
대학생의 관광 참여수준, 감성적 가치평가 및 관광만족의 영향관계 =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tourism participation level, emotional value evaluation, and tourism satisfaction for university students 김미라, 윤정헌 p. 61-78

보기
사람 중심접근법 기반으로 관광체험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 탐색 및 관광만족도 = Tourism experiencing and travel satisfaction : a latent profile analysis 김지효, 오현성, 서인석 p. 79-95

보기
관광도시 리질리언스 평가기준 및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index of tourism destination city based on the concept of resilience 박소진, 양위주 p. 97-115

보기
해양환경 보전 인식이 해양쓰레기 및 해양환경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awareness of marine environment conservation on attitudes of marine waste and marine environment 문용철 p. 117-139

보기
골프장 고객경험이 고객만족,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golf course experi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 moderating effect of alternative attractiveness / 대안매력도의 조절효과 김지훈, 이동대 p. 141-168

보기
항공승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객실승무원의 속성 차이 연구 =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the attributes of flight attendant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irline passengers 이지영, 김지영, 김현준 p. 169-188

보기
중국 북부지역주민의 관광개발영향인식이 지역애착 및 개발지지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of the perceptions tourism impact of residents in northern China on community attachment and support for tourism development 양정, 김진강, 김양기 p. 189-213

보기
중국 노인관광의 행동 현황 및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elderly tourism behavior in China 축인혁, 김정아 p. 215-233

보기

참고문헌 (5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미라ᆞ·윤정헌(2019). 관광활동, 치유체험 및 생활만족의 영향관계. MICE관광연구, 19(3), 23-43. 미소장
2 김상희ᆞ·허용덕(2019). 문화관광해설사의 역량, 관광만족, 행위의도간의 구조적 관계. 관광레저연구, 31(8), 21-37. 미소장
3 김성수·ᆞ한지수ᆞ양동휘(2018). 감성적 소비가치가 만족과 주관적 웰빙 및 충성도에미치는 영향.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4(1), 1-12. 미소장
4 김수현·ᆞ백승우ᆞ오현성ᆞ강숙영(2020). 청년층의 농촌관광 선택속성과 관광만족 행동의도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을 활용한 선택속성 프로파일 유형을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16(4), 49-71. 미소장
5 김용대·김재석(2016). 축제태도가 참여수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8(6), 215-233. 미소장
6 김정수(2019). 관광지 매력성과 참여수준의 상관성 분석. 한국외식산업학회지, 15(2), 151 – 163. 미소장
7 김진ᆞ·고동완(2011). 생태관광활동참여에 따른 관광환경태도의 변화: 우포늪 습지 방문객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9(1), 56-64. 미소장
8 김채옥·ᆞ송운강(2007). 관광경험이 관광만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비제도화 국내관광자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21(4), 23-41. 미소장
9 김헌철(2019). 관광지 선택속성이 관광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향토음식이미지의 조절효과. Tourism Research, 44(4), 151-169. 미소장
10 남희경ᆞ·손희정·ᆞ이유리(2015). SPA브랜드 소비자의 감성적 소비가치 성향과 마케팅믹스속성 평가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 65(4), 45-60. 미소장
11 민병조·ᆞ오석윤(2017). 승마관광 참여자의 체험요소가 가치, 만족, 지속의도에 미치는영향. 관광레저연구, 29(10), 445-462. 미소장
12 박성연(2007). 감성트렌드와 소비자 가치, 마케팅, 41(2), 29-35. 미소장
13 박흥식··장은경(2014). 관광객 감성가치척도 개발. 관광레저연구, 26(9), 513-529 미소장
14 배성완ᆞ·오종환(2006). 해양스포츠 관광 활동을 통한 참여동기와 관여도가 참여수준에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0(2), 279 – 290. 미소장
15 여순심(2020). 공연예술관람객의 소비가치가 관람만족도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예술교육연구, 18(1), 29-46. 미소장
16 여호근ᆞ·김재원(2015). 전시회 참관객의 감성과 재미의 관계. 컨벤션연구, 15(4), 37-54. 미소장
17 여호근 (2017). 감성의 다차원 속성이 재미에 미치는 영향. MICE관광연구, 29(4), 23-39 미소장
18 여호근. ᆞ이미란ᆞ이연우(2018). 커피전문점의 감성이 신뢰와 만족, 재방문 및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30(2), 347-366. 미소장
19 여호근(2019). 어촌에 대한 관광객의 다차원 감성, 재미, 만족,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MICE관광연구, 19(3), 169-188. 미소장
20 유병유(2005). 감성마케팅의 환경변화와 전망. 마케팅, 39(1) 48-56. 미소장
21 윤정헌(2010). 가족관광객의 관광동기, 관광지 선택속성 및 관광만족의 영향관계. 관광레저연구, 22(5), 283-301. 미소장
22 윤정헌(2011a). 가족관광 촉진요인으로서의 가족요인, 참여의도, 참여수준, 생활만족의 영향관계. 관광레저연구, 28(10), 423-442. 미소장
23 윤정헌(2011b). 부모의 관광참여수준이 자녀의 관광가치지각, 관광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3(8), 5-22. 미소장
24 윤정헌(2013). 가족관광이 가족건강성 및 동공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관광연구, 9(3), 79-98. 미소장
25 윤정헌(2014). 가족관광 촉진요인이 가족관광 참여 및 가족역동성에 미치는 영향에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26(4), 27-48. 미소장
26 윤정헌(2018a). 관광가치지각, 가족관광 참여, 가족의사소통 및 가족관계 만족의 영향관계. 관광레저연구, 30(4), 79-96. 미소장
27 윤정헌(2018b). 대학생의 소비성향, 관광가치지각 및 관광참여의도와 참여의 영향관계. 관광레저연구, 30(10), 41-60. 미소장
28 윤정헌(2018c). 축제 참가자의 지각된 안전서비스와 축제활동 참여도 및 만족 간의영향관계. 관광레저연구, 30(8), 225-241. 미소장
29 이남훈(2011). 고객이 생각하지 못한 가치를 제안하라, 가디언. 미소장
30 이봉구. ᆞᆞ안범용(2011). 여가관광활동 참여가 장애인의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관광연구, 7(1), 43-65. 미소장
31 이선희(2020). 대학생의 해외관광 참여도에 따른 상대적 박탈감 및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32(11), 27-46. 미소장
32 정갑연(2016). 중국소비자의 한국 화장품 브랜드 경험이 감성적 소비가치에 미치는영향. 한국무역학회 세미나 및 토론회, 225-243. 미소장
33 정경회·유광길(2009). 스포츠 신제품 수용의 혁신성, 감성적 소비가치 및 제품수용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8(5), 197-206. 미소장
34 정상훈 (2013). 제품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사용자 감성 분석.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12(3), 83-93. 미소장
35 최재호(2013). 감성의 이해를 통한 감성품질의 구조적 접근 방법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39(1), 73-77. 미소장
36 홍성권ᆞ안경진ᆞ김종진(2014). 관광참여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42(3), 25-34. 미소장
37 황민우·정헌배(2007). 감성적 소비가치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77, 145-172. 미소장
38 문화체육관광부(2019). 2019년 기준 관광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미소장
39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9). 2019 국민여행조사 미소장
40 Bagozzi, R. P., Gopinath, M. & Nyer, P. U.(1999). The Role of Emotion in Marketing.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7(1), 184-206. 미소장
41 Baker,D. A. & Crompton, J. L.(2000). Quality,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Annals of Tourism Research, 27(3), 785-804. 미소장
42 Chen, C. C. & Petrick, J. F.(2013). Health and Wellness Benefits of Travel Experiences: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Travel Research, 52(6), 709-719. 미소장
43 Dolnicar, S., Yanamandram, V. & Cliff, K.(2012). The Contribution of Vacations to Quality of Life. Annals of Tourism Research, 39(1), 59-83. 미소장
44 Goleman, D.(1995). Emotional Intelligence: Why It Can Matter More Than IQ. New York:Bantam Books. 미소장
45 Huh, K, O.(2006). Consumers’ Preference for and Satisfaction with Retailing Stores by Life Styl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5(3), 385-395. 미소장
46 Hwang, M. W.(2006). Study on the Innovativeness of Consumer and Propensity of Emotional Consumption Value in the Adoption of a New Product: A Broadband User Approach(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미소장
47 Jamal, S. A., Othman, N. A. & Muhammad, N. M.(2011). Tourist Perceived Value in a Community-based Homestay Visit: An Investigation into the Functional and Experiential Aspect of Value. Journal of Vacation Marketing, 17(1), 5-15. 미소장
48 Jeong, S. H.(2007). Development a Self-report Questionnaire-type Scale of the Measuring User’s Emotions while using a Product. Korea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10(3), 403-410. 미소장
49 Lee, J. J. & Ahn, S. K.(2010). The Effect of Customer Emotion and Action Intention on Service Recovery Justice Perception in Hotel Restaurant.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3(1), 129-150. 미소장
50 Lounsbury, J. W. & Polik, J. R.(1992). Leisure Needs and Vacation Satisfaction. Leisure Science, 14, 105-119. 미소장
51 Sheth, J. N., Newman, B. I. & Gross, B. L.(1991). Why We Buy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2(2), 159-170. 미소장
52 Stone, M. J. & Petrick, J. F.(2013). The Educational Benefits of Travel Experiences: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Travel Research, 52(6), 731-744. 미소장
53 Szivas, E., Riley, M. & Airey, D.(2003). Labor Mobility into Tourism Attraction and Satisfac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30(1), 64-76. 미소장
54 Truong, T. H & Foster, D.(2005). Using HOLSAT to Evaluate Tourist Satisfaction at Destination: The Case of Australian Holiday makers in Vietnam. Tourism Management, 27, 842-855. 미소장
55 Walsh, G., Shiu, E. & Hassan, L. M.(2014). Replicating Validating, and Reducing the Length of the Consumer Perceived Value Scal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7, 260-267. 미소장
56 Williams, A. P. & Soutar, G. N.(2009). Valu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in an Adventure Tourism Context. Annals of Tourism Research, 36(3), 413-438. 미소장
57 Woodruff, R. B.(1997). Customer Value: The Next Source for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5(2), 139-15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