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부모사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심리적 성장을 위한 집단 문학치료 프로그램 기초연구 = Basic study on the collective literature therapy program for the psychological growth of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parental bereavement 최남미, 배진형, 정미경, 조은상 p. 9-55
'후회'에 대한 인간의 인지적 특징과 그 문학치료적 활용 방안 : A study on the human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regret and its literary therapy application : focusing on Yugoslav folktale <Eternal Dark World> / 유고 민담 <영원한 어둠의 세계>를 중심으로 박시언 p. 57-92
양육미혼모의 자녀 양육 자신감 향상과 양육태도 개선을 위한 문학치료 사례연구 = Literary therapy program cases : improving child support self-esteem and parenting attitudes of unmarried mothers 정영미, 김혜미 p. 93-150

다문화가정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문학치료 연구 = Literature therapy on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오정미 p. 151-181
한국설화를 통한 외국인과의 소통과 치유 가능성 연구 :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and healing among foreigners through Korean folktales / 뉴질랜드 현지인을 대상으로 송영림 p. 183-222

석화(石化) 모티프 등장 설화를 통해 본 상실과 애도의 층위 = Loss and mourning analyzed through the tale of “becoming a stone”(Seokhwa, 石化) 김지혜 p. 223-251
혐오와 혐오 극복 서사로서의 <춘향전> = “Chunhyangjeon,” a narrative of hate and overcoming hatred 서명희 p. 253-283
외상과 기표, 그 변증법적 주체화로서의 <가시리> 고찰 : “Gasiri” as a dialectical subjectification of trauma and a signifier : based on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on the symbolization of trauma / 트라우마의 상징화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오수엽 p. 285-317
최 윤의 소설 <겨울, 아틀란티스>가 함의하는 '치료적' 소설 읽기 = Implicature in ‘novel-reading’ for therapy focused on Choi Yoon’s Winter, Atlantis 전미정 p. 319-341
여성의 몸 소외에 대한 문학치료학적인 이해 : Understanding women’s disregard of their bodies in relation to literary : focused on Melissa Broder’s So Sad Today: Personal Essays and the Grimm Brothers’ fairy tale Clever Elsie / 멀리사 브로더(Melissa Broder)의 『오늘 너무 슬픔: 사적인 에세이들』과 그림형제 민담 <영리한 엘제>를 중심으로 박주은 p. 343-374
여성 기몽시의 특징과 최송설당의 지향점 = Features of female dream poetry and characteristic of Choi Songseoldang 권정은 p. 375-401
『청구야담』 <획중보혜부택부 獲重寶慧婦擇夫>의 유토피아적 상상 고찰 = Utopian imagination in <A Wise Wife Chooses a Husband and Gets a Great Treas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홍나래 p. 403-429
터키 언론 속에 나타난 한국 및 한국인의 이미지 변화 양상 =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image of Korea and Koreans in Turkish media 손영은, 정은경 p. 431-471

참고문헌 (3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오경근, 김지향, 『세계민담전집(폴라드·유고)』 10, 황금가지, 2003. 미소장
2 강지은, 「후회스러운 행동을 줄이기 위한 방법의 모색 –주자학(朱子學)에서의 성의(誠意)와 정심(正心)」, 『문학치료연구』 16, 한국문학치료학회, 2010. 미소장
3 김광주, 김아중 글과 사진, 『감정 커뮤니케이션』, 한나래, 2008. 미소장
4 김영호, 황진, 「만약 실수를 안했더라면 이겼을 수도 있었을텐데 : 승패결과에 대한 사후과정, 성취목표성향, 후회정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1-4,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0. 미소장
5 남궁재은, 허균태, 「한국 대학생들은 무엇을 후회 하는가 –후회와 지각된 기회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및 성격』, 한국심리학회, 2009. 미소장
6 류현민, 「신념의 형성 메커니즘에 대한 뇌 과학적 고찰」, 『종교교육학연구』58, 한국종교교육학회, 2018. 미소장
7 마샤 누스바움, 조형준 옮김, 『감정의 격동: 1 인정과 욕망』, 새물결, 2017. 미소장
8 민종현, 박영신, 「아동의 실망감과 후회감에 대한 이해의 발달」, 『사회과학담론과 정책』 5-2,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2. 미소장
9 박소영, 「인간의 마음과 상호주체성 : 『댈러웨이 부인』에 대한 인지적 고찰」, 『Culture and Convergence』 40-4,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미소장
10 박지숙, 양윤, 「의사결정 상황에서 행동과 비행동에 따라 경험하는 후회」, 『한국심리학회지 : 소비자 광고』 8-1,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07. 미소장
11 신동흔, 「구술소통능력과 구비문학: 설화의 인지체계와 의미구조를 중심으로」, 『화법연구』 33, 한국화법학회, 2016. 미소장
12 신동흔, 「문학치료학 서사이론의 보완 확장 방안 연구」, 『문학치료연구』 38,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미소장
13 신동흔, 「인지기제로서의 스토리와 인간 연구로서의 설화 연구」, 『구비문학연구』 42, 한국구비문학회, 2016. 미소장
14 신동흔, 「서사적 화두를 축으로 한 화소·구조 통합형 설화분석 방법 연구」, 『구비문학연구』 46, 한국구비문학회, 2017. 미소장
15 왕예림, 김경민, 「후회감과 목표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에 관한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31-3, 한국경영교육학회, 2016. 미소장
16 이정모 외, 『인지심리학』, 학지사, 2009. 미소장
17 이정모, 『인지과학』,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0. 미소장
18 이태형, 「하이데거 시간성에서 후회의 의미」, 『용본논총』 37, 전남대학교인문학연구소, 2010. 미소장
19 전인수, 김은화, 「소비자의 인지적 특성이 사후가정사고를 통한 불만족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26-4, 한국상품학회, 2008. 미소장
20 정운채, 「인간관계의 발달 과정에 따른 자기서사의 네 영역과 <구운몽> 분석 시론」, 『문학치료연구』 3, 한국문학치료학회, 2005. 미소장
21 정운채, 「심리학의 지각, 기억, 사고와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 『문학치료연구』 20, 한국문학치료학회, 2011. 미소장
22 정운채, 「서사의 다기성(多岐性)과 문학연구의 새 지평」, 『문학치료연구』23, 한국문학치료학회, 2012. 미소장
23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에 입각한 창작이론」, 『문학치료연구』 26,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미소장
24 정운채, 강미정, 하은하, 방유리나, 나지영, 박재인, 박윤주, 『문학치료학적고찰을 통한 사회통합모형 제안 : 노사 갈등을 중심으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3. 미소장
25 허태균, 「사후가정사고의 활성화에서 조절적 동기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한국심리학회, 2001. 미소장
26 허태균, 「사후가정사고의 심리적 기능과 응용적 가치」,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8-2, 한국심리학회, 2002. 미소장
27 황설중, 『인식론』, 민음인, 2009. 미소장
28 E. Bruce Goldstein, 도경수, 박태진, 조양석 옮김, 『인지 심리학』, GENGAGE Learning, 2016. 미소장
29 Henry Gleitman, 장현갑 외 옮김, 『심리학입문』, 시그마프레스, 2006. 미소장
30 https://ko.dict.naver.com/#/search?range=all&query=%ED%9B%84%ED%9A%8C 미소장
31 https://ko.dict.naver.com/#/entry/koko/05d9c5286e8e4d61b99ee577c55ce35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