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오경근, 김지향, 『세계민담전집(폴라드·유고)』 10, 황금가지, 2003. | 미소장 |
2 | 강지은, 「후회스러운 행동을 줄이기 위한 방법의 모색 –주자학(朱子學)에서의 성의(誠意)와 정심(正心)」, 『문학치료연구』 16, 한국문학치료학회, 2010. | 미소장 |
3 | 김광주, 김아중 글과 사진, 『감정 커뮤니케이션』, 한나래, 2008. | 미소장 |
4 | 김영호, 황진, 「만약 실수를 안했더라면 이겼을 수도 있었을텐데 : 승패결과에 대한 사후과정, 성취목표성향, 후회정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1-4,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0. | 미소장 |
5 | 남궁재은, 허균태, 「한국 대학생들은 무엇을 후회 하는가 –후회와 지각된 기회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및 성격』, 한국심리학회, 2009. | 미소장 |
6 | 류현민, 「신념의 형성 메커니즘에 대한 뇌 과학적 고찰」, 『종교교육학연구』58, 한국종교교육학회, 2018. | 미소장 |
7 | 마샤 누스바움, 조형준 옮김, 『감정의 격동: 1 인정과 욕망』, 새물결, 2017. | 미소장 |
8 | 민종현, 박영신, 「아동의 실망감과 후회감에 대한 이해의 발달」, 『사회과학담론과 정책』 5-2,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2. | 미소장 |
9 | 박소영, 「인간의 마음과 상호주체성 : 『댈러웨이 부인』에 대한 인지적 고찰」, 『Culture and Convergence』 40-4,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 미소장 |
10 | 박지숙, 양윤, 「의사결정 상황에서 행동과 비행동에 따라 경험하는 후회」, 『한국심리학회지 : 소비자 광고』 8-1,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07. | 미소장 |
11 | 신동흔, 「구술소통능력과 구비문학: 설화의 인지체계와 의미구조를 중심으로」, 『화법연구』 33, 한국화법학회, 2016. | 미소장 |
12 | 신동흔, 「문학치료학 서사이론의 보완 확장 방안 연구」, 『문학치료연구』 38,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 미소장 |
13 | 신동흔, 「인지기제로서의 스토리와 인간 연구로서의 설화 연구」, 『구비문학연구』 42, 한국구비문학회, 2016. | 미소장 |
14 | 신동흔, 「서사적 화두를 축으로 한 화소·구조 통합형 설화분석 방법 연구」, 『구비문학연구』 46, 한국구비문학회, 2017. | 미소장 |
15 | 왕예림, 김경민, 「후회감과 목표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에 관한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31-3, 한국경영교육학회, 2016. | 미소장 |
16 | 이정모 외, 『인지심리학』, 학지사, 2009. | 미소장 |
17 | 이정모, 『인지과학』,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0. | 미소장 |
18 | 이태형, 「하이데거 시간성에서 후회의 의미」, 『용본논총』 37, 전남대학교인문학연구소, 2010. | 미소장 |
19 | 전인수, 김은화, 「소비자의 인지적 특성이 사후가정사고를 통한 불만족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26-4, 한국상품학회, 2008. | 미소장 |
20 | 정운채, 「인간관계의 발달 과정에 따른 자기서사의 네 영역과 <구운몽> 분석 시론」, 『문학치료연구』 3, 한국문학치료학회, 2005. | 미소장 |
21 | 정운채, 「심리학의 지각, 기억, 사고와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 『문학치료연구』 20, 한국문학치료학회, 2011. | 미소장 |
22 | 정운채, 「서사의 다기성(多岐性)과 문학연구의 새 지평」, 『문학치료연구』23, 한국문학치료학회, 2012. | 미소장 |
23 |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에 입각한 창작이론」, 『문학치료연구』 26,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 미소장 |
24 | 정운채, 강미정, 하은하, 방유리나, 나지영, 박재인, 박윤주, 『문학치료학적고찰을 통한 사회통합모형 제안 : 노사 갈등을 중심으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3. | 미소장 |
25 | 허태균, 「사후가정사고의 활성화에서 조절적 동기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한국심리학회, 2001. | 미소장 |
26 | 허태균, 「사후가정사고의 심리적 기능과 응용적 가치」,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8-2, 한국심리학회, 2002. | 미소장 |
27 | 황설중, 『인식론』, 민음인, 2009. | 미소장 |
28 | E. Bruce Goldstein, 도경수, 박태진, 조양석 옮김, 『인지 심리학』, GENGAGE Learning, 2016. | 미소장 |
29 | Henry Gleitman, 장현갑 외 옮김, 『심리학입문』, 시그마프레스, 2006. | 미소장 |
30 | https://ko.dict.naver.com/#/search?range=all&query=%ED%9B%84%ED%9A%8C | 미소장 |
31 | https://ko.dict.naver.com/#/entry/koko/05d9c5286e8e4d61b99ee577c55ce35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