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근대 지방자치제도 확립기의 단일국가 : 프랑스를 중심으로 = The state of unity in the establishment of modern local autonomy system : focused on French / 백윤철 ; 이동광 1

[목차] 1

국문초록 1

Abstract 2

I. 19세기 프랑스의 지방제도의 변천 3

II. 19세기 연방주의와 '인민주권' 6

1. 19세기의 민중운동과 정치혁명의 관계 6

2. 국가형태로 단일국가와 연방국가의 본질 8

3. 단일국가와 연방국가 9

III. 프랑스 헌법상 연방주의의 의의 10

1. 프로동의 연방주의에서의 대항적 지방자치의 요소 10

2. 프랑스 헌법학자 중에 대표적인 견해 16

IV. 결어 16

참고문헌 19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재개발사업에 있어서 재결신청지연가산금에 대한 고찰 = Eine Untersuchung für die verspätete Beantragung einer Entscheidung über die Entschädigung bei Sanierungsprojekten 강현호 p. 1-34

보기
급부행정의 공공성 : Social benefit administration(Leistungsverwaltung) and publicity(Öffentlichkeit) : focus on a comparative study of public health legal institu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 한국과 일본의 공공의료법제 비교를 중심으로 황지혜 p. 35-59

보기
토지공개념과 개헌 : The public concept of land ownership and revision of the Korean constitution : alternative search for the public concept of land ownership : real estate economic democratization / 토지공개념의 대안적 모색 : 부동산경제민주화 허강무 p. 61-87

보기
주택임대차제도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housing lease system 임숙녀 p. 89-114

보기
미국의 지열발전사업 및 지진방지절차 관련 법제 검토 = Review of the geothermal resources and earthquake prevention procedure in the United States 김재선 p. 115-140

보기
병원 내 감염 및 집단감염에 대한 손해전보 및 구상조치에 관한 소고 = A study on the responsibility for damages and the right to indemnity for nosocomial infection and group infections in the hospital 전훈 p. 141-163

보기
탐정제도 도입 입법 방안 검토 = Review of legislative measures for introducing the private investigation system 김원중 p. 165-187

보기
소상공인 영업제한에 대한 행정상 손실보상 연구 = A study on the compensation for administrative losses of small business restrictions 박세훈 p. 189-207

보기
건축허가와 관련된 공무원의 재량권남용 문제와 해결방안 = Building permit law and bureaucrat's abuse of discretion power 조영종, 이재삼 p. 209-236

보기
가축 살처분의 보상 등 공법적 쟁점에 대한 소고 = Eine rechtliche Studie zu öf entlich-rechtlichen Fragen bei der Tötung der Nutztieren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r Entschädigung 한명진 p. 237-258

보기
근대 지방자치제도 확립기의 단일국가 : The state of unity in the establishment of modern local autonomy system : focused on French / 프랑스를 중심으로 백윤철, 이동광 p. 259-278

보기
지방정부 구성형태의 도입유형에 관한 법·제도적 고찰 = A legal and institutional review of the types of introduction to local government forms 이재란, 조계표 p. 279-303

보기
정당론 소고 = On the study of political party theory 이영우 p. 305-323

보기
세무사자격을 가진 변호사의 세무대리업무영역 제한의 위헌성 = Unconstitutionality of restriction of tax service area of lawyers with tax accountant qualification 고문현 p. 325-348

보기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13. 미소장
2 백윤철 외2인, 헌법요론, 박영사, 2019. 미소장
3 백윤철, 프랑스 지방자치법, 한국학술정보원, 2010. 미소장
4 백윤철, 헌법학, 한국학술정보원, 2013. 미소장
5 성낙인, 프랑스헌법학, 법문사, 1995. 미소장
6 Karl Marx, Der 18 Brumaire des Louis Bonaparte, 1852(1869) 미소장
7 André-Jean Tudesq, Les grands notables en France(1840-1848) : Études histrique d’une psychologie sociale, 2 tomes, PUF, 1964; ibid., les conseilleurs généraux en France au temps de Guizot, 1840-1848, Armand Colin, 1967. 미소장
8 André-Jean Tudesq, les conseilleurs généraux en France au temps de Guizot, 1840-1848, Armand Colin, 1967. 미소장
9 A.J. Tudesq, Les conseilleurs généraux en France......, p22 미소장
10 A.J. Tudesq, “de la Monarchie à la République : le maire, petit ou grand notable”, Pouvoir, no24, PUF, 1983, p.8. 미소장
11 Gérard Sautel, Historie des institutions publiques depuis la Révolution Française, 5eme éd, Dalloz, 1982, pp.487-490 미소장
12 A.J. “Tudesq, de la Monarchie à la République.....,” Jacques Godechot. ; Gérard Sautel, op. cit., pp.495-497. 미소장
13 Célestin. Bouglé, “Proudhon fédéraliste” in Guy-Grand et al., Proudhon et notre temps, Éditions et Libraire, 1920, pp.243-244). 미소장
14 J.P. Proudhon, (Euvres complètes, nouvelle édition sous la direction de C. Bougle et H. Moysset, t.15, Slatkine, 1982, pp.253-551. Proudhon, Idée générale de la Révolution aux ⅩⅨe siécle, 1851 in J. P. Proudhon, (Euvres complétes, op.cit, nouvelle édition sous la direction de C. Bougle et H. Moysset), t.2, 1982, pp97-351. 미소장
15 J. P. Proudhon, Du la capacité politique des classes ouvrières, 1865, in (Euvres complétes, op.cit. nouvelle édition sous la direction de C. Bougle et H. Moysset), t.3, 1982.“Manifeste des Soixante ouvriers de la Seine”, L’Opinion Nationale, 17 févier 1864; Le tems, 18 fé4 1864, in Proudhon, Du la capacité politique....,op.cit., Annexes, pp.409-417. 미소장
16 La proclamation de la Commune, 26 Mars 1871, Gallimard, 1965], Georges Bourgin Georges Bourgin, La Commune, P.U.F., 1953 미소장
17 Charls Rhis, La Commune de Paris, 1871, sa structure et ses doctrines, Seuil, 1973, Jean Bruhat, Jean Dautry et Émile Tersen(sous la direction de), La Commune de 1871, Éditions Sociales, 2e éd., 1970. 미소장
18 La Commune de Paris, “Déclaration au peuple français”, 19 avril 1871, Répulique français, no 170, in Ch. Rihs, op.cit., pp.163-165. 또한 Jean Bruhat et al., op.cit., p200 미소장
19 Jean Defrasne, La Gauche en France, de 1789 à nos jours(Que sais-je? no 1464), PUF, 1975, pp77-78, Thiébaut Flory, Le mouvement régionaliste françias, sources et développements, PUF, 1966 미소장
20 Jean Sagnes, “Le mouvement de 1907 en Languedoc-Roussillon; de la révolute vitiolute à la révolte régionale” Mouvement Social, no 104, 1978, pp.3-30 미소장
21 Célestin. Bouglé, “Proudhon fédéraliste” in Guy-Grand et al., Proudhon et notre temps, Éditions et Libraire, 192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