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고는 안동 지역에서 살펴볼 수 있는 여러 문화유적 및 문인들의 시문(詩文) 속에 투영된 도연명(陶淵明)의 형상을 고찰하는 것을 주지로 삼는다. 먼저 안동의 명승지로 손꼽히는 안동팔경(安東八景) 가운데 ‘귀래정(歸來亭)’, ‘임청각(臨淸閣)’, ‘도산서원(陶山書院)’ 등이 모두 도연명의 은일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었다. 특히 ‘임청각’을 세운 이명(李洺)의 아들인 이굉(李肱)은 ‘반구정(伴鷗亭)’을 짓고 은거하였고, 또 그의 아들인 이용(李容)은 ‘어은정(漁隱亭)’을 지어 은거하는 등, 3대(代)에 걸쳐 도연명식 은일을 실천하기도 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국역퇴계집』, 민족문화추진회, 1989. | 미소장 |
2 | 김한중, 『안동지(安東誌)』, 고향문화사, 1987. | 미소장 |
3 | 이완규, 『안동 풍수 기행, 와혈의 땅과 인물』, 예문서원, 2001. | 미소장 |
4 | 이상은, 『퇴계의 생애와 학문』, 예문서원, 2002. | 미소장 |
5 | 이중환 지음, 안대회 옮김, 『완역정본택리지』휴머니스트, 2018. | 미소장 |
6 | 이치수, 『도연명 전집』, 문학과 지성사, 2005. | 미소장 |
7 | 송지향, 『안동향토지(安東鄕土誌)』, 대성문화사, 1983. | 미소장 |
8 | 李賢輔 著, 장재호, 김우동 譯, 『농암집』, p301, 한국국학진흥원, 2019. | 미소장 |
9 | 李滉, 『退溪全書』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63. | 미소장 |
10 | 冷衛國, 『陶淵明在朝鮮的接受與傳播 - 以和‘歸去來辭’爲中心』, 中國海洋大學, 碩士學位論文, 2013. | 미소장 |
11 | 孟群, 『退溪李滉對陶淵明文學的接受』, 延邊大學 碩士學位論文, 2011. | 미소장 |
12 | 袁行霈, 『陶淵明集箋注』, 中華書局, 2003. | 미소장 |
13 | 김덕현, 「임하구곡의 은거문화-안동 선비의 정신세계와 구곡강산」, 한국국학진흥원, 『안동학연구』, 제16집, 2017. | 미소장 |
14 | 김원길, 「안동과 도연명」, 『영남일보』, 2013. 05. 24. 제36면. | 미소장 |
15 | 김효은, 「갈매기도 놀라게 할까 두럽다.반구정(伴鷗亭)」, 『웹진담談』, 74호. | 미소장 |
16 | 성호경, 「聾巖 李賢輔의 삶과 시가」, 『진단학보』, 진단학회, 2002. 06. | 미소장 |
17 | 심용훈, 「낙포 이굉선생, 자연과 함께 살다가다.」, 『경북일보』, 2010. 04. 23. | 미소장 |
18 | 최한선의 「陶淵明이 湖南詩壇에 끼친 影響」, 『동아인문학』, 동아인문학회, 2004. 1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