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안동 지역에서 살펴볼 수 있는 여러 문화유적 및 문인들의 시문(詩文) 속에 투영된 도연명(陶淵明)의 형상을 고찰하는 것을 주지로 삼는다. 먼저 안동의 명승지로 손꼽히는 안동팔경(安東八景) 가운데 ‘귀래정(歸來亭)’, ‘임청각(臨淸閣)’, ‘도산서원(陶山書院)’ 등이 모두 도연명의 은일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었다. 특히 ‘임청각’을 세운 이명(李洺)의 아들인 이굉(李肱)은 ‘반구정(伴鷗亭)’을 짓고 은거하였고, 또 그의 아들인 이용(李容)은 ‘어은정(漁隱亭)’을 지어 은거하는 등, 3대(代)에 걸쳐 도연명식 은일을 실천하기도 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군사주의적 발전주의와 증상으로서의 글쓰기 = Militaristic developmentism and writing as symptoms : a study on the <Unwritten autobiography> : 이청준의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을 중심으로 박진영 p. 5-26

고도(古都)지구 현상변경시 문제점과 대안 = Problems and alternatives in connection with changes in the status of an ancient capital district : with a focus on the area designated as Iksan ancient capital district : 익산 고도지정 지구를 중심으로 이문형 p. 27-52

신석정 시의 동심 연구 = Study of childhood innocence in Shin Seok-jeong's poems 배귀선 p. 53-82

연극의 '재정치화' - 동시대 독일과 한국의 정치적 연극 연구 = 'Repoliticization' of theater - study of contemporary political theater in German and Korea. 2. 2, '세월호' 이후 한국의 정치적 연극 이상복 p. 83-110

안동 지역에 투영된 陶淵明 형상 고찰 = A study on the shape of Taoyuanming in Andong area 최우석 p. 111-133

농촌계몽가 혹은 농민지도자 = Rural enlightenment or rural activist : the heroism of Lee Kwang-soo’s Soil and Simhun’s of Evergreen Tree : 이광수의 『흙』과 심훈의 『상록수』의 영웅주의 정은경 p. 135-173

재조일본인과 기억의 정치 = Japanese resident in colonial Korea and the politics of memory : an analysis of Yuasa Katsue's fictions based on Suwon : 유아사 가쓰에의 수원 배경의 소설을 중심으로 변화영 p. 175-201

1990년대 여성 서사의 귀환과 '낭만적 사랑'의 종언 = The return of female narratives in the 1990s and the end of romantic love : based on Eun Hee-kyung's "The Present of a Bird" : 은희경의 『새의 선물』을 중심으로 김은하 p. 203-231

포스트식민문학의 한 가지 양상 = An aspect of postcolonial literature : the dialogical relationship of Ngugi's Devil on the Cross with other literary works : 응구기의 『십자가의 악마』의 세계문학과의 대화적 관계성 연구 이효석 p. 233-258

김안로의 『희락당고』 한시 연구 = A study on Chinese poems in Heerakdanggo 『希樂堂稿』 of Kim An-ro : highlighting in association with the experience during the exile : 유배체험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김세라 p. 259-280

계림유사의 독법 검토 = A study of reading method of Jilin leishi(鷄林類事) : the origin of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 한자음의 기원을 찾아서 황국정 p. 281-310

참고문헌 (1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국역퇴계집』, 민족문화추진회, 1989. 미소장
2 김한중, 『안동지(安東誌)』, 고향문화사, 1987. 미소장
3 이완규, 『안동 풍수 기행, 와혈의 땅과 인물』, 예문서원, 2001. 미소장
4 이상은, 『퇴계의 생애와 학문』, 예문서원, 2002. 미소장
5 이중환 지음, 안대회 옮김, 『완역정본택리지』휴머니스트, 2018. 미소장
6 이치수, 『도연명 전집』, 문학과 지성사, 2005. 미소장
7 송지향, 『안동향토지(安東鄕土誌)』, 대성문화사, 1983. 미소장
8 李賢輔 著, 장재호, 김우동 譯, 『농암집』, p301, 한국국학진흥원, 2019. 미소장
9 李滉, 『退溪全書』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63. 미소장
10 冷衛國, 『陶淵明在朝鮮的接受與傳播 - 以和‘歸去來辭’爲中心』, 中國海洋大學, 碩士學位論文, 2013. 미소장
11 孟群, 『退溪李滉對陶淵明文學的接受』, 延邊大學 碩士學位論文, 2011. 미소장
12 袁行霈, 『陶淵明集箋注』, 中華書局, 2003. 미소장
13 김덕현, 「임하구곡의 은거문화-안동 선비의 정신세계와 구곡강산」, 한국국학진흥원, 『안동학연구』, 제16집, 2017. 미소장
14 김원길, 「안동과 도연명」, 『영남일보』, 2013. 05. 24. 제36면. 미소장
15 김효은, 「갈매기도 놀라게 할까 두럽다.반구정(伴鷗亭)」, 『웹진담談』, 74호. 미소장
16 성호경, 「聾巖 李賢輔의 삶과 시가」, 『진단학보』, 진단학회, 2002. 06. 미소장
17 심용훈, 「낙포 이굉선생, 자연과 함께 살다가다.」, 『경북일보』, 2010. 04. 23. 미소장
18 최한선의 「陶淵明이 湖南詩壇에 끼친 影響」, 『동아인문학』, 동아인문학회, 2004. 1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