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연대-확장의 출발선에서, 예술청 공동예술청장 김서령, 여인혁, 장재환 [인터뷰]
|
[인터뷰이]: 김서령, 여인혁, 장재환 ; 글: 김진이 ; 사진: 정유라
|
p. 6-9
|
|
보기
|
|
먼 길, 돌아서 오는 마음. 3, '연극이 아니면 아무것도 아닌 나'에게 힘을 주는 그 한마디 [좌담]
|
[좌담]: 박리디아, 정소영, 서송희 ; 글: 장용철 ; 사진: 정유라
|
p. 10-13
|
|
보기
|
|
트렁크씨어터프로젝트 <메리, 크리스, 마쓰> : 트렁크 속 아이디어를 비주얼적으로 풀어내는 직업 [좌담]
|
[좌담]: 조예은, 신은혜, 박세인, 박현, 유원준 ; 글: 김혜정 ; 사진: 정유라
|
p. 14-17
|
|
보기
|
|
인형이 살아있는 공연을 만드는 인형작업자 이지형
|
글: 김연재
|
p. 18-21
|
|
보기
|
|
연극 관련 정부 정책 수요 조사. 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편 [좌담]
|
참석: 변우균, 이연심, 제인현, 홍유진 ; 사회: 이양구 ; 기록·정리: 김혜정 ; 사진: 정유라
|
p. 22-29
|
|
보기
|
|
">
"순전히, 세상에 없는 퀴어 영화" 같은 연극 : 국립극단 <알려지지 않은 예술가의 눈물과 자이툰 파스타>
|
글: 배선애
|
p. 30-31
|
|
보기
|
|
액션 장르로 혐오와 대결하기 : 극단 대학로극장 <노인과 여자를 위한 나라는 없다>
|
글: 박미란
|
p. 32-33
|
|
보기
|
|
다른 여름에서 만나요 : 창작집단 상상두목 <다른 여름>
|
글: 윤서현
|
p. 34-35
|
|
보기
|
|
관람 없는 투어리즘 : 권은비 <도시산책론: 도시투어1. 서울의 미로>
|
글: 김민조
|
p. 36-37
|
|
보기
|
|
함께 나이 들어 간다는 것 : 낭만유랑단 <시소와 그네와 긴줄넘기>
|
글: 유연주
|
p. 38-39
|
|
보기
|
|
영화 같은 연극, 그래서 더욱 연극적인 아비뇽 페스티벌 시네마 : 조엘 폼므라 <콜드룸>
|
글: 백로라
|
p. 40-41
|
|
보기
|
|
뉴노멀 가치를 위한 섬세하고 견고한 동시대 어린이 무대언어 : 종로문화재단·공놀이클럽 <바다쓰기>
|
글: 황승경
|
p. 42-43
|
|
보기
|
|
">
"슬퍼하지마 꽃이잖아, 아파하지마 꽃으로 피었잖아!" : 마당극단 좋다 <묘꽃>
|
글: 조훈성
|
p. 44-45
|
|
보기
|
|
심각하지만, 파국적이지는 않다 : 고연옥 <인간이든 신이든>
|
글: 전정옥
|
p. 46-48
|
|
보기
|
|
연극이 끝난 자리에 남는 것들 : 아르코예술극장 개관 40주년 기념 전시 <없는 극장>
|
글: 백두산
|
p. 49-51
|
|
보기
|
|
영국 연극계의 봄과 포스트 팬데믹 현안
|
글: 김준영
|
p. 52-53
|
|
보기
|
|
공연의 안팎. 22, 유랑광대
|
글: 서연호
|
p. 54-55
|
|
보기
|
|
연극교육. 24, 연극-연기교육, 변화의 시간 3 [좌담]
|
참석: 김현희, 이곤, 정일균 ; 사회·정리: 서나영
|
p. 56-59
|
|
보기
|
|
'온라인 연극 플랫폼 조성'을 위한 '온라인 예술 플랫폼' 들여다보기
|
글: 황윤동
|
p. 60-63
|
|
보기
|
|
대한민국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한 한 걸음, 대구국립극단·극장 설립에 대해
|
글: 이홍기
|
p. 64-65
|
|
보기
|
|
이야기가 사람을 만들고 사람이 이야기를 만든다 : 극작가 이강백의 삶과 작품 [서평]
|
글: 최영주
|
p. 71-73
|
|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