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비트겐슈타인은 20세기에 활동했던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 중의 한 명으로 간주된다. 그는 분석철학의 대가로서 철학의 패러다임을 본질주의 논란에서 언어분석 중심으로 전환시킨 사람 중의 하나이다. 다시 말해서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철학에 있어서의 큰 경향은 소위 ‘언어에로의 전환 sprachliche Wende’인데, 이러한 운동의 선두에 서 있던 이가 바로 비트겐슈타인이었다. 그의 핵심 이론은 생전에 출간된 진리함수적 의미론 내지는 지칭 의미론이라 일컬어지는 『논리철학 논고』(1922)와 후기 저작으로 대표되고 그의 사후에 제자들에 의해서 출간된 『철학적 탐구』(1958)에 실려 있는데, 특히 후자는 현대적 의미의 화용론의 출발점이 되는 그의 사상들이 실려 있다. 비트겐슈타인 철학에 대한 일반적인 연구들은 이러한 그의 언어이론을 의미론으로 칭하는 경향이 있는데, 본고에서는 의미론을 넘어서 화용적 또는 언어행위적이라고 간주한다. 따라서 본고는 그의 후기 대표작인 『철학적 탐구』에서 보여지는 화용론적 또는 언어행위론적 편린들을 살피는 것이 목적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추상적 체계에서 구체적 사용으로. Vom abstrakten System zum konkreten Gebrauch. 2, In Bezug auf pragmatische Ideen in Wittgensteins Philosophische Untersuchungen / 2,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탐구』에서 화용론적 발상을 중심으로 이재원 p. 5-25

브레히트와 동독의 사회주의 = Brecht und der Sozialismus in der ehemaligen DDR 김길웅 p. 27-47

비동일성 사유로 파악되는 포에티컬 갈바니즘 : Poetischer Galvanismus als Grund für die Nichtidentität : Am Beispiel Heinrich von Ofterdingen von Novalis / 노발리스의 『하인리히 폰 오프터딩엔』을 중심으로 이시화 p. 49-70

토마스 만의 그림 : Die Bilder Thomas Manns : Eine Analyse seiner Karikaturen im Bilderbuch für artige Kinder / 『착한 아이들을 위한 그림책』 속 토마스 만의 캐리커처 분석 김효진 p. 71-102

사회비판의 역설 : Zur Paradoxie der Gesellschaftskritik : Fontanes Effi Briest und die Genderproblematik / 폰타네의 『에피 브리스트』와 젠더 문제 홍길표 p. 103-122

페르시아 수피시인 하피즈의 독일과 한국 내 수용 : Der Persische Sufi-Dichter Hafiz in Deutschland und in Korea : Anhand der Gedichte von Hafiz, Goethe, Nietzsche, und Poeun / 괴테와 니체, 정몽주의 시를 매개로 홍순희 p. 123-150

베르톨트 브레히트와 하이너 뮐러의 '행복신' 소재 작품 비교연구. Vergleichsstudie zur Thematik des Glücksgotts von Bertolt Brecht und Heiner Müller. 1 / 1 최은녕 p. 151-184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역사적 형성과정 = Der historische Entstehungsprozess des postdramatischen Theaters 이재민 p. 185-211

참고문헌 (2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여수 (1984): 비트겐슈타인의 이해를 위한 소묘. 비트겐슈타인의 이해. (분석철학연구회편). 서광사, 7-34. 미소장
2 김학근(1984): 비트겐슈타인의 의미론. 비트겐슈타인의 이해. (분석철학연구회 편). 서광사, 85-128. 미소장
3 몽크, 레이(2000):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 I.(남기창 역). 문화과학사. 미소장
4 몽크, 레이(2000a):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 II.(남기창 역). 문화과학사. 미소장
5 소쉬르, 페르디낭드(1990): 일반언어학 강의.(최승언 역). 민음사. 미소장
6 슈밋터, 페터(2003): 페터 슈밋터의 언어기호론.(신형욱/이재원/조국현 역).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7 이재원(2018): 텍스트언어학사. 연대기학에서 메타히스토리오그라피로. HUiNE. 미소장
8 이재원(2020): 추상적 체계에서 구체적 사용으로(I) -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탐구』에서화용론적 발상을 중심으로. 독일문학 155, 163-184. 미소장
9 장석진(1987): 서론. 오스틴 – 화행론, 3-9. 미소장
10 조국현(2003): 메타 현상과 언어사용의 성찰성에 관하여. 독어교육 27, 161-183. 미소장
11 최용호(2003): 소쉬르의 가치 개념: 랑그에서 담화로. 프랑스학 연구 25, 229-245. 미소장
12 판, K. T.(1989):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이란 무엇인가?(황경식, 이운형 역). 서광사. 미소장
13 헤리스(R. Harris 1999): 소쉬르와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보고사. (고석주 역). 미소장
14 홍승우(1988): 의미론 입문. 청록사. 미소장
15 Austin, J. L.(1998): Zur Theorie der Sprechakte. (How to do things with Words). Stuttgart. 미소장
16 Bloomfield, L.(1976): Language. London. 미소장
17 Bühler, K.(1983): Sprachtheorie. Die Darstellungsfunktion der Sprache. Stuttgart. 미소장
18 Drury, M. O’C.(1981): Some Notes on Coversations with Wittgenstein. In: Ludwig Wittgenstein: Personal Recollections, (ed.) R. Rhees. Totowa, NJ. 미소장
19 Platon (1973). Phaidon. Das Gastmahl. Kratylos. Bearbeitet von D. Kruz. Griechischer Text von L. Robin und L. Méridier. Deusche Übersetzung von F. Schleichermacher. Darmstadt. 미소장
20 Frege, G.(1892): Über Sinn und Bedeutung. Zeitschrift für Philosophie und philosophische Kritik, NF 100, 25-50. 미소장
21 Isenberg, H.(1976): Einige Grundbegriffe für eine linguistische Texttheorie. In: F. Daneš/D. Viehweger (Hrsg.), Probleme der Textgrammatik. (=Studia Grammatica XI), 47-145. 미소장
22 Lyons, J.(1977): Semantics. Vol. 1. London/New York. 미소장
23 Prozig, W.(1950): Das Wunder der Sprache. München. 미소장
24 Searle, J.(1972): Zur Theorie der Sprechakte. Stuttgart. (Übersetz. v. E. V. Savingy). (Original: Speech Acts: An Essay in the Philosophy of Language. Cambridge). 미소장
25 Trier, J. (1931): Der deutsche Wortschatz im Sinnbezirk des Verstandes. Die Geschichte eines sprachlichen Feldes. Bd. 1: Von den Anfängen bis zum Beginn des 13. Jahrhunderts, Heidelberg. 미소장
26 Weinrich, H.(1996): Linguistik der Lüge. Verlag C. H. Beck. 미소장
27 Wittgenstein, L.(1922):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London. 미소장
28 Wittgenstein, L.(1958): Philosophische Untersuchungen. Zweite Auflage. Oxford. 미소장
29 Wittgestein, L.(1960): The Blue and Brown Books. 2nd ed. New York.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