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자료의 공개와 정리 = The organization and release of archival materials from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權赫山 p. 7-24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 사진에 보이는 북한 소재 불교조각의 고찰 = A study on Buddhist sculptures in the gelatin dry plate photographs of North Korea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許亨旭 p. 25-57
유리건판으로 보는 북한 사찰 불교회화의 현황과 과제 = The current status of and issues with Buddhist paintings at temples in North Korea as seen through gelatin dry plates 鄭明熙 p. 59-82
일제강점기 기록으로 보는 成佛寺 鐵造菩薩坐像 연구 = Study of the iron seated bodhisattva sculpture at Seongbulsa temple in records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權江美 p. 83-107
일제강점기 경기 개성 지역 석조문화재 보존사업 = Conservation projects for stone pagodas in Gaeseong in colonial-era Korea 申紹然 p. 109-140
유리건판으로 보는 북한 지역의 조선 후기 범종과 향로 = Late Joseon Buddhist temple bells and incense burners in North Korea as seen in gelatin dry plates 李溶振 p. 141-161
조선 전기 도갑사 불상군의 특징과 제작 배경 :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Buddha and bodhisattva statues of Dogapsa Temple in early Joseon period seen through dry plate photographs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 사진을 중심으로 兪旲昊 p. 163-189
조선시대 耆英會圖의 일례 : Examples of the commemorative painting of Giyeonghoe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 in the Joseon Dynasty : a focus on the gelatin dry-plate photograph vers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본<宣祖朝耆英會圖>를 중심으로 崔卿賢 p. 191-213
유리건판으로 읽는 또 다른 사진사 : Another history of photography looking through glass dry-plates : centering around anthropometric photographs by Torii Ryūzō / 도리이 류조의 신체측정 사진을 중심으로 李庚珉 p. 215-244
서울 화계사 塔圖 목판의 판각과 유통 =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Tapdo (塔圖) woodblocks of Hwagyesa Temple in Seoul 李松宰 p. 245-273
조선 말기 經塔圖의 조형적 연원과 제작 배경 = The formative origin and production background of scripture-pagoda-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李承禧 p. 275-305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도형, 「일제하 총독부박물관 문서와 관리 체계」, 『기록학연구』 제3호, 한국기록학회, 2001, pp. 115~137. 미소장
2 김상호, 「조선총독부의 문서관리」, 『기록보존론』, 아세아문화사, 1992. 미소장
3 김인덕, 『식민지시대 근대공간 국립박물관』, 국학자료원, 2001. 미소장
4 김인덕, 「1915년 조선총독부박물관 설립에 대한 연구」, 『향토서울』 제71호, 서울역사편찬원, 2008, pp. 259~289. 미소장
5 김재순, 「한국근대 공문서관리제도의 변천」, 『기록보존』 제5호, 정부기록보존소, 1992, pp. 35~49. 미소장
6 김재순, 「조선총독부 공문서제도와 정부기록보존소 소장 일제문서」, 『역사와 현실』 제9권, 한국역사연구회, 1993, pp. 354~364. 미소장
7 목수현, 「일제하 박물관의 형성과 그 의미」,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0. 미소장
8 박성진·이승일, 『조선총독부 공문서』, 역사비평사, 2007. 미소장
9 이순자, 『일제강점기 고적조사사업연구』, 경인문화사, 2009. 미소장
10 이성시, 「조선총독부의 고적조사와 총독부박물관」, 『미술자료』 제87호, 국립중앙박물관, 2015, pp. 23~57. 미소장
11 오영찬,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의 분류 체계에 대한 시론」, 『미술자료』 제96호, 국립중앙박물관, 2019, pp. 181~208. 미소장
12 오영찬, 「열패한 식민지 문화의 전파: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설립 배경」, 『서울과 역사』 제105호, 서울역사편찬원, 2020, pp. 141~180. 미소장
13 지수걸 외,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분류·기술방법론』,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04. 미소장
14 차순철, 「일제강점기 고적조사 연구의 성과와 한계」, 『신라사학보』 제17호, 신라사학회, 2009, pp. 89~133. 미소장
15 최석영,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출현과 ‘식민지적 기획’」, 『역사와 담론』 제27집, 호서사학회, 1999, pp. 93~125 미소장
16 최석영 , 『한국 근대의 박람회·박물관』, 서경문화사, 2001. 미소장
17 『국립중앙박물관 보관 고문서목록』, 국립중앙박물관, 1996. 미소장
18 『광복 이전 박물관 자료목록집』, 국립중앙박물관, 1997. 미소장
19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 궁궐』, 국립중앙박물관, 2007. 미소장
20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식민지시기 유리건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8. 미소장
21 『유리원판에 비친 한국의 문화유산: 식민지 조선의 고적조사』, 성균관대학교박물관, 2001. 미소장
22 한국박물관100년사편찬위원회, 『한국 박물관 100년사』, 국립중앙박물관, 2009. 미소장
23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 https://www.museum.go.kr/modern-history 미소장
2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collectionList 미소장
25 e뮤지엄 전국박물관소장품 유리건판사진 http://www.emuseum.go.kr/storySearch?storySeq=110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