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he paper aims at the cultural discourse formed in colonial Taiwan from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to the defeat of Japan in 1945, examining how political power controls, regulates, and mobilizes the entire cultural sector, including literature, for specific purposes. The main object of the research was culture-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media and literary magazines at the time, which traces how cultural discourses were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progression of wars and times. Therefore, it is analyzed and discussed that how Taiwanese culture plays the role of a bridge between China and Japan during the Sino-Japanese War (1937), foreign literary circle and the theory of local culture revitalization, the rural issues of Taiwanese literature, the period of the Pacific War (1941) included Eastern cultural discourses that denied Western modernity and Japan-centrism, and the period of decisive battle (1943) increased production literary theory, etc. The paper further explores how these cultural discourses are mentioned, and what is the process and appearance of their construction, in order to examine the logic of cultural mobilization and the ideological control towards Taiwanese intellectuals of the colonial political power, as well as the responding acts and thoughts of Taiwanese intellectuals.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臺灣時報≫, 臺灣時報社, 1919創刊. | 미소장 |
2 | ≪臺灣公論≫, 臺灣公論社, 1936創刊. | 미소장 |
3 | ≪文藝臺灣≫, 臺灣文藝家協會, 1940創刊. | 미소장 |
4 | ≪臺灣藝術≫, 臺灣藝術社, 1940創刊 . | 미소장 |
5 | ≪臺灣文學≫, 啟文社, 1941創刊. | 미소장 |
6 | ≪臺灣文藝≫, 臺灣文學奉公會, 1944創刊. | 미소장 |
7 | 최말순, ≪식민과 냉전하의 대만문학≫, 서울: 글누림출판사, 2019. | 미소장 |
8 | 崔末順, ≪海島與半島――日據臺韓文學比較≫, 臺北: 聯經, 2013. | 미소장 |
9 | 黃美娥, ≪雙層現代性鏡像≫, 臺北: 麥田出版社, 2004. | 미소장 |
10 | 黃英哲 編, ≪日治時期台灣文藝評論集≫ 二-四冊, 臺南: 國家台灣文學館籌備處, 2006. | 미소장 |
11 | 柳書琴, ≪荊棘之道――臺灣旅日靑年的文學活動與文化抗爭≫, 臺北: 聯經, 2009. | 미소장 |
12 | 橋本恭子, 吳佩珍主編, <在臺日本人的鄉土主義――島田謹二與西川滿的理念>, ≪中心到邊陲的重軌與分軌(中)≫, 臺北: 臺大出版中心, 2012. | 미소장 |
13 | 周婉窈, ≪海航兮的年代――日本殖民統治末期臺灣史論文集≫, 臺北: 允晨文化出版, 2002. | 미소장 |
14 | 崔末順, <現代性與臺灣文學的發展(1920-1949)>, 國立政治大學中國文學系 博士論文, 2004. | 미소장 |
15 | 王美惠, <1930年代台灣新文學作家的民間文學理念與實踐――以“臺灣民間文學集”為考察中心>, 國立成功大學歷史硏究所 博士論文, 2008. | 미소장 |
16 | 王昭文, <日治末期臺灣的知識社群(1940-1945)――“文藝臺灣”、“臺灣文學”、“民俗臺灣”三雜誌的歷史研究>, 國立清華大學歷史研究所 碩士論文, 1991. | 미소장 |
17 | 張育薰, <日治後期臺灣民俗書寫之文化語境研究>, 國立清華大學臺灣文學研究所 碩士論文, 2012. | 미소장 |
18 | 고야스 노부쿠니, <일본지식인과 중국문제>, ≪일본 비평≫ 제6호,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2. | 미소장 |
19 | 최말순, <결전에서 총궐기로 ― 일제 최후기(1943-1945)의 대만문단>, ≪지구적 세계문학≫ 제13호, 글누림출판사, 2019. | 미소장 |
20 | 崔末順, <“五四”與臺灣新文學以及“朝鮮”――從≪臺灣民報≫兩篇小說談起>, ≪한중언어문화연구≫ 제57호,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20. | 미소장 |
21 | 崔末順, <新文學的啟蒙內容及其結構: 五四與臺灣新文學運動中的文學論比較>, ≪五四精神在東亞的發展與變遷暨跨文化研究≫, 花蓮: 慈濟大學東方語文學系, 2017. | 미소장 |
22 | 王昭文, <臺灣戰時的文學社群――≪文藝臺灣≫與≪臺灣文學≫>, ≪臺灣風物≫ 40, 1990. | 미소장 |
23 | 張修愼, <1940年代臺灣‘鄉土意識’的底端――從‘鄉土文學論爭’到≪民俗臺灣≫的討論>, ≪臺灣國際硏究季刊≫ 10, 2014年 秋季號.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