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1234년 8월 남송이 하남으로 군사를 파견하면서 시작된 몽골과의 충돌은 1273년까지 40년 동안 계속되었다. 1230년대 후반에서 1240년대(우구데이칸 후반기~구육칸 재위시기)에는 아직 전면전으로 치닫지 않았지만, 남송은 타협을 거부하였다. 1258년 뭉케칸은 남송 공략에 나섰지만 다음 해 사천에서 사망하였다. 1260년 대칸에 즉위한 쿠빌라이칸은 아릭부케와의 내전과 이단의 난으로 곤경에 처하자 3차례나 사신을 파견하여 타협을 제안하였지만, 남송은 거부하였다. 이후 쿠빌라이칸은 강남 정벌을 천명하였고 요충지인 양양과 번성을 점령한 후 양자강 유역으로 진출하였고 1276년 1월 바얀이 이끄는 몽골군은 남송 수도 임안에 입성하였다. 거대한 인구, 발전된 경제, 그리고 강력한 수군을 보유한 남송이 빠르게 무너진 배경에는 무능한 황제들과 분열된 조정의 무기력한 대처와 결단력의 부재, 변화하는 국제 정세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였던 비현실적 명분론, 군비 지출로 인한 악성 재정, 몽골에 주도권을 넘긴 수동적 전략, 그리고 관료와 장수들 사이에 만연한 패배주의 등의 요인이 있었다. 몽골은 초원과 만주의 기마병, 서역의 새로운 무기, 그리고 한인들을 주축으로 양성한 수군 등 제국의 자원을 동원하여 정복에 성공하였고 역사상 처음으로 근현대 ‘중국’ 영토를 구성하는 모든 지역을 통합하였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려사(高麗史)』, 3권, 서울: 아세아문화사, 1972. | 미소장 |
2 | 『금사(金史)』, 中華書局, 1975. | 미소장 |
3 | 『속자치통감(續資治通鑑)』, 中華書局, 1957. | 미소장 |
4 | 『송사(宋史)』, 中華書局, 1977. | 미소장 |
5 | 『요사(遼史)』, 中華書局, 1974. | 미소장 |
6 | 『원사(元史)』, 中華書局, 1976. | 미소장 |
7 | 郝經, 『陵川集』 (四庫全書本) | 미소장 |
8 | 고명수, 「쿠빌라이 시기 몽골의 정복과 지배-보전, 개발, 발전의 관점에서」, 『동양사학연구』 116 (2011). | 미소장 |
9 | 고명수, 『몽골-고려 관계 연구』, 혜안, 2019. | 미소장 |
10 | 김호동, 「몽골제국의 세계정복과 지배: 거시적 시론」, 『역사학보』, 217(2013). | 미소장 |
11 | 박원길, 「대몽골제국과 남송의 외교관계분석」, 『몽골학』, 8권 (1999). | 미소장 |
12 | 윤영인, 「13세기 초 금의 멸망과 동아시아 다원적 국제질서의 붕괴」, 『동양문화연구』, 33 (2020). | 미소장 |
13 | 이개석, 元朝의 南宋倂合과 江南支配의 意義, 慶北史學21(1998). | 미소장 |
14 | 鄭壹敎, 「南宋時期財政과 軍費比重硏究」, 동양사학연구, 136 (2016) | 미소장 |
15 | 최소영, 「바얀(Bayan, Ch. 伯顔,1236/7-1295)의 초기 이력과 家系고찰」, 『동양사학연구』, 150 (2020). | 미소장 |
16 | 屈超立, 「論呂文德與呂氏軍事集團」, 『宋蒙(元)關係研究』, 四川: 四川大學出版社, 1989. | 미소장 |
17 | 雷家聖, 「戰爭與財政-元世祖忽必烈時期的理財官僚-」, 『中國史硏究』, 第98輯(2015). | 미소장 |
18 | 吳松弟, 『中国人口史』, 第三卷, 辽宋金元时期, 复旦大学出版社, 2000. | 미소장 |
19 | 姚從吾, 「元憲宗(蒙哥汗)的大舉征蜀與他在合州釣魚城的戰死」, 『姚從吾先生全集』, 第6冊, 台北: 正中書局,1982. | 미소장 |
20 | 姚從吾, 「余玠評傳」, 『姚從吾先生全集』, 第6冊, 台北: 正中書局,1982. | 미소장 |
21 | 姚從吾, 「宋余玠設防山城對蒙古入侵的打擊」, 大陸雜誌10-9(1966). | 미소장 |
22 | 黃寬重, 「宋元襄樊之役」, 『南宋史研究集』, 台北: 新文豐, 1985. | 미소장 |
23 | 方震華, 「賈似道與襄樊之戰」, 『大陸雜誌』, 第90卷第4期(1995). | 미소장 |
24 | 付鵬, 王茂華, 「仕元的宋呂氏集團考析」, 『중국사연구』, 제88호(2014). | 미소장 |
25 | 孫克寬, 「元初李璮事變的分析」, 大陸雜誌, 13-8 (1956). | 미소장 |
26 | 李天鳴, 『宋元戰史』, 4권, 臺北: 食貨出版社, 1988. | 미소장 |
27 | 林瑞翰, 『宋代政治史』, 臺北: 正中書局, 1989. | 미소장 |
28 | 全漢昇, 「宋末的通貨膨脹及其對於物價的影響」, 『宋史研究集, 第二輯』, 國立編譯館, 1983. | 미소장 |
29 | 陳世松, 『余玠傳』, 重慶: 重慶出版社, 1982. | 미소장 |
30 | 何忠禮, 徐吉軍, 『南宋史稿』, 杭州大学出版社, 1999. | 미소장 |
31 | 胡昭曦, 鄒重華編, 『宋蒙(元)關係史』, 成都:四川大學出版社,1992. | 미소장 |
32 | 黃寬重, 『南宋時代抗金的義軍』, 聯經出版事業公司, 1988. | 미소장 |
33 | 黃寬重, 「孟珙與四川」, 『南宋軍政與文獻探討』, 臺北: 新文豐出版公司,1990. | 미소장 |
34 | 愛宕松男, 「李璮の叛亂と其の政治的意義--蒙古朝治下における漢地の封建制とその州県制への展開」, 『東洋史研究』, 6-4 (1942). | 미소장 |
35 | Allsen, Thomas, Mongol Imperialism: The Policies of the Grand Qan Möngke in China, Russia, and the Islamic Lands. Berkeley an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7. | 미소장 |
36 | Allsen, Thomas, “The Rise of the Mongolian Empire and Mongolian Rule in North China,” in Herbert Franke and Denis Twitchett, eds.,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vol. 6 of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 미소장 |
37 | ‘Ata Malik Juvayni, The History of World Conqueror, 2 vols., translated by John A. Boyl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58. | 미소장 |
38 | Barfield, Thomas, The Perilous Frontier: Nomadic Empires and China, 221BC to AD 1757, Cambridge MA & Oxford, UK: Blackwell, 1989. | 미소장 |
39 | Boyle, John A., The Successors of Genghis Kha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1. | 미소장 |
40 | Davis, Richard L., “The Reign of Li-tsung (1224-1264),” in Denis Twitchett and Paul J. Smith, eds.,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5, part one, The Sung Dynasty and Its Precursors, 907-1279.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 미소장 |
41 | Davis, Richard L., Wind against the Mountain: The Crisis of Politics and Culture in Thirteenth Century China,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 미소장 |
42 | Fletcher, Joseph, “The Mongols: Ecological and Social Perspectives,”Harvard Journal of Asiatic Studies, 46 (1986). | 미소장 |
43 | Franke, Herbert, “Chia Ssu-tao (1213-1275): A ‘bad last minister’?” in Arthur F. Wright and Dennis C. Twitchett, eds., Confucian Personalitie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2. | 미소장 |
44 | Franke, Herbert, From Tribal Chieftain to Universal Emperor and God:The Legitimation of the Yüan Dynasty, Munich: Verlag der Baer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978. | 미소장 |
45 | Franke, Herbert and Denis Twitchett, eds.,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6: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907-1368.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 미소장 |
46 | Haw, Stephen G., “The deaths of two Khaghans: a comparison of events in 1242 and 1260,”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76.3 (2013). | 미소장 |
47 | Hsiao, Ch’i-ch’ing, The Military Establishment of the Yüan Dynast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 미소장 |
48 | Hsiao, Ch’i-ch’ing, “Bayan,” in In the Service of the Khan: Eminent Personalities of the Early Mongol-Yüan Period (1200-1300), edited by Igor de Rachewiltz, et al. Wiesbaden: Harrassowitz Verlag, 1993. | 미소장 |
49 | Huang, K’uan-chung, “Mountain Fortress Defence: The Experience of the Southern Song and Korea in Resisting the Mongol Invasions,” in Hans Van de Ven, edited, Warfare in Chinese History, Leiden:Brill, 2000. | 미소장 |
50 | Hymes, Robert, “Sung Society and Social Change,” in John W. Chaffee and Denis Twitchett, eds.,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5 Part Two, Sung China, 960-1279,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 미소장 |
51 | Jay, Jennifer W., A Change in Dynasties: Loyalism in Thirteenth-Century China, Bellingham, WA.: Western Washington University, 1991. | 미소장 |
52 | Khazanov, Anatoly, Nomads and the Outside World, translated by Julia Crookende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 미소장 |
53 | Lorge, Peter, War, Politics and Society in Early Modern China, 900-1795,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005. | 미소장 |
54 | Morgan, David O., “The Mongols and the Eastern Mediterranean,”Mediterranean Historical Review, 4-1 (1989). | 미소장 |
55 | Rachewiltz, Igor de, “Some Remarks on Toregene’s Edict of 1240,” Papaers on Far Eastern History, 23 (1981). | 미소장 |
56 | Rachewiltz, Igor de, “Some Remarks on the Idological Foundations of Chingis Khan’s Empire” Papers on Far Eastern History, 7 (1973). | 미소장 |
57 | Rossabi, Morris, Khubilai Khan: His Life and Times, Los Angeles: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8. | 미소장 |
58 | Rossabi, Morris, “The reign of Khubilai Khan,” in Herbert Franke and Denis Twitchet, eds.,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vol. 6 of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 미소장 |
59 | Rossabi, Morris, ed. China Among Equals: The Middle Kingdom & Its Neighbors, 10th-14th Centuries. UC Press, 1983. | 미소장 |
60 | Schottenhammer, Angela, “China’s Emergence as a Maritime Power,” in John W. Chaffee and Denis Twitchett, eds.,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5 Part Two, Sung China, 960-1279,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 미소장 |
61 | Wang, Q. Edward, “History, Space, and Ethnicity: The Chinese World View,” Journal of World History, 10.2 (1999). | 미소장 |
62 | Wright, David C., “Navies in the Mongol Yuan Conquest of Song China 1274-1279,” Mongolian Studies 29 (2007). | 미소장 |
63 | Wright, David C., “The Mongol General Bayan and the Massacre of Changzhou 1275,” Altaica 7 (2002). | 미소장 |
64 | Wright, David C., “Debates in the Field during Bayan’s Campaigns Against Southern Song China, 1274–1276,” in Peter Lorge, ed., Debating War in Chinese History, Leiden: Brill, 201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