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는 『종반행적(宗班行蹟)』에 수록된 15세기 종친들의 묘도문자로부터 관각문학적 특징을 발견하려는 시도이다. 종친은 군왕의 부계 친족이자 군신관계에 놓인 특수한 신분이다. 『종반행적』에는 이러한 종친들의 전기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15세기 종친들의 묘도문자는 서거정, 임사홍, 홍귀달, 남곤 등 유력 관각문인들이 창작하였는데, 작품 대부분이 이들의 문집에 수록되지 않아 자료적 가치가 높다.
『종반행적』에 수록된 15세기 창작 종친 묘도문자의 관각문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들 작품에는 고귀한 왕실의 혈통에 대한 찬양과 존모가 담겨 있다. 특히 종친의 세계를 서술하는 과정에서 세종과 성종대의 태평성대를 남달리 칭송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15세기의 종친들이 세종과 성종대의 문운 융성기를 함께 견인해 온 관각문인들에게 태평성대를 회상하게 하는 인적 증거로 기능한 결과이다.
둘째, 종친을 대하는 군왕의 내밀한 사적 감정을 거침없이 묘사하고 있다. 특히 부왕 혹은 형제로서 군왕의 가족애를 부각시키는 일화를 삽입하고 생생하게 묘사하는 특징이 있다. 이는 사적 일화의 삽입이 만백성의 너그러운 부모로서 군왕의 이미지를 실추시키는 것이 아니라고 판단한 결과로 보인다.
셋째, 종친들은 독서에 침잠하거나 학문에 대한 열정이 깊고, 예술에 대한 깊은 조예를 타고난 인물들로 형상화된다. 하지만 그와 같은 면모를 드러내는 특수한 일화가 아닌 정형화된 표현을 반복함으로써 왕실의 위계 질서에 순응하며 정치적 안정에 기여하는 규범적 종친상(像)을 독자들에게 제시하고 있다.
15세기의 관각문인들은 종친들의 모범적 삶을 통해 조선의 태평성대를 증명하고 회상한다. 그러나 왕실의 정책에 반발하거나 비판을 하는 등 정치적으로 문제가 된 종친들의 묘도문자 창작은 도외시하거나 역사적 평가 자체를 외면한 아쉬움도 낳았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