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form and change of Butoh da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ody. Hijikata Tatsumi’s dark butoh has discovered the “materiality” of the body, including grotesque and self-killing, regression of the body toward the darkness of the source, and fall. In the case of Ohno Kazuo, the spirits of the dead are accepted by his body, and his dances presented mainly improvised, entertaining, colorful, and dynamic movements by combining various opposite entities. The next generation, including Shankai Juku, is showing a different physicality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It shows the pursuit of "universal physicality" rather than individuality, or “physical retreat,” which is approaching universality by carving and refining the special form of dark Butoh with internationaliz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부토에서 '육체'의 인식에 따른 춤 형태 연구 = A study of dance forms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body' in Butoh 신효영 p. 1-13

펠든크라이스 ATM® (Awareness Through Movement)방식이 무용수의 신체자각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Feldenkrais Awareness Through Movement (ATM)® on physical awareness of dancers : 대학 3년 현대무용 전공생을 중심으로 서채린, 최상철 p. 15-34

윌리엄 포사이드 작품의 초현실주의 표현기법 분석 : A study on surrealism expressions techniques in William Forsythe’s choreographies : focusing on City of Abstract, Scattered Crowd, Heterotopia / 「추상화된 도시」, 「흩어진 군중」, 「헤테로토피아」를 중심으로 안현민 p. 35-48

노장사상의 무(無)사유형식을 적용한 무용창작작품 「현해(玄海)」의 공간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ity of "Hyeon-hae (Dark Sea)" incorporating no-reason form of Lao-Tzu and Chuang-Tzu's Taoism 이은정 p. 49-63

수행성 관점으로 본 보리스 샤르마츠의 '미술관의 춤' = An investigation into performativity in the works of Dancing Museum by Boris Charmatz 정수동 p. 65-80

발레계의 블랙페이스/옐로우페이스 논쟁 연구 = A study on the dispute of blackface/yellowface in ballet 정옥희 p. 81-102

참고문헌 (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태원(1992). 『후기 현대 춤의 미학과 동향』. 서울: 현대미학사. 미소장
2 아카세가와 겐페이(1984). 『일본의 실험미술』. 김미경(역). 서울: 시공사. 2001. 미소장
3 오카모코 타로(1954). 『오늘의 예술』. 김영주(역). 서울: 눌와. 2005. 미소장
4 장인성(2010). 『전후 일본의 보수와 표상』.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미소장
5 폴 발레리 외(1997). 『신체의 미학』. 심우성(편역). 서울: 현대미학사. 미소장
6 Viala, Jean & Masson-Sekine(1988). Butoh: Shades of Darkness. Tokyo: Shufunotomo Co. 미소장
7 城戶朱理(1992). 『大野一雄舞踏譜』. 東京: 思潮社. 미소장
8 三上貿代(1993). 『器としての身體-土方巽·暗黑舞踏技法へのァプロ-チ』. 東京: ANZ堂. 미소장
9 고은숙, 김경자(2015). 초기 부토의 반 예술적 특징. 『한국무용학회지』, 15(2): 47-58. 미소장
10 김영옥(2000). 부토의 육체성과 그 미학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11 김용철(2008). 일본 부토를 통해 본 한국창작무용의 과제. 『한국무용연구』, 26(2): 143-165. 미소장
12 이명진(1997). 부토와 비교를 통한한국창작무용의 정체성 연구. 『대한무용학회지』, 22: 105-116. 미소장
13 이재인(2018). 부토부 분석을 통한 히치카타 타츠미 암흑부토연구. 『무용역사기록학』, 51: 149-169. 미소장
14 이재인(2019). 히치카타 타츠미의 암흑부토와 일본인의 신체. 『한국연극학회지』, 69: 101-123. 미소장
15 한명옥(1992). Hijikata의 부토댄스. 『한국무용교육학회지』, 12: 21-35. 미소장
16 Laage, Joan Elizabeth(1993). Embodying the Spirit: The significance of the body in the contemporary Japanese dance movement of Butoh. Ph.D. Texas Woman’s University. 미소장
17 Brunel, Lise(1991). “Kazuo Ohno au Théátre du Lierre Iles de Danse-Simplicité GénérositéHumanité”. Les Saison de Danse, Janvier. 28-42. 미소장
18 Oosuka Isamu, Daniel De Bruycker(1985). “Danser les vagues de jadis aucoeur de la forȇt”. Alternatives théâtrales 22-23: 79. 미소장
19 김태원(2005). 어느 (부토) 댄서의 고민. 『공연과 리뷰』, 50(2005년 가을호): 147. 미소장
20 심정민(2005). 부토를 통한 아시아 현대 춤의 세계화 가능성. 『공연과 리뷰』, 50(2005년 가을호):46-53. 미소장
21 古澤俊美(1970). 「石井滿隆-狂氣·快樂·死を化術として」. 『美術手帖』6: 80. 미소장
22 郡司正勝(1977). 「破戒のなかの婚儀-舞踏への行衛につぃて」. 『現代詩手帖』4: 44. 미소장
23 合田成男(1977). 「手の變幻」, 『新劇』8: 34. 미소장
24 大野一雄, 大野慶人, 中村文昭(1992). 「舞踏とぃぅ表現方法」, 『現代時手帖』6: 5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