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바로․박소영. 「인물 간 감정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햄릿 의 혐오 감정연구」. 『2018년 한국문화융합학회 하계전국학술대회: 혐오의 시대와 문화』,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06.02. 95-103. 미소장
2 김용수. 「세계문학과 디지털인문학 방법론: 한국 학계의 모레티 연구」. 『비평과 이론』 24.3 (2019): 59-78. 미소장
3 김용수. 「영미문학과 디지털인문학: 미국 디지털 영문학 연구 동향」. 『비평과 이론』 23.3 (2018): 35-58. 미소장
4 모레티, 프랑코. 『그래프, 지도, 나무: 문학사를 위한 추상적 모델』. 이재연 옮김. 서울: 문학동네, 2020. 미소장
5 모레티, 프랑코. 『멀리서 읽기: 세계문학과 수량적 형식주의』. 김용규 옮김. 서울: 현암사, 2021. 미소장
6 이수상.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서울: 논형, 2012. 미소장
7 이재연. 「작가, 매체, 네트워크: 1920년대 소설계의 거시적 조망을 위한 시론」. 『사이間SAI』 17 (2014): 257-301. 미소장
8 이재연. 「키워드와 네트워크: 토픽 모델링으로 본 『개벽』의 주제 지도 분석」. 『상허학보』 46 (2016): 277-334. 미소장
9 전성규․김병준. 「디지털인문학 방법론을 통한 『서북학회월보』와 『태극학보』의담론적 상관관계 연구」. 『개념과 소통』 23 (2019): 141-88. doi: 10.15797/concom.2019.23.005. 미소장
10 Cherven, Ken. Mastering Gephi Network Visualization. Birmingham: Packt Publishing, 2015. 미소장
11 Jockers, Matthew Lee. Macroanalysis: Digital Methods and Literary History. Urbana: U of Illinois P, 2013. 미소장
12 Kim, Yongsoo. “Topology of Literary Theory: A Citation Network Analysis of The Journal of Criticism and Theory (1996-2015).” 2020 ELLAK International Conference: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Translation, The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Association of Korea, 17-19 Dec. 2020, 96, 234-35. sites.google.com/view/2020ellak/proceedings-program. Accessed 31 Dec. 2020. 미소장
13 Lee, Jae-Yon, and Hyunjoo Kim. “The Text-Mining of Munhwa (Culture):The Case of a Popular Magazine in 1930s Korea.” Acta Koreana 22.2(2019): 325-48. doi:10.18399/acta.2019.22.2.007. 미소장
14 Lee, James, and Jason Lee. “Shakespeare’s Tragic Social Network; or Why All the World’s a Stage.” Digital Humanities Quarterly 11.2 (2017). www.digitalhumanities.org/dhq/vol/11/2/000289/000289.html. Accessed 6 Jun. 2020. 미소장
15 Moretti, Franco. “Conjectures on World Literature.” New Left Review 1(2000): 54-68. newleftreview.org/II/1/franco-moretti-conjectures-on world-literature. Accessed 31 Dec. 2020. 미소장
16 Moretti, Franco. Distant Reading. London: Verso, 2013. 미소장
17 Moretti, Franco. Graphs, Maps, Trees: Abstract Models for Literary History. London:Verso, 2007. 미소장
18 Moretti, Franco. “Network Theory, Plot Analysis.” Pamphlets of the Stanford Literary Lab 2 (2011): 1-31. litlab.stanford.edu/LiteraryLabPamphlet2.pdf. Accessed 26 Mar. 2020. 미소장
19 Scott, John. Social Network Analysis. Los Angeles: SAGE Publications, 2013. 미소장
20 So, Richard Jean, and Hoyt Long. “Network Analysis and the Sociology of Modernism.” boundary 2 40.2 (2013): 147-82. doi: 10.1215/01903659-2151839. 미소장
21 Stiller, James, Daniel Nettle, and Robin I. M. Dunbar. “The Small World of Shakespeare’s Plays.” Human Nature 14.4 (2003): 397-40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