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조선 후기 전기소설 국문본의 종합적 고찰 :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Korean language versions of Jeon-gi novels in the late Joseon period : focused on the phil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patterns of translation and adaption / 문헌학적 특징 및 번역과 개작의 양상을 중심으로 엄태식 p. 7-51
조선조 문천상의 충절에 대한 논의 연구 = A study on the discussion on the fidelity of Wen Tian-xiang 안순태 p. 35-79
황순원 소설의 주체적 여성의 형상화와 공간성 의미 분석 = An analysis of the image and spatiality meaning of independent women of Hwang Sun Won's novels 방금단 p. 81-110

이문열 「사람의 아들」 연구 : Study on 「Son of Man」 : focusing on the choice of character / 인물의 선택을 중심으로 김한식 p. 111-142
한국어 명사의 의미운율 연구 : A study on semantic prosody of Korean nouns : focusing on the change in semantic prosody / 의미운율의 변화를 중심으로 김일환 p. 143-170
품사 분류 기준 '형태'의 정착 과정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form' as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parts of speech : focused on the past school grammar textbooks / 역대 문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홍정현 p. 171-210
근대 국어과 교과서의 검정과 검열 : Examination and censorship of modern Korean language textbooks : focus on the 『Korean Reading Book for Primary School Students』 and 『Joseon Language Reading Book for Primary School Students』 / 『국어독본』(1907)과 『조선어독본』(1911)을 중심으로 강진호 p. 211-238

말뭉치 자료에서 나타난 '-길래'의 담화 의미 기능에 대하여 = About the discourse meaning function of the phrase '-길래' in corpus data 이지선 p. 239-281
비한자어권 학습자의 한자 성어의 우연적 어휘 학습에 대하여 : On the incidental learning of Sino-Korean idiomatic phrases by adult non-Sino language learners : focusing on learning efficiency according to type of annotated vocabulary / 어휘 주석의 유형에 따른 학습 효과를 중심으로 서경숙, 박서현 p. 283-310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지하, 「풍자냐 자살이냐」, 『타는 목마름으로』, 창작과비평, 140-156쪽, 1982. 미소장
2 박종홍, 「이문열 소설의 권력, 애정, 예술」, 『현대소설연구』6, 1997.6, 71-93쪽. 미소장
3 신익호, 「민중 의식적 신앙관과 ‘욕망’의 구조 통한 신앙적 갈등 양상」, 『현대문학이론연구』46, 2011.9, 97-123쪽. 미소장
4 에른스트 디터 란터만, 이덕임 역, 『불안사회』, 책세상, 2019. 미소장
5 이미영, 「누가 교양소설을 노래하는가 교양 주체의 남성(성) 네트워크와 이문열의 1980년대 텍스트」, 『상허학보』56, 2019.6, 481-524쪽. 미소장
6 이병군, 「『사람의 아들』의 노장적 해석」, 『어문론총』77, 2018.9, 177-202쪽. 미소장
7 이순원, 「사람의 아들에서 변경까지 문학적 연대기 : 방황, 독서, 여행」, 『작가세계』, 1989.6, 36-46쪽. 미소장
8 이신형, 「『사람의 아들』에서 제기된 신학적인 질문」, 『신학과 사회』29, 2015, 43-75쪽. 미소장
9 이철호, 「황홀과 비하 한국 교양소설의 두 가지 표정 이광수와 이문열을 중심으로」, 『상허학보』37, 2013, 321-361쪽. 미소장
10 이철호, 「장치로서의 연좌제」, 『현대문학의 연구』, 2015.6, 369-396쪽. 미소장
11 정일, 「이문열 「사람의 아들」의 구조주의적 분석」, 『인문학연구』81, 2010, 65-89쪽. 미소장
12 정주아, 「이념적 진정성의 시대와 원죄 의식의 내면」, 『민족문학사연구』54, 2014, 7-33쪽. 미소장
13 조남현, 「소설 공간의 확대와 사상의 실험」, 『작가세계』, 1989.6, 70-82쪽. 미소장
14 폴 존슨, 김주한 역, 『2천 년 동안의 정신』1, 살림, 200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