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헤어는 도덕적 개념의 논리인 보편화가능성이 공평성의 요구를 함의하며, 이를 통해 공리주의에 도달한다고 주장한다. 매키는 보편화의 3단계론을 통하여 헤어의 논증을 비판한다. 그는 도덕적 개념이 함의하는 보편화가능성은 결코 3단계 보편화, 즉 공평성의 요구를 함의하지 않기 때문에 보편화가능성에 기초한 추리 도덕 체계는 공리주의를 산출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헤어는 보편화가능성은 한 종류밖에 없으며, 이로부터 공평성으로의 발전이 있을 뿐이라고 반박한다. 그러나 공평성으로의 이행은 보편화가능성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객관적인 도덕적 진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부가적 전제가 보완되어야만 가능하다. 헤어는 비기술주의를 활용하여 객관적인 도덕적 진리의 부재 논증 및 보편화가능성에 기초한 공리주의 논증을 강화할 수 있다.
R. M. Hare argues that universalizability, the logic of moral concepts, implies the requirement of impartiality, by means of which it reaches utilitarianism. J. L. Mackie criticizes Hare’s argument with the thesis on the three stages of universalization. He argues that because universalizability involved in moral concepts does not imply the third stage of universalization, that is the requirement of impartiality, the universalizability-based moral reasoning system does not produce utilitarianism. In replying to Mackie’s critique, Hare insists that there should be only one sort of universalizability, but progression from this universalizability to the requirement of impartiality be possible. However, the progression from universalizability to impartiality are to be accomplished not only by universalizability, but also by complementing it with additional premise that there is no objective moral truth. In order to support the argument that there is no objective moral truth, Hare deploys the non-descriptivist argument, consequently reinforces both the argument for the progression from universalizability to the requirement of impartiality and the universalizability-based argument for utilitarianism.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류지한(2003), “도덕적 개념의 논리와 도덕적 추리: 헤어의 반직관주의·비자연주의 도덕 추리론”, 『대동철학』, 21. | 미소장 |
2 | 류지한(1999), “메타 윤리학에서 기술주의의 오류”, 『국민윤리연구』, 41호. | 미소장 |
3 | 퍼트남, H.(1987), 김효명 역, 『이성․진리․역사』, 서울: 민음사. | 미소장 |
4 | Becker, L. C. & Becker, C. B.(1992), Encyclopedia of Ethics, v. I, Ⅱ, New York: Garland Publishing, Inc. | 미소장 |
5 | Hare, R. M.(1999), “Objective Prescriptions,” Objective Prescriptions and Other Essays, Oxford: Clarendon Press. | 미소장 |
6 | Hare, R. M.(1997), Sorting Out Ethics, Oxford: Clarendon Press. | 미소장 |
7 | Hare, R. M.(1996), “A New Kind of Naturalism?,” Peter A. French, Theodore E. Uehling, Jr., and Howard K. Wettstein, (ed.), Midwest Studies in Philosophy Volume XX, Notre Dame: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 미소장 |
8 | Hare, R. M.(1992), “Universalizability,” L. C. Becker & C. B. Becker (ed.), Encyclopedia of Ethics, New York: Carland. | 미소장 |
9 | Hare, R. M.(1991), “Universal Prescriptivism," Singer, Peter, (ed.), A Companion to Ethics, Oxford: Basil Blackwell. | 미소장 |
10 | Hare, R. M.(1989a), “Right, Utility, and Universalization: Reply to J. L. Mackie,”Essays on Political Morality, Oxford: Clarendon Press. | 미소장 |
11 | Hare, R. M.(1989b), “Ethical Theory and Utilitarianism,” in Essays in Ethical Theory, Oxford: Clarendon Press | 미소장 |
12 | Hare, R. M.(1989c), “Relevance,” in Essays in Ethical Theory, Oxford: Clarendon Press. | 미소장 |
13 | Hare, R. M.(1989d), “How to Decide Moral Questions Rationally,” in Essays in Ethical Theory, Oxford: Clarendon Press. | 미소장 |
14 | Hare, R. M.(1988), “Comment on Singer,” Seanor, D. and Fotion N. ed., Hare and Critic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5 | Hare, R. M.(1981), Moral Thinking, Oxford: Clarendon Press. | 미소장 |
16 | Hare, R. M.(1952), The Language of Morals, Oxford: Clarendon Press. | 미소장 |
17 | Mackie, J. L.(1985a), “The Three Stage of Universalization,” Person and Value, Oxford: Clarenden Press. | 미소장 |
18 | Mackie, J. L.(1985b), “Right, Utility, and Universalization,” Person and Value, Oxford: Clarenden Press. | 미소장 |
19 | Mackie, J. L.(1977), Ethics: Inventing Right and Wrong, Harmordsworth: Penguin Books. | 미소장 |
20 | McNaughton, David(1988), Moral Vision: An Introduction to Ethics, Oxford: Basil Blackwell. | 미소장 |
21 | Nagel, T.(1988), “The Foundation of Impartiality,” Seanor, D. and Fotion N. ed., Hare and Critic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2 | Nielsen, Kai(1985), “Universalizability and Commitment to Impartiality,”Nelson T. Potter & Mark Timmons, ed., Morality and Universality, Dordrecht: D. Reidel Publishing Company. | 미소장 |
23 | Seanor, D. and Fotion N., ed.(1988), Hare and Critic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4 | Singer, Peter(1988), “Reasoning towards Utilitarianism,” Seanor, D. and Fotion N. ed., Hare and Critic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5 | Williams, Bernard(1985), Ethics and the Limits of Philosophy,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